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귀 맞은 영혼 - 마음의 상처에서 벗어나는 방법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장현숙 옮김 / 궁리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알이엠의 'everybody hurts'라는 노래를 들으면, 사람은 누구나 상처를 받는다고 나직이 읊조린다. 굳이 이 노래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잘 안다. 사람이란 얼마나 상처받기 쉬운 존재인가를.서평에 대놓고 돌이켜 보기엔 좀 뭣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이 책에 나온 상황들과 이론들을, 골백번도 더 나의 지난 경우들에 대입해 보게 되었다. 내가 대인 관계에서 가장 '맘 상하기'를 곧잘 했던 시절은 대학 다닐 적이었다. 이상하게도 매사에 자신이 없던 나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비판을 받을 여지가 있는 말은 아예 입 밖으로 내지를 않았고, 그래서 말수는 당연히 적었다. 나를 진심으로 걱정해서 해 주었을 법한 친구의 충고에도 쉽게 맘이 상했다. '이런 나의 모남과 여림을 가장 잘 이해해 주리라 생각했던 너조차 나에게 비판을 하다니......'라고 생각하면서.

그 당시 나의 '친구'에 대한 정의는 '나에 대해 무조건 동조해 주는 사람'이었던 것 같다. 이렇게 자신감 없음과 열등감으로 뭉쳐 있던 나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존심 마저 버린 사람은 아니었다. 오히려 남보기에 자존심이 무척 세어 보였을 것이다. 그러나 슬프게도 그것은 자신의 말과 행동,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해 굳은 확신을 갖고 있어서, 마음을 다치는 일도 상대적으로 적은 '진정한 자존심'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를 동정하고 마음 다칠까봐 두려워 맘을 꽁꽁 애워싸기 일수인 '자기애적 자존감(이 책에서 말하는)'이었다.
나 또한 이 세상에 흔하게 있는 환자 중에 하나였다. (지금은 극복하려 노력 중이고,) 이렇게 마음 상함을 상습적으로 겪곤 하는지라, 이 책의 저자가 내 이웃의 잘 아는 언니 같았다면, 아마 문지방 닳도록 이 댁을 방문해 조언을 얻었을 법하다.

저자는 상처를 잘 받는 체질(?)의 성인으로 굳어지는 것의 최초 원인을 어린 시절의 경험에 둔다. 아이는 엄마와의 유대감을 경험하면서 자신에 대한 좋은 인상, 자존감,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이 생길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이 선하며 그들이 자신을 도와 줄 거라는 믿음이 뿌리내리게 된다고 한다. 인성은 바로 이러한 체험을 바탕으로 해서 생겨난다는 것이다. 반대로 아이 적부터 착취당하거나 경멸받고 냉대받거나 무심하게 홀대를 받은 경험이 있다면, 이 어린 영혼은 앞의 예와 반대 현상을 나타내는 성인이 되는 것이다. 이로 미루어 어린 시절의 경험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부모 노릇이 얼마나 막중한 것인가를 깨닫게 된다. 하지만 사실 이 점 때문에 또 한가지 의혹이 들기도 한다. 저자는 지나치게 모든 인성 장애의 요인을 그 사람의 어린 시절에 두고 있는 게 아닐까.

예를 들어, 그녀의 임상 사례의 유형은 대체로 이렇다. 한 여자가 있다. 이 여자의 애인이 갑자기 그녀를 떠나버린 것이다.(물론 이 여자의 입장에서의 해석이 그렇다.) 이 여자는 아무도 자신을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조금만 무심해도 화를 낸다. 그런데 상담자(저자)가 진단한 그 내상의 원인은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어린 시절 그녀의 부모는 끊임없이 그녀를 통제하면서 그녀가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없게 했다. 이런 어린 시절 겪었던 실망감 때문에 정도 이상의 상처를 받고 심하게 화를 내는 인격 장애를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설혹 유년 시절을 잘못 보내, 인성에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이미 지나온 유년 시절이 아닌가. 비디오테이프처럼 되감기를 해서 당시로 돌아가, '엄마 아빠에게 저를 이렇게 홀대하거나 엄하게 윽박지르지 말아 주세요...제 인성에 이러이러하게 좋질 않네요...' 라고 조언을 해 주고 다시 새로운 유년기를 보낼 수도 없으니 말이다. 그렇다면 상처받은 영혼을 어떻게 치유해 주나, 저자는 말한다. 상대에게 '마음 상했음'을 말로 고백하는 것, 관계를 끊는 대신 거리를 두기, 자존감을 확립하기, 공감과 화해를 이루기, 그리고 희망...느긋함....

 

'우리는 서로에게 과도한 기대로서 존재한다. 과도해지지 않으려면 자신을 사랑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