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로부터의 귀환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전현희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집필되기 전, 우주비행사들이 표현한 우주 체험은 단순히 '뭐라고 표현하기 힘든 기묘한 경험이었다' 식의 서술로 일관되었었다고 한다. 우주 체험의 절정을 이루는 부분조차 당시의 우주 비행사 자기의 내면에 관련된 기록은 전혀 없었다고. 그러나 그들의 글의 행간에는 자신의 거대한 체험과 그 의미를 좀더 잘 전달하고 싶어도 잘 되지 않는 것에 대한 답답함이 묻어났다고 한다. 그도 그럴것이 이들은 이공계통의 전문가들이며, 그럴싸한 표현을 구사할 수 있는 시인도 철학자도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아폴로 11호의 우주 비행사 마이클 콜린스의 말처럼 만약 우주비행사가 시인이나 철학자라면 우주선은 우주에 도착하지 못했을 것이고, 도착했다고 해도 지구로 귀환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한 말은 일리가 있다.)

이렇게 쓰고 있는 쪽도 답답하고 안타까울테지만 읽는 쪽은 더 답답한 우주 비행사 우주 체험기가 횡행한 와중에, 다치하바나 씨는 우주 비행사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의 체험을 종합적으로 보여 주는 이 책을 집필한다. 이 책을 통해서 보니, 정말로 우주 비행사들은 우주 체험 이후 사고 방식과 인생관에 큰 변화가 있었다.

개인적인 에피소드 면에서 보았을 때는 귀환 후 정신 질환을 앓고, 우주 비행에 대해서 공개적인 언급을 꺼려하는 엘드린의 이야기가 제일 극적으로 느껴졌다.

그리고 우주 비행사들 한 말 중에 이런 말이 내게 제일 그럴 듯하게 들린다. 핵전쟁이 일어나지 않아도 지구상의 미래에는 밝은 전망이 없다고. 왜냐 하면 그건 인간이라는 종 내부에서 점점 획일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란다. 이것은 모두, 교통 통신의 발달과 환경의 획일화라는 문명이 초래한 현상에 의한 것이다. 하나의 종이 건전한 생명력을 보존해 가기 위해서는 다양성이 필요하다. 그런데 지구 위에서 인간의 환경은 획일적으로 온건하게 되어 간다. 이런 종은 종으로서 약해져 간다. 언제 어떤 일이 원인이 되어 대파멸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것이다. 그에 비해 우주에 진출한 인간은 우주라는 가혹한 환경에 단련되어 보다 강한 종으로 발전해 갈 것이라고.

9.11 테러 이후 미국 국민들의 애국심이 왜곡되어 나타난다. 전쟁을 지지하는. 사람들로 거듭나고 있으니 말이다. 그런 극보수애국주의 성향의 미국인들이 이 시점에서 읽어 줘야 할 책이 바로 <우주로부터의 귀환>이 아닐까.

우주에 나가면 국가간의 대립 항쟁이 얼마나 바보같은 짓인가 하는 인식이 생긴단다. 그리고 혹독한 우주 환경이 우주로 진출한 인간끼리 서로 의존하도록 만들고, 살육하기 보단 서로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금방 알게 된단다.

지구에 있는 인간은 결국 지구 표면에 찰싹 달라붙어 있을 뿐이며, 사물을 평면적으로 밖에 볼 수 없다. 평면적으로 보는 한 평면적인 차이점만 자꾸 눈에 띈다. 왜 미국보다 훨씬 못사는 약한 나라가 철혈강국 미국에게 무모해보이는 테러를 자행하려 했었는지는 헤아려보려는 태도는 취할 생각도 없이, 그저 눈에는 이에는 이라는 식으로 무차별 공격을 가한다. 이렇게 극보수애국주의자들에게 우주로 나가보라고 해야 한다.

그러면 이 사람들의 인생관에 큰 변화가 생기겠지. 그리고 자국의 강력한 에너지를 밖으로 향하기보다는 안으로 향하여 쏟게 될 것이다. 한 사회의 복지와 한 가정이나 가족, 더 좁게는 자신의 내적 정신 상태 같은 것을 가장 먼저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지난 시간 현실 속의 우리들이 얼마나 한심스러웠는가를 생각하게 될 것이다. 현실의 인간이 얼마나 에고 덩어리이며, 다양하고 저급한 욕망, 증오, 공포 등에 사로잡혀 살아가고 있었는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