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버지 나의 어머니
지아오 보 지음, 박지민 옮김 / 뜨란 / 200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은 소박한 만족에서부터 오는 것일 터인데, 작은 것에 만족하며 사는 것이 정말 쉽지가 않다. 가진 것을 지키기 위해 신경을 곤두세우고, 남보다 뒤처지지 않기 위해 눈알을 굴려야만 그럭저럭 벼텨낼 수 있는 일상을 지내면서 심신이 몹시도 지쳐옴을 느낀다.

이 즈음에 발견한 이 책. 나의 아버지 나의 어머니. 현재 부모님이 계신 곳, 내가 십대 후반까지 자라왔던 그 곳을 생각한다. 그리고 어머니와 아버지를 생각한다. 이 책을 엮은 사진작가 지아오 보의 아버지처럼, 우리의 아버지는 식구들의 생계를 꾸리기 위해 못박힌 투박한 손으로 일을 해 오셨고, 지아오 보의 어머니처럼 어려운 살림 가운데서도 소박한 사랑으로 자식들 곁을 지켜 준 어머니가 계셨다.

사진 속 두 내외의 주름진 얼굴, 단촐한 살림이 나의 시골에 계신 그분들을 떠오르게 한다. 지아오 보의 아버지는 어린 아들에게 목공일을 가르치면서 이렇게 말한다.

'목공이 되려면 3년 동안 톱질을 해야 한다. 그 세월은 톱질을 배우는 데 필요한 게 아니라 두 가지 도리를 깨닫는데 쓰이는 시간이다. 첫째는 두 사람이 서로 도와야만 하나의 일을 완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인내심을 배우는 것이다. 일을 하다가 뜻대로 되지 않고 재미가 없어도 온 정성을 다해 열심히 해야 한다. 이 두 가지만 깨우치면 다른 모든 일을 어떻게 하든 해 낼 수가 있다. 일에는 사람이 할 수 없는 게 있고, 하지 않는 게 있다. 그러므로 할 수 없는 일은 하지 않되, 할 수 있는 일은 그냥 열심히 하다보면 다 된다.'

그리고 지아오 보에게는 환갑을 바라보는 정신 지체자 큰형이 있다. 어머니는 벌써부터 큰 형의 수의를 준비하고 계셨다.

'네 형은 일생을 살아오느라 너무나 많이 힘들었다 게다가 자식도 없이 외롭게 살지 않느냐 그 애가 이 세상에서 누릴 수 있는 기쁨이란 게 뭐가 있는지 모르겠다. 그러니 이 에미가 아끼고 안타까워하지 않는다면 누가 네 형을 위해 주겠느냐?'

그밖에 할아버지는 태산에 오른 적이 한번도 없어서, 그 대신 아버지가 할아버지의 초상을 가슴을 안고 태산 정상에 오르는 사진, 지아오 보의 마을에서는 부부가 잠을 잘 때 서로 발바닥을 맞대고 자는데 지아오 보의 어머니 아버지가 발바닥을 맞대고 자는 모습을 담은 사진도 내 마음에 깊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