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바퀴 반 3 - 인도차이나 남부아시아
한비야 지음 / 금토 / 1998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한비야의 인도차이나와 남부아시아 여행에 대한 기록이다. 순전히 베트남에 대한 정보를 좀 얻을 수 있을까 해서 읽게 되었던 책. 다 읽은 후엔, 베트남도 베트남이지만, 인도의 겐지즈 강가 '바라나시'와, 파키스탄의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부터 중국 신장지방의 카슈가르에 이르는, 세계에서 제일 험하고도 경치가 멋지다는 '꿈길'. 그 두 곳을 죽기 전까지, 만사가 다 귀찮을 정도로 몸이 운신하기 힘들어지기 그날이 오기 전까지는, 꼭 가보고 싶다는 결심을 했다.

<중국견문록> 이후 한비야의 책은 이 책이 두 번째 읽는 것이다. 덜하고, 더하고를 비교할 수 없이, 둘 다 재밌었다. 아니 사실은, 누가 쓴 것이든, 어느 지역을 다녀온 것이든, 이 세상에 쓰여진 모든 여행기는 다 나름으로 깨가 쏟아지게 재밌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이 부분은 한비야의 책을 이야기하기 위한 자리니까, 그의 책의 특색에 대해 몇자를 더해야 겠지.

그는 주로 모든 위험과 고생스러움을 무릅쓰고, 굳이 산간 오지 마을로 찾아가 민박하며, 민박집의 집안일도 돕고, 풍속도 익히며 지내는 여행을 좋아한다. 그 지역이 생사의 촌각을 다투는 난민촌일지언정, 어디든 땡기는 곳은 찾아들기를 서슴치 않는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그의 생생한 논픽션을 듣는 맛에 손에 땀을 쥔다. 그러나 한비야가 탈레반의 공격을 피해 파키스탄으로 들어온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이 주거하는 경계 삼엄한 난민촌에 잠입한 부분에서는 너무 무리한다 싶은 생각이 들기까지 했다. 한비야 본인의 목숨은 물론 혹, 연루된 가족들의 목숨에도 위험이 따를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하지만 이런 참상을 목도한 경험들을 통해서, 한비야가 남은 일평생 바쳐 난민을 위한 국제 기구에서 일하려 하는 결심을 굳히게 된 계기를 만들기도 했을 것이다.

미안마 북부 지방 산간 마을에서 즐겁고도 고된 식모 생활(?)을 했던 이야기, 아이 셋을 데리고 보트 탈출을 열세번이나 했던 라이 따이한의 당당한 어머니, 베트남 딥 아줌마와의 멋진 만남, 만하루를 꼬박 걸어서 찾아간 라오스의 산간 마을에서 만난 넉넉하고 순박한 사람들과 함께한 이야기, 방글라데시의 오지 마을에서 여자들이 쇠똥을 긁던 손, 제대로 씻지 않고 밀가루 반죽해 만든 호떡 같이 생긴 짜대타를 맛있게 먹은 한비야. 정말 이런 다채롭고도 푸근한 경험들이라니...아흐~~~너무 부럽다.

그러나 종횡무진 과격 만빵의 팔팔한 한비야도 그 다혈질로 인해, 굳이 겪지 않아도 좋았을 일들도 몇 차례 겪게 되는데(이것 또한 여행기를 읽는 맛이지 않은가..), 캄보디아에서 비행기가 아닌 뱃길로 태국에 밀입국하려다가(한비야는 남이 하지 말라는 건 꼭 하고 싶어하는 성미가 있다^^.) 실패하고(이 일 때문에 보트를 몰던 뱃꾼이 태국 경찰들에게 맞아 죽을 뻔함.), 다시 비행기를 타고 태국에 가려다가 그것 마저도 잘 되지 않던 차에, 통 아저씨라는 유순한 입국 심사 책임자(비야님이 만나본 캄보디아 사람들은 대체로 잘 웃고, 순한 기질을 소유했다고 한다.)를 만나는 행운으로 간신히 비행기를 타게 된 한비야.(통아저씨에게 통사정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더라면 어쩔뻔 했나...그래 봤자, 일정에 조금 차질이 오는 정도였겠지만..)

불과 8~9년 전만해도 인도차이나와 남부아시아로의 해외 여행이 당국의 까다로운 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 여러모로 어려웠고, 자유 여행이 가능하게 된 건 얼마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일례로, 베트남의 경우에는 한국 기업들의 공장들이 많고, 그 때문에 예전보다 많은 수의 한국인들이 베트남 현지에 가 있는데, 베트남 사람들이 바라 본 한국인들의 인상은 그다지 좋지 않다고 들었다. 현지인들을 너무 얕보고 함부로 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앞으로 나에게도 인도차이나로의 여행 기회가 생길지도 모른다.(그럴 날이 분명 있을 것이다. 나는 호시탐탐 멀리 나가볼 기회를 노리는 사람이니까.) 그들에게 정감가고 풋풋한 한국인의 인상을 심어 주기 위해서라도, 해외에 나가서는 행동을 조심해야겠다고 작은 다짐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