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1 - 개정판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에는 글들이 넘쳐난다. 우리가 아무리 읽는 일을 좋아해도 아무거나 읽을 수는 없지 않은가. 사람들은 나름대로 넘쳐나는 글들 중에 그 옥석을 가리게 되는 기준들이 있을 것이다.

나의 경우 일단은 내 느낌으로 그럭저럭 잘 읽히는 글이 좋다. 써놓고 보니, 잘 읽히는 글이 좋다는 것도 무슨 기준이랄 수 있을까 싶긴하다. 아무튼...그렇게 해서 한번 신임을 얻은 (내게 읽히는 글을 쓰는) 필자의 것은, 무조건 읽는다 라는 게 나름의 내 기준이다.

이 책 뒷면에 추천 글을 써놓은 세 여자(조선희, 최보은, 한비야)에 대한 믿음으로 이 책을 읽었다. 예전에 <새들은 제 이름을 부르며 운다.>와 <세월>을 읽기도 했었지만, 요즘 들어 한국 소설을 잘 못 읽어내고 있는 내가 작가에 대한 예전과 같은 믿음으로 김형경의 책을 다시 읽기란 쉽지 않은 일.

특히, 최보은은 이 책에 대해 이런 표현을 했다. “이 책은 여자로 사느라고 골병이 든 우리들을 위한 원고지 2천6백 매짜리 처방전”이라고.


페르소나 라는 게 있다. 페르소나는 배우가 자신의 역할을 청중에게 나타내기 위해 쓰던 가면을 일컫는 말이다. 같은 의미로 페르소나는 인간이 자기가 아닌 다른 어떤 것으로 나타내 보이기 위해 사용하는 가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많은 역할을 하고, 그 역할과 타인들의 요구에 맞추어 어떤 행동이나 태도를 취한다. 실제로 현대 생활의 복잡한 사건에 대처하기 위해 페르소나가 유용하며 필수적이기까지 하다. 위선 같은 게 아니다. 그러나 페르소나는 매우 해로울 수 있다. 만약 어떤 사람이 그 페르소나가 진정한 자기의 본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믿는다면 그는 그 역할자 자체가 되어 버린다. 그러면 그 사람의 자아는 오직 페르소나와만 동일시되어 성격의 다른 국면들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게 된다. 그 사람은 결국 진정한 자기로부터 소외되어 팽창한 페르소나와 축소된 다른 성격의 국면들 사이에서 긴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 현상은 심리적 건강을 방해한다고.


이 책은 이렇게 자신의 자아를 페르소나와 동일시 하다가 진정한 자기로부터 소외되어 몸의 이곳 저곳이 아프기 시작한 한 여인이 주인공이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우리 자신의 이야기에도 대입될 수 있다.

 

 이 세상에서 살아가며 하고 있는 모든 역할이 다 속임수이다. 그럼에도 건강한 사람과 건강하지 못한 사람의 차이는, 건강한 사람은 타인을 속이는 데 반해 건강하지 못한 사람은 자기 자신마저 속인다는 점일 것이라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밀밭 2004-05-01 2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이 개정판으로 새로 나왔네요. 이 책을 읽으면서 새롭게 독서에 재미를 붙였던 것 같아요. 김형경의 새책 <성에>는 사 두고 아직 읽지 않았어요.
건강한 사람은 타인을 속이고, 건강하지 못한 사람은 자기 자신마저 속인다는 말 정말 맞다는 생각이 드네요.

님의 글 예전부터 읽었지만 차분하면서도 핵심이 있는 글이네요. 전 항상 정리가 안 된 상태에서 리뷰 글쓰기를 눌러서 정리가 안 된 글도 많네요. 5월에도 행복한 책읽기 하시고, 좋은 서재 만들어 가세요.

icaru 2004-05-07 16: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신을 속이지 않는다....정말 힘든 일 아닙니까....!! 김형경은 이 책에서 스스로에게 사기치지 않기 위해 응어리를 항상 풀어 주어야 한다고 말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