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인간 - 인류에 관한 102가지 수수께끼
마빈 해리스 지음, 김찬호 옮김 / 민음사 / 1995년 5월
평점 :
절판
비문학을 이제 조금씩 조금씩 접해 가고 있는 나는 비문학 특히 문화 인류학 방면에 대한 흥미를 좀 갖게 되면 좋겠다 하고, 그 방면의 책을 고르려 했던 시점에서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이 책이 그야말로 대중성과 전문성이라는 두 가지를 제대로 소화시켜 주는 문화 인류학 책이라하니....
이 책을 읽고 난 지금에 와서 생각해 보니, 나는 이 책을 읽었다기 보다는 글자를 감상했다고 말하는 쪽이 적절한 표현일 것 같다. 아는 만큼 보인다더니, 아쉽게도 이 인류에 관한 102가지 수수께끼 중에, 내가 흥미와 이해를 구할 수 있었던 것은 절반 정도이다. '우리는 왜 과식을 하는가', '우리는 왜 잔치를 벌이는가', '우리는 왜 뚱뚱해지는가', '왜 여자들의 가슴은 늘 풍만한가', '근친혼을 금지하는 유전자가 있는가', '남자는 여자보다 공격적인가' 등등은 재미를 갖고 읽었지만, 다른 주제들은 소화하기 어려웠다. 왜 그랬을까.
그 이유에는 두가지가 있을 것 같다. 하나는 102가지의 주제 각각이 주는 느낌은 흥미로왔음에도 독자인 본인의 배경 지식의 저급함 때문이었던 것 같고, 두 번째 이유는 글쓴이의 글쓴 방식 때문이었던 것 같다. 어떤 현상에 대한 해석이나 이론을 두고 해리스는 그 논리적 타당성을 치밀하고 집요하게 점검한다. 그리고 그 바탕에 깔려 있는 암묵적인 전제, 너무나 당연시되어 제기되지 않았던 문제, 거의 무의식적으로 지속되는 고정관념 등을 새삼 꺼내 검토한다. 이리하여 같은 사물에 대해 전혀 다른 접근의 방식이 있음을 보여 준다. 한마디로 결론이 없으니, 뭘 최종으로 수렴해야 할지 이분법에 익숙한(인류의 문화는 크게 미개와 문명이 있다고만 사려하는) 독자는 당황을 하는 것이다.
아직도 텔레비전에서 소개되는 오지 탐험과 같은 프로에서 나오는 기이한 장면들을 유람하듯 즐겨 보며, 호기심을 갖는 수준의 이 독자가 인간의 다양한 생존 경험을 생각해한다며 인류학 책을 뒤적이기엔 아직 갈 길이 먼 것 같은 느낌을 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