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스키야키 식당
배수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기승전결도 갖추지 않았고, 시작은 있으되 끝은 알 수 없는 기존을 형식을 파괴한 소설을 잘 읽지 못한다. 좋아하지 않는다.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논외로 두고, 나 개인적으로는 그렇다. ‘이렇게 써놓으면, 참으로 포스트모던하구나 라고 느끼는 줄 아는가 본데, 뒷심이 딸리는 것마저 이것은 자기가 걷는 길은 모두 프론티어의 영역이라고 생각하는 자신감에서 나온것일 거야. 하는 의구심이 든다.

이 책은 그런 의구심이 듦에도 불구하고, 책장 덮고도, 다시 열어보게 한다. 아무리 그래도  내가 방금 그 흔히 말하는 센세이셔널 한 글을 읽었구나 하면서 느낌 충만해한다.

내가 한국 작가들은 읽어놓은 게 원체 부박해서 가난에 대해 천착한 작가의 글로서는 두 번째인 것 같다는 생각이다.

첫째는 단연 공선옥이고.

배수아 씨의 작품과 나의 인연은 그러니까, 대학 초년생 시절부터 거슬러올라가는데, 처음 읽은 작품은 “푸른 국도의 사과...” 어쭈구(제목을 검색해 보기조차 귀찮음은 뭔지) 하는 작품이다. 작가 사진에서 풍기는 어쩌면, 불온한 이미지도 이 작가의 글에 대한 호기심을 동하는 데 한몫했고. (작가 사진들은 하나같이 뭐랄까 정이현 만큼이나 예쁘다, 라는 소리는 쉽게 나오지 않는데, 길게 죽 이어진 눈꼬리 하며 딱 팜므파탈 같아 보여서 ^^;;;)

그 이후로 부주의한 사랑이라던가, 나는 네가 지겨워 같은 작품들을 읽었다. 꽤 가독성 있게!

나는 배수아의 작품을 대할 때마다 그녀가 지나치게 노후를 걱정하는 것이 작품에 반영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었다. 특히 푸른 국도에서 사과를 파는 할머니를 자신(작중 화자)의 미래와 오버랩시키는 부분이라던지....

아니나 다를까 작가의 말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말도 이 생각과 맥락을 같이 한다.

나는 내가 지금까지 만났거나 혹은 직접 만나지 못한 사람들에게서 빈곤을 읽었다. 가난을 겪은 사람이나 심지어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서도 마찬가지이다. 그것 말고는 사람에게서 아무 것도 읽은 것이 없다고 말할 수조차 있다. 

그리고 이 작품에 나오는 인물 중 하나인, 예술계 저널리즘에 몸담은 20대 초반의 결혼을 앞둔 글자 노동자 또한 어디서 만난 것 같은 전형성을 띤 인물이다. 다음은 이 인물이 남긴 일종의 자기 고백 같은 글이다.

30년 넘게 살아오면서 나는 스스로를 공부하였다. 그리하여 지금 내가 알고 있는 것은, 나는 예술가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 원인으로 가장 큰 것은, 물론 내가 타고나지 않았다는 것도 있지만, 지금까지 일생 동안을, 그리고 중요한 성장기를 빈곤한 환경에서 보냈다는 점이다. 나는 물론 마음만 먹는다면 이런 식으로 계속해서 예술 노동자로 살아갈 수는 있다. 작문이나 미술 성적이 좋아서 학교에서 상을 탄 적도 적지 않다. 나는 글을 쓰고 단어를 선택하고 문장을 다듬고 어디선가 들은 듯한 구절이나 견해가 아니라 내 스스로의 언어로 말하려고 노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예술가가 아니다.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문장이나 원고를 쓸 때, 그리고 그것이 발표되었을 때 나는 내가 어떤 카테고리 내의 답안을 쓰고 있다는 생각을 떨쳐버리지 했다. 나는 통용되는 기준에 적합한, 그러면서도 뛰어나 보이는 답안을 은연 중에 찾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나는 통용되는 것이 아닌, 즉 이리저리 배워서 알게 된 것이 아닌, 내 스스로의 기준을 만들 수가 없었다. 그리고 감히 바라지도 않았다. 나는 현세의 중력을 넘어서지 못했다. 다른 사람이 아닌 바로 나 자신의 일이기 때문에 이렇게 분명히 알 수 있는 문제이다. 그렇다고 하여 내가 예술가가 되고자 욕망한 것은 아니었다. 나는 단지 분명히 알고 있는 것뿐이다. 나는 예술가가 아니다. 나는 빈곤의 기억에서 이렇듯 자유롭지 못하며 내 예술적인 행위의 흉내는 모두 그 기억에 대한 직접, 간접 반응일 뿐이다. 결국 환경의 영향에 반응한 결과물은 아무리 근사한 문장으로 잘 포장되어 있어도, 댄디인 척하는 포즈를 취하고 있어도 수동태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한다. 내가 스스로 사고라고 믿고 있는 것이 열등감이든, 피해의식이든 허세이든 간에 바로 내 인격적 가난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것이 내 한계였다. 내 집안에는 알려진 한도 내에서는 지적인 직업을 가진 사람이 없었다.  중략

내가 본격적인 충격을 받은 것은 대학에 들어가서였고, 내 토양이 황폐하여 인위적인 훈련이나 의지로 극복될 수 없으리라는 것은 대학 졸업학기부터 일하기 시작한 직장에서 아르바이트로 글을 쓰게 되면서부터였다. 그리고 나 또한 그것을 사적인 비밀로 간직하고 싶은 것은 진주를 만나게 되면서부터였다. 진주와의 결혼을 그토록 오랬동안 망설인 것은 가정을 가지고 허울뿐인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편입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도 있었지만 아이를 낳게 될지도 모른다는 공포 때문이었다. 그것은 역시 다른 내 인생의 모든 견해들과 결정들과 마찬가지로 가난 때문이었다. 나는 내 사촌들이 반복되는 가난을 대부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을 보았다. 그 중에는 가장 안정된 일자리를 구한 케이스로 공무원이 된 사촌과 중학교 교사로 취직한 사촌이 있지만 굳이 사무직의 직업을 가졌다는 것을 제외한다면 뭐 그다지 달라지는 것은 없었다. 그들은 부모대부터 내려온 빚을 가지고 있었고 부모를 부양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데다가 결혼해서 아이까지 딸린 상황이었다. 물론 그들이 지금 빈곤에 빠져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솔직히 말해서, 굳이 반복되어야 할 만큼 대단한 삶을 살고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 것이다.




작가의 말

이것을 쓰게 된 가장 직접적인 동기는 빈곤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가장 분명한 빈곤인 개인적으로 겪는 가난, 궁핍으로 인한 고통, 그리고 지금 가장 중요하게 보이는 상대적인 박탈감으로 인한 자기애의 치명적인 상처 등이다. 어떤 시각으로 본다면 현재 빈곤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여질 수도 있다. 보통의 경우라면  말이다. 그것은 더 이상 보편적으로 중요한 화제는 아닌 것 같다. 그러나 내 경우를 말한다면 좀 다르다. 나는 내가 지금까지 만났거나 혹은 직접 만나지 못한 사람들에게서 빈곤을 읽었다. 가난을 겪은 사람이나 심지어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서도 마찬가지이다. 그것 말고는 사람에게서 아무 것도 읽은 것이 없다고 말할 수조차 있다.

모든 사람이 '일반적인 것'만을 써야 한다면 아마도 내가 잘못됐을 수도 있다. 한 전문가로부터는 '만일 네가 그랬다면, 정말로 빈곤한 것은 이 지상에서 너 하나뿐'이라는 조언을 들은 적도 있지만 뭐 나에게는 그렇다 해도 상관 없는 일이다. 빈곤의 범위는 점점 넓어지고 그 경계는 모호해지고 개념은 다양해져서 사회가 진보하고 복잡해질수록 빈곤 또한 따라서 팽창하는 듯하다. 게다가 심지어는 점차 추상적이 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한 빈곤의 모습들은 이것을 쓰는 내내 나를 자극했다. 그러면서 은연중에 터무니없는 욕심을 갖고 있기도 했는데, 빈곤과 마찬가지로 이 원고를 영원히 끝내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지 못했다. 두번째 유감스러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