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그의 소설을 단 한권도 읽은 적이 없는 나는, 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를 몇 편 본 이후로 그의 팬이 되기로 작정을 했었다. <미저리>나 <스탠바이미>, <캐리>, <쇼생크 탈출>, <돌로레스 클레이본>.

초등 6년 때,중학교 입학을 위한 반편성 배치 고사가 같은 게 끝나면 학교에선 으레 단체 영화 관람 같은 게 있었다. 그때 본 스티븐 스필버그의 <구니스>. 거기선 아이들이 보물을 찾으러 부모님 몰래 집을 나선다. 험난한 모험에서, 집으로 돌아와 안락한 집, 따뜻한 부모의 품에 안길 때, 그 장면이 너무나 포근하게 느껴져 미국의 중산층 가정이 내가 꿈꾸는 가족들의 이상향인 양 여겨지기도 했었다. 그러나 조금 머리가 커지고 나서 스티븐 킹의 <스탠바이미>를 봤을 때, 미국에는 그렇게 따뜻한 중산층 가정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걸 알았고,(이 영화에서의 소년들은 모험 도중에 집에 돌아왔다가 부모님께 엄청나게 혼이 나고, 그 다음날 그렇게 다시 짐을 꾸려 또 모험을 떠난다.) 내 취향이 서민층을 그린 영화에 깊게 감응한다는 걸 알게 된 계기이기도 했다.

이건 그냥 비교하기 좋은 한 예일 뿐이고, 스티븐 킹의 원작 영화들 기저에 깔린 골자는 단 하나 '간절하게 원하는 꿈은 언젠가는 이루어지며, 착한 사람이 나중엔 승리한다'는 것이다. 마치 그 원형이 우리 나라 전래 동화에서 따온 것들만 같아서, 친근하게도 여겨지는 참이다.

그러던 중에 최근, <유혹하는 글쓰기>라는 제목에 '스티븐 킹 창작론'이라는 부제가 붙은 책이 나왔다는 소식을 접했다. '스티븐 킹'까진 좋은데, 창작론...이라니, 나는 '*** 창작론'이라는 제목의 책들에는 애시당초 신용을 갖기가 힘들었다. 글쓰기 관련 책을 잘 읽어낸다고 해서 글을 잘 쓰게 되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고난이도의 무공이 한 권의 책으로 전수될 수 있다는 것은 무협 관련 예술물에서나 가능한 이야기가 아닐까. 게다가 내가 지금 이 책을 읽게 되면, 스티븐 킹이 활자로 펴낸 것은 처음(늘 영화만 보다가) 접하게 되는 건데, 혹 내용의 실망스러움으로 인해, 애써 쌓아온 신뢰가 무너지지 않을까 하는 노파심이 앞섰다. 그런데 결론만 말하면 이 책은 나의 노파심이 진짜 노파심이었다는 것을 여지없이 증명하는 책이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그가 그의 아내를 매우 신뢰하고 사랑하는 모습이었다. 작가들은 대체로 글을 쓰면서 가상의 독자를 상정해 놓고, 그 독자가 흥미를 끌만한 글이 되도록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경향이 있다고 실토하는데, 스티븐 킹에게 있어 가상의 독자는 바로 그의 아내이다. 익히듣기로 '위대한 예술가는 일부일처제에 약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스티븐은 달랐다. 그가 위대한 예술가가 아니라 위대한 이야기꾼이기 때문에 그런 건가?

그리고 또 한가지는, 예비 작가들의 한결 같은 고민이지만 그 어떤 책에서도 잘 다뤄주지 않는 내용인, '글을 투고하고, 저작권 대리인을 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에 대해서 이 책이 실정에 맞는(우리 실정엔 잘 안 맞을 수도~) 조언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부분은 이제 막 작가의 길에 들어선 초심자 작가들이 애를 먹곤 하는 부분이라고 알고 있다. 혼자 방안에서 글만 잘 쓴다고 위대한 작가가 되는 건 아니기에, 작가가 되려면 일련의 이러한 작품 외적인 문제에도 돌파구를 만들어 둬야 하는 것이다.

스티븐 킹이 오늘날 최고의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것은 재능의 몫이 컷겠지만 그보단, 세탁 파트 타임직과 고등학교 영어 교사 생활과 소설 쓰기를 병행하는 등의 경제적인 이유로 겪었던 젊은 날의 고생스러움이 오늘날의 위대한 이야기꾼인 그를 만들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도 해 본다. 맨 마지막 인생론에서, 스티븐에게 창작의 행위는 막연히 '고통스럽기만 한 것'도, '돈을 얻기 위한 수단'도 아니었다고 말한다. 창작은 그에게 '어려운 상황에서도 힘이 되어 주는 무엇이었다'고, 그리고 글쓰기란 궁극적으로 작품을 읽는 독자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아울러 작가 자신의 삶도 풍요롭게 해 준다고 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