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개츠비
F.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정현종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3월
평점 :
절판


보통 책은 책을 통해 소개 받는 경우가 많다. 일테면, 밑줄 긋는 남자에서 로맹가리의 소설들을 소개 받고, 상실의 시대를 통해 이 소설 <위대한 개츠비>를 읽고 싶어하듯 말이다. 나는 최근 뉴욕과 관련된 책들을 몇 권 읽었는데 시공 디스커버리에서 나온 뉴욕을 읽다가 <위대한 개츠비>를 읽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되었다.

나는 이 소설을 읽고 나서 다시 한번 느낀 게 있다. 외국 소설은 번역자를 잘 보고 읽어야 한다는 사실을… 시인이 번역한 소설은 남다른 데가 있을 거라는 생각은 역시 편견이다. 다른 번역자의 ‘위대한 개츠비’를 읽었더라도 이렇게까지 맥락이 끊기는 단절감을 수시로 경험해야 했을까? 정현종 님의 번역을 에누리없이 말하자면 그거다. 당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것.

이 소설이 유명세를 동반하는 것은 1920년 당시의 뉴욕 상류 사회의 모습, 특히 남녀 관계, 결혼 생활, 부자에 대한 모습을 현실적인 감각으로 그려내고 있다는 데에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고전 중에 고전의 형태인 로망스를 담고 있다는 것. 어릴 적에 읽어대던 하이틴 로맨스들은 <위대한 개츠비>의 형식을 빌어 답보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마저 미치었으니.

데이지는 한낱 군인에 지나지 않던 5년 전 신분의 개츠비를 사랑하고는 있었으나, 그가 옥스포드로 파견을 가게 되어 데이지 곁을 떠나게 되었을 때, 데이지는 차분히 개츠비를 기다릴 수 없었다. 그녀는 자기 인생이 타자에 의해 어떤 확실한 형태를 갖추어지길 바랬고, 게츠비가 귀향하지 못하고 있는 그 상황은 무척이나 불안했으리라, 그러다가 만난 부유한 톰에게서 어떤 안도감을 느꼈고, 그와 결혼을 하게 된 것이다. 5년만에 만난 부자 개츠비를 보고 그에게 마음이 가는 걸 느꼈지만 현재의 남편과 이혼을 해야 하고 어찌하는 둥의 일련의 일들에 엄두도 안 났으리라.

반면, 이미 유부녀가 된 사랑하는 여인 데이지를 되찾으려는 개츠비의 노력은 그가 갖춘 위엄과 재산의 정도로 보았을 때, 가히 귀엽고 순진해 뵈는 수준이기까지 하다. 그러나 그것은 너무 지나친 야망을 품은 것이었다. 왜냐, 데이지와 게츠비는 너무나 다른 성향의 사람이라는 데, 둘이 재결합이 불가능한 결정적인 이유가 있다. 데이지 쪽의 삶의 스타일은 엉성하며, 무책임하고, 산뜻하며 경쾌하다면, 개츠비는 그와 다르다. 개츠비의 뚝심과 책임감은 데이지가 저지른 교통 사고의 책임까지 스스로 짊어질 정도이다. 결국 그 사건이 개츠비의 죽음을 불러오게 된다.

이 스토리는, 태생적으로 부유한 사람과 후천적으로 부유해진 사람이 결합하고자 하는 데서 발생한 비극적인 에피소드같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내내…이 작품의 주제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면 않을 그런 주변적 문제에 대한 생각에 빠져 있었다. 이 소설에 드러난 돈 있는 사람들의 무책임과 삶의 엉성함 대한 것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