한국의 책쟁이들 - 대한민국 책 고수들의 비범한 독서 편력
임종업 지음 / 청림출판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아날로그적인 정취가 물씬 풍기는 책이었다. 세련되고 감각적인 맛은 없지만, 책에 미친 이덕무와 최한기의 후예다운 우직함이랄까 고집스러움이랄까 자족적인(?) 자부심이랄까. 그런 게 강하게 느껴진다.


1부 꿈꾸는 자들의 책

chapter 1 만화 숲속 방에서 세상으로 가는 길 찾기 _ 만화 마니아 박지수

만화와 함께 자라고 만화와 함께 꿈꾸는 박지수씨. 그에게 만화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은 ‘당신의 삶은 무엇인가’로 바뀌어야 한다. 그가 답변을 찾지 못하고 헤맨 것은 ‘만화’를 삶으로 코드변환하지 못했거나, 정리된 삶을 이야기하기에는 젊기 때문이다. 만화처럼 젊은 박씨는 또다른 스물여덟해 뒤 고집 센 책쟁이가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chapter 2 내 인생의 화양연화를 꿈꾼다 _ 밑줄 긋는 여자 성수선

책이 너무 좋은 성수선 씨는 책으로 밥벌이를 하면 얼마나 좋을까, 해서 문화센터에 출판관련 강좌를 들었다. 하지만 생업으로 삼지 않기를 잘했다고 생각한다. 그는 하고 싶은 일과 읽고 싶은 책 읽기를 모두 할 수 있어서 행복하다고. 알라디너이기도 한 분.

chapter 3 진실을 전하는 미디어 SF _ SF 마니아 박상준

“SF를 모른다고 자학하지 마세요.” 그는 한 도서 평론가도 <당신의 이야기>를 읽고 비로소 눈을 떴다고 말하더라고 했다. 이제부터라도 반드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설득적인데, 20세기는 특별한 시대라는 거다. 과학 기술의 변화가 일상적인 시대. 토플러는 “고대 로마 시대나 중세 장원 경제를 가르치면서 미래 사회학이나, 변화 양상은 왜 가르치지 않는가” 역설했다.

한번은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박람회를 다녀오는 길에 파리에 들렀다가, 시간이 멈춰선 파리의 고서점에 나오는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에서 주인장 조지 휘트만 할아버지를 만났다고 한다. 한국에서 온 번역가 라고 소개하자, 머물다 가라며 2층의 전방 좋은 방을 내주었다고.

석사논문이 완성되면, 과학문화사 기술에 도전할 생각이라고 한다. <과학 조선>, <학생 과학> 등 지나간 잡지는 물론 요즘 나오는 과학동아도 모으고 있다고.

2부 사람을 읽다 책을 살다

chapter 6 우체국과 책, 사라지는 것의 끄트머리 _ 화천 상서 우체국장 조희봉

전작주의자의 꿈,을 쓴 바로 그 분이다. 서울에서 직장 생활하다가 화천에서 우체국장을 한다는 그는, “안도현의 <바닷가 우체국>이란 시처럼 서울에 있는 지인들은” 그가 그렇게 사는 줄 안다고 한다. 하지만 서울에서보다 오히려 생존경쟁이 더 치열하다고. 신참국장 5년차, 이제는 제법 자리가 잡히고 실적이 좋은 우체국에게 주는 상을 받아 제주도 포상 관광을 두 번이나 다녀오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도 다녀왔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