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 결혼 시키기
앤 패디먼 지음, 정영목 옮김 / 지호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재 결혼 시키기>를 읽고 나서, 머릿속으로만 실컷 서재를 결혼시키던 내가 드디어 실제로 서재를 결혼시켰을 때, 나의 서재 결혼은 페디먼과는 많이 달랐다.

나는 남편도 책을 좋아한다는 이유로 우리의 서재 결혼은 훌륭한 화합을 이루리라 너무 몽상에 젖어 있었던 거 같다. 그는 다 읽고 난 책을 잘 내다버리는 스타일이었다. 책을 내다버리는 기준은 그런 것이었다. 이 책을 다음에 다시 들춰볼 것이냐 말 것이냐였는데 제아무리 세기의 문학 작품이라도 다시 읽지 않을 책을 붙들고 있는 것은 허영심과 같은 것이라 생각했다. 그리고 좁고 지반도 약한 집이 책들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면 어떻게 하냐는 오버스런 걱정도 했다.

그런 그가 여기저기 어지럽게 쌓아두고 한번 사면 절대 버리지 않는 나의 책 사랑을 실눈뜨고 대하는 것은 당연했다. 하지만 눈은 그렇게 말하고 있었으나 내 책을 정리해서 버릴 것을 입으로 강요하지는 않았다. 다만 자신의 두꺼운 전공 서적과 기타 수십권의 책 한 리어커를 파지 모으러 다니는 할아버지에게 넘겨 드리는 걸 내가 목격하도록 했다. ‘어떻게 저 책들을 쉽게 한번에 버릴 수 있나’......수십마디의 잔소리보다 더 무서운 한번의 행동이었다.

남편의 무언의 성화에 힘입어 책을 합치면서 같은 책이 두 권이 되었거나, 없어도 그만이겠다 싶은 책들을 40리터짜리 배낭에 한 가득 넣고서, 동네 헌책방에 팔러 갔다. 결국엔 절반 이상을 도로 메고 집으로 돌아왔지만, 책방 주인 왈, 헤리포터나 이문열의 삼국지 류만 받고, 나머지는 값을 쳐주지 못하겠다고, 나머지는 서점에 두고 갈테면 가라하기에 도로 들고 와 버렸다... 그 책들은 집에서도 귀환을 환영받지 못했다. “그냥 헌책방에 마저 두고 오지 왜.” 하지만 성향이 나와는 많이 다른 남편은 조금씩 나를 이해하기 시작한 것 같다. 나 역시 한수레의 책을 버리는 남편을 이해하듯이, 페디먼의 말처럼 사람을 사랑하는 방법이 하나가 아니듯이 책을 사랑하는 방법도 하나가 아닌 것을 깨달은 것이다.

페디먼은 어릴 적 부모님의 책 중에 <부부들>이라는 책을 읽고 성에 대해 궁금증을 불러 일으킨다. 어릴 적에 우리집 다락방에 있던 <수사반장>이라는 책이 기억났다. 하드커버이며 세로 줄로 된 두꺼운 책이었는데 불륜에 얽힌 치정극 같은게 제일 많았고, 난삽한 침실 묘사가 간간히 나와서 애간장을 많이 태우며 엄마 몰래 읽던 기억이 난다.

엔 페디먼의 책 사랑 중에 상당히 이질감을 느꼈던 내용이 하나 있다. 다름아닌, “현장 독서”이다. 책이 묘사하는 바로 그곳에 가서 책을 읽을 것.의 열렬한 신봉자가 페디먼이다. 달리는 평원에서, 굽이치는 급류에서, 안개 낀 숲 강가에서 책이 묘사하는 바로 그 현장에서 책을 읽는다니, 아무리 마음의 눈이 문자로 모든 만족을 얻지 못해 그리한다지만 말이다. 우리 같은 평범한 독자는 현장과 아무 상관없는 곳에서 읽는 것이 팔자인데....평생에 걸쳐 현장 독서다운 독서를 과연 몇 번이나 하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