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스케치
장 자끄 상뻬 글 그림, 정장진 옮김 / 열린책들 / 1998년 12월
평점 :
품절


'물 반 고기 반' 이라는 말을 끌어다가 표현을 하자면, 이 책에는 '글 반 그림 반'이라고 부칠 수 있다. 그리고 이 말에는 그림이 글보다 할 말이 더 많아 보였으며, 그림 때문에 더더욱 좋은 작품처럼 느껴졌다는 의미도 포함시키고 싶다.

특히 좋았던 그림은 43쪽, 거실의 창 밖으로 보이는 야경이 너무 좋아서 일(집필)이 잘 되지 않는다고 고민하는 어떤 남자의 모습을 스케치한 것과, 94~95쪽에 나온 '뉴욕에선 모든 사람들이 뭔가를 들고 다닌다네, 시 전체가 언제나 공사중이라서 그런지 모두들 이사를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라네.'가 인상적이었다. 보통, 사람들이 도시 생활을 그나마 사랑하는 이유는, 뭔가가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대도시의 역동성을 좋아하기 때문일 것이다.

쌍빼가 그린 뉴욕에서의 생활의 모습들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과의 연락이 끊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연락망을 공고히 한다. 역동적이고 열성적이다 보니, 항상 새로운 것 일테면 신형 모델의 **, 새로 생긴 레스토랑을 찾아 다니며 밥을 먹는 취미를 갖게 된다. 사람들을 대할 때, 상대방의 말에는 호들갑스러울 정도로 잘 응대해 준다. 미혼 여성들은 결혼을 할 것인지, 직장을 생활을 계속할 것인지 고민하고, 결혼을 결정한 사람들 중 하나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저는 하마터면 오직 자신의 일을 위해서만 매진하는 커리어우먼이라는 환상의 노예가 될 뻔했어요' 그리고 주부들은 창조적인 일을 하면서 자아를 실현시켜야 한다는 강박증에 빠져 있다.

이 중에는 나의 모습도 있고, 아닌 것도 있지만 대다수는 이와 다르지 않다. '여기 뉴욕에선 모든 것이 번성해야만 한다네. 발전해야 한다는 말일세. 가장 보잘것없는 것에서부터 큰 일에 이르기까지 여기선 누구든지 뭔가 대단하고 창조적인 일을 하려고 한다네.' 뉴욕에서는 모든 일이 잘 되어 간다. 그런 것처럼 보인다. 서울에서도....그렇지 않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