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나를 미치게 할 때 - 화내거나 짜증내지 않고 아이 마음과 소통하는 법
에다 레샨 지음, 김인숙 옮김 / 푸른육아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부모는 훈육에 있어서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고 하지만, 나는 그렇지 못하다. 그러지 말아야겠다고 노력하다가도, 이게 노력한다고 달라지는 영역이 아닐 것이라고도 생각해보는 것이다. 기분의 기복이 큰 편이다. 작가들도 우울할 땐 글에 그게 반영된다지 않나, 독자들 또한 기쁘고 행복할 때는 하나의 작품을 두고도 더 평소보다 유쾌하게 읽힌다고 한다.
나 자신의 기분의 기복 때문에 양육에 있어서 일관성이 없기도 하고, 이외에 또 다른 이유가 있는데, 아이에게 내 못난 점 고스란히 투영되어 보일 때, 나는 살짝 이성을 잃는다.
‘왜, 그걸 못하니 둔탱이’ 이건 속으로만.
“(18인치 자전거) 구입하고 나서 그걸 탄 시간보다 끌고 걸어다닌 시간이 더 많고, 세워둔 횟수보다 쓰러뜨린 횟수가 더 많겠어!!”
그 날 저녁은 몹시도 피곤해서 아이가 책을 한 아름 들고 와서 읽어달라고 했는데, 졸음이 무겁게 쏟아지던 찰나였으므로 엎드려서 시체처럼 꼼짝도 하지 않았다. 

아이에게 독이 될 만한 문제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음에도 교정이 안 될 때, 읽으며 많은 조언을 얻게 되는 책이다. 부모인 당신의 마음 아주 잘 알겠노라며 헤아려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며 부모에게 조정해야 할 행동을 다정하게 그리고 따뜻하게 설명해 준다.

기억하기 라는 법칙이 있다. 부모인 내가 어렸을 적을 기억해 내는 것 어렸을 적 불안과 분노, 당혹감을 느꼈을 때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 또 사랑을 얻기 위해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했던 일이 얼마나 힘들어쓴지 떠올린다면, 아이가 '아이처럼'굴어도 편안하게 지켜볼 수 있다. 자녀를 사랑하기 때문에 생겨난 일이고, 그렇게 때문에 자녀의 그 마음부터 헤아려 줘야 한다는 것이다.  앞전에 말한 육아에 있어 일관성을 유지하라는 것에 대해서도 저자는 한마디 한다. 그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 라고. 엄마도 잘 못 행동할 때가 있고, 실수도 하는 평범한 인간이라는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 또 늘 똑같은 기계처럼 행동하는 것보다는 합리적인 목표를 세워 목표와 상황에 따라서는 필요한 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 오히려 더 바람직하다고 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