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은 답을 알고 있다 - 물이 전하는 놀라운 메시지
에모토 마사루 지음, 양억관 옮김 / 나무심는사람(이레)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휴가 기간이라서 모처럼 해가 머리꼭대기에 오르도록 늦잠도 자고, 뎅굴뎅굴 집에서 놀고먹는 즐거움을 만끽하고 있다. 그런데 오늘은 이른 아침부터 집 부근 공사 현장에서 지지징에엥~~뜨르르륵 하는 소리가 단잠을 깨우고 만다. 아침 잠만 깨운 게 아니라 온종일 머리가 지끈해지는 두통까지 남겨 놓았다. 얼마 전에 읽었던 <물은 답을 알고 있다>의 물의 심정이 되어버린다. 시끄럽고 날카로운 진동에는 '일그러진 결정체'를 만들던 물처럼. 이 책에서 말하는 내용은 두 가지 면에서 그럴듯하게 느껴지기도 했고, 거부감이 느껴지기도 했다.
과거와 달리 현대인들에게는 물에 대한 외경심이 사라진 것은 사실이다. 고대 그리스 문명에서는 물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그리스 신화를 만들기도 했건만, 오늘날은 그저 물을 물질로만 보고 기술적으로 정화만 하면 그만이라는 생각을 한다. 그리고 이런 생각에는 경고를 해야 할 것임은 분명하다. 저자가 여기까지만 언급을 했더라면 좋았을 것을 그만 거부감이 드는 사족으로 이어지는 징후가 보인다. '인간의 몸이 70%가 물이며, 물은 생명을 낳는 어머니임과 동시에 생명 그 자체이며, 세상은 물이다.'라고. 자칫 물에 대한 숭배(?)로까지 나가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저자는 전세계에 강연을 다니는데, 전 세계 각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물 결정을 보고 충격을 받기도 하고 무한한 감동도 받고, 하는 부분들을 좀 과하다 싶게 강조하여, 독자는 마치 자기 신념에 도취되어 흥분한 강연자를 보는듯한 인상을 받는다. 또한 이렇다할 합리적이고 과학적 설명보다는 '생각이 물질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비과학적이라고 하였지만, 지금 최첨단 과학은 정신이나 상념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영역까지 해명하려 하고 있다고. 그리고 '물의 결정'이 보여 주는 예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할 뿐이니.
이렇게 비판을 하고 있지만, 사실 나도 물 결정들을 보고 많이 놀랐다는 건 시인해야겠다. 방치하고 무심하게 버려둔 물 결정은 형편없이 일그러져 있고, '너 정말 예뼈'하고 자주 말을 건 물 결정은 형태가 아주 깨끗하다. 그런데 이것도 단순히 물 뿐이 아니라, 사람의 의식이 반영되어 변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식물'도 그렇고, 아무튼 세상에 모든 사물이 그러한 이치에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내가 누군가를 미워하면 아무리 티를 내지 않는다고 해도 미움받는 상대방에게는 내 마음이 느껴지듯이 말이다.
나는 그냥 이런 맥락으로 이 책을 읽었다. 조금 더 즐겁고 편안한 세상을 살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에게 그리고 주변의 사람에게 밝은 파장을 전달해 주면 좋겠다고. 그러기 위해선 말 한마디도 부드럽게 하고, 표정 하나도 기왕이면 밝게 갖는 게 좋겠다고. 좋은 게 좋은 거 아니냐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