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살 이전의 자존감이 평생 행복을 결정한다
토니 험프리스 지음, 윤영삼 옮김 / 팝콘북스(다산북스)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나 자신의 자존감을 이야기하지 않고서, 내 아이의 자존감에 대해 이야기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언제나 이런 주제의 책을 고를 때마다 처음으로 환기시키는 부분은, 나 자신부터 어떻게 해 봐야하지 않겠나, 하는 것이다.

아니, 낮은 자존감을 가진 부모(그래도 많이 교정됐지 싶다.)밖에 될 수 없지만, 아이는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키우고 싶은 바람 때문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높은 자존감을 가진 이들은 변치 않는 자신의 자아 가치를 거의 실현해낸다. 솔직하고, 남들과 다른 개성을 뽐내며, 포용력 있고, 모험심이 강하고, 창조적이며, 두려움이 없고, 남의 말에 크게 흔들리지 않으며, 마음껏 사랑을 주고 받는다.  나는 아니 그래도 내 아이들은 이렇게 키우고 싶은 것이다.  흑흑... 이 책에 따르면, 나 자신은 자존감이 퍽 낮으므로 먼저 점검할 것이 있다. 나 자신의 방어 행동이 무엇인지 깊이 되돌아봐야 한다. 자신의 좌절감을 아이에게 분풀이하는 어른들을 주변에서 너무나 쉽게 볼 수 있다. 우선, 자신의 방어행동을 인식하고 이런 행동을 철저히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 




먼저, 저자가 어떤 사람인지 살펴보자면, 부모로서 아이를 키운 경험, 선생님으로서 아이를 가르친 경험, 전문 상담자로서 선생님들과 함께 일한 경험, 그리고 무엇보다도 문제가 심각한 부부와 아이를 상담하고 치료한 임상 심리학자로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글을 썼다고 한다. 특히 학교 선생님들에게 일독할 것을 권하고 있다. 감정적으로 쉽게 상처를 받거나 자존감이 낮은 학생을 좀 더 깊이 이해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자존감에는 두 가지 중심축이 있다. 자신이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라는 느낌'과 '능력 있는 사람이라는 느낌'이다. 자존감이 낮을 때, 아이는 자존감 방어 행동을 하는데, 이는 부모의 자존감이 낮을 때 많이 나타난다. 부모 스스로 자신의 가치와 능력을 의심하는 경우에는 아이에게 잔소리를 지나치게 많이 하거나 과잉보호를 하기 쉽다.




실제로 선생님을 부모로 둔 아이들은 특히 심각한 방어 행동을 하곤 한다고. 왜냐하면 선생님들은 대개 자기 아이들에게 높은 학업 성적을 요구하며,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에는 잔소리를 하거나 꾸짖고 비난하는 경향이 다른 직업을 가진 부모들보다 크기 때문이다.




과잉보호를 받는 아이들은 결국, 독립적인 한 인간으로 자라고 배워나갈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이 자신에게 있다는 믿음을 아이에게 전혀 일깨워 줄 수 없다. 이러한 아이들은 자신이 ‘사랑받을 만한 존재’라는 느낌은 있지만 ‘능력 있는 존재’라는 느낌은 어디에서도 찾지 못한다.




자존감은 곧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느냐는 문제이다. 자아에 대한 인식은 인격의 핵심이며, 또한 인간으로서 지닌 무한한 능력을 얼마나 활용할 수 있는지 결정한다. 인간의 능력을 결정하는 것은 유전자가 아니라 자존감이다. 어릴 적부터 자존감을 어떻게 키워왔느냐에 따라어른이 됐을 때 삶의 충만함이 결정된다.




우리 아이의 문제 행동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1단계

문제 행동 발발 (갑자기 공격적으로 돌변, 마구 들떠서 까불거나, 근육 경련, 잠자리에 오줌을 쌈, 남의 물건을 훔침) : 부모의 대응 방법 절대로 거칠게 반응하지 않는다. 건강한 부모는 아이의 문제 행동에 결코 휩쓸리지 않고 객관적으로 볼 줄 안다.

아이의 행동을 묵묵히 참고 지켜본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가끔은 도저히 참지 못해 아이를 야단치고 나무라고 심지어 욕을 하고 때리는 잘못을 저지를 수도 있다. 만약 그런 행동을 했다면 반드시 상황이 진정되고 난 뒤에 바로 아이에게 사과하고 무엇 때문에 부모가 화를 참지 못했는지 분명히 알려줘야 한다.




2단계

부모가 물어봐도 대부분의 아이들은 자신의 고민이 무엇인지 말하지 않는다. 자신의 속마음을 드러내는 것에 위협을 느낀다. 포기하지 않고 아이와의 대화를 꾸준히 시도해 나가다 보면, 결국 아이의 숨은 두려움이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아이게 드러낸 내면적인 세계에 부모는 절대로 자신의 생각이나 사고방식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이는 아아의 마음을 전혀 이해하지 않는 행위일 뿐만 아니라, 부모를 믿고 자신의 속마음을 터놓은 아이를 배신하는 행위이며, 결국은 더 깊은 암흑의 세계로 아이를 밀어넣는 행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