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길엄마처럼 자기주도적인 아이로 키워라 - 사교육 없이 한국과학영재학교에 보낸 양길엄마의 놀이·독서·체험교육 이야기
방숙희 지음 / 푸른육아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아이 인생을 빛내는 세 가지 아이콘, 놀이, 독서, 체험이라는 걸 절절하게 보여 주는 엄마의 이야기이다. 그래 어떻게 생각하면, 잘 알법한 이야기이다. 그렇지만 기본은 아이와 함께 하는 저 세가지 활동을 적극 즐겨야 가능한 일일텐데... 부모가 아이와 놀 줄 모르고, 여기저기 보고 겪는 야외 활동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참 어려운 일이다.




양길이 엄마가 대단한 것은 주변의 사교육 광풍 속에서 흔들림을 느꼈겠지만, 흔들리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눈앞의 성적 등수 뭐 이런 것들에 결코 연연하지 않았고, 오로지 아이의 행복을 위해서 아이가 좋아할 만한 일들에만 코드를 맞추고, 함께 하고 적극 즐기기에 나섰다는 점이다.

책을 읽는 내내 계속 끄덕끄덕 했던 거 같다. 그래 아이들 교육에 대한 이런 접근도 참 좋다! 일단은 아이들이 행복하고 재밌을 거니까, 함께 하는 부모도 더불어 행복한 시간들이고 말이다. (물론 읽고 나서는 양길엄마와 나 사이의 괴리감(나는 어느 땐 울아들이 블루마블 비슷한 주사위 게임 하자고 하면, 그게 그렇게 귀찮을 수가 없고, 치우는 게 엄두가 안 나서 레고나 조이픽스 블록도 가지고 못 놀게 할 때가 있다.)이 있어 괴롭기는 했지만 말이다.)

양길엄마가 말하는 몇몇 장소에 아이들 데리고 가 보기로 한다. 설치물을 일일이 직접 손으로 작동할 수 있어 원리를 깨우치는 데에 유익하다는 국립서울과학관부터 가봤다. 참고하려고 김영사에서 나온 <국립서울과학관>이라는 책자도 가지고 갔는데, 책에 나온 건물 안내와 많이 달랐다. 근래 3년 사이 <국립서울과학관>이 입장료를 받지 않으면서 전에 있던  2~4층의 우주체험관, 자연사전시실 등이 사라졌고, 1층의 과학 원리를 배우고 직접 작동할 수 있는 기초과학전시실만 운영되고 있었다.      

우리 아이가 자꾸 공룡 있는 데 가 보자고 해서, 혼났다. 다음 코스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가 되어야 하나보다.

이런 천하의 양길이 엄마도 교과목 중에서 좀 아쉬웠다 라고 토로하는 과목이 있는데, 바로 영어더라.

나름대로 집에서 테이프도 틀어주고 영어 동화책도 읽어주었으므로 큰 걱정은 하지 않았지만, 요즘 갈수록 영어 회화가 중요시되고 있어서 ‘초등 학교 때 좀더 깊은 관심을 쏟을 걸’ 하는 아쉬움이 남는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