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 긋는 남자 - 양장본
카롤린 봉그랑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마구마구 책을 읽어 댈 수 있는 형편이 아니다. 그래서 한 번 잡은 책은 무리하게 속도를 내어 읽으려고 하는 편이다. 철학 관련 책자들을 읽을라지면, 처음 부분을 읽다가 말다가 하다가 결국엔 내던져 버리기 일수이다. 속도가 붙질 않으니 말이다. 그렇다고 지지부진하게 무한정 붙들고 늘어져 있을수도 없지 않은가. 그러다보니 이젠 이것이 아예 하나의 독서 패턴으로 자리를 잡아, 책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인문 철학 관련류의 책은 애초에 배제해 놓는다.
누군가 말했다. 책을 현명하게 읽을려면 어려운 책과 가벼운 책을 적절히 배합해 가면 읽어야 한다고, 어제까지는 좀 어려운 책을 붙잡고 씨름을 했으면, 오늘은 심각해지지 않을 책을 잡아야만 끊임없이 책을 읽는다는 행위에 있어서, 균형 감각 같은 것이 생긴다는 요지이다. 나의 경우에는 항상, 읽는 행위가 계속될 수 있도록, 그러니까 책읽기에 대해 한없는 애정을 갖도록 하는 책들은 후자, 그러니까 가벼운 소설책이었던 것 같다.
<밑줄 긋는 남자>는 딱 그 쪽이다. 이 책은 책에 대한 이야기다. 여기에, 로맹 가리라는 소설가를 좋아하는 발랄한 스물 다섯 살의 여자 주인공 콩스탕스가 있다. 그 여자는 자신이 아닌 다른 무엇인가와 소통을 꿈꾸는 여자이다. 왜 누구나 그렇듯 이 여자도 지금 속이 많이 허하다. 이 때 마침 도서관에서 빌린 책의 밑줄 친 부분들이 마치 자신에게 말을 걸고 있다고 느낀다.
콩스탕스 또한 밑줄을 긋는 형식으로 알 수 없는 이 타자와 연애를 시작한다. 그러면서 시간은 흘러간다. 그 시간 동안에 별 의미없이 다른 남자를 사귀다가 헤어지기도 했고, 한동안 책 읽는 걸 중단하기도 했다. 밑줄을 긋는 남자가 너무나 소극적인 방식으로 나온다고 느꼈고, 콩스탕스는 그 모든 것이 너무 더디게 느껴졌던 것이다. 결국에 콩스탕스는 책을 통해서가 아니라 직접 그 밑줄 긋는 남자에게 편지를 보낸다. 도서관 사서인 지젤을 통해서.
책은 콩스탕스로 하여금 타자와의 교류를 꿈꾸게 만들었다. 결말에서는 주인공 콩스탕스가 그리던 그 밑줄 긋는 남자를 만났는가? 이건 다음에 책을 읽을 사람들을 위해 여기까지.... 지금 내가 조조거리면 재미없다.
내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이것이다. 이 모든 이야기와 이 모든 일상이 모두 '책'이라는 형식을 통해 가능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