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아 아, 사람아!
다이허우잉 지음, 신영복 옮김 / 다섯수레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학 3학년 때 이 책을 읽을 기회가 있었다. 중문학을 전공하던 친구가 색색이 밑줄까지 쳐가며 읽은 책을 그대로 선물로 받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30페이지 가량 읽고 도중하차하고 말았다가, 거의 6년이나 지난 지금에서 다시 펼쳐보게 되었다. 그건 다름아니라 최근 부쩍 지난날 중국에서 있었던 문화 대혁명에 대해 알고 싶은 욕심이 들었고, 더욱이 소설 속에서라면 그 구체적인 실체를 절절하게 느낄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었다. 그렇다. 이 책은 문화 대혁명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 혁명에 대한 비판을 주제로 한다기 보다는 그러한 역사적 격동이 인간과 인간 관계에 어떠한 충격을 주었으며 또한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소설의 전개 방식은 이렇다. 이 책의 핵심적인 주인공이라고 볼 수 있는 손유에와 호 젠후를 비롯하여 11명의 중요한 등장 인물이 각각 자신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서술해 나가고 있다. 이들 중엔 호 젠후와 손유에와는 입장을 달리하는, 시대의 흐름에 재빨리 영합했던 시 류와 첸 유리 요뤄쇠 같은 인물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입장을 가진 사람들이 서술의 주체로 나서는 것은 작가가 인간의 총체적이고도 본질적인 모습을 효과적으로 보여 주기 위해 채택한 표현 방법인 셈이다. 내 나름대로 이 11명의 주인공들을 그들의 인생관에 따라 세 부류로 분류할 수 있
을 것 같다.

첫 번째 부류는 손유에와 호 젠후를 중심으로 시왕 등이 해당되는데 이에 속하는 사람들의 인생관은 다음과 같다. 인생이나 사물에 대해 독자적인 견해를 갖고 독특한 태도를 취하며. 자기가 옳고 아들답다고 생각하는 목표는 열심히 추구한다. 인간이란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고, 인간의 가치를 중요시한다. 인생이 항상 그러하듯 이들에게는 특별히 모진 시련이 닥쳐오지만 이들 특유의 강렬한 자존심과 자애와 자신감으로 이를 극복해 나간다.

두 번째 부류는 손유에와는 유일하게 자매와 같은 동지애를 느끼는 인물로 설정되어 나오는 '리이닝'과 손유에가 한때는 동정어린 마음으로 생활을 보살펴 주기까지했던 '슈홍종' 등의 인물이다. 젊은 시절에는 사상에 대해서도 생활에 대해서도 높은 이상을 품었으나 지금은 그저 현실에 만족하며 행복한 표정으로 살아가고 있는 리이닝의 다음과 같은 말은 이들 부류의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 준다.'생활이 계속 필요를 낳고 물질의 필요가 조금씩 내 정신을 빼앗아, 마지막에는 대신해 버렸지. 욕망에는 나이가 없어. 그 하나하나가 분발의 목표가 되어 다른 것 따위는 생각할 틈도 없지. 철학은 철학자에게 맡기고 정치는 정치가에게 맡기고 나는 생활의 전문가가 되어 살림을 연구하고 있는 거야.'

세 번째 부류는 시류와 첸 유리, 뚱뚱보 왕과 같이 기회주의자로서 세력을 잡고 나면 끝까지 쥐고 흔들며 다음 세대를 위해 양보하기를 주저하는 인물들이다. 손유에와 호젠후가 주동 인물이라면 이들은 주동 인물에 제동을 거는 반동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작가의 후기를 보면 1980년에 이 작품을 쓴 것은 작가가 당면한 시대적 과제였는지도 모른다. 당시는 모더니즘을 부르주아의 예술이라 하여 비판하고 있었다. 그러나 모더니즘이 나온 배경은 리얼리즘이 작가 자신을 속박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예술의 혁신을 추구하는 한 방편에서 기인한 것이다. 리얼리즘의 방법은 객관성을 강조하고 작가가 자기를 은폐하도록 강요한다. 이런 기존의 예술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입지를 마련하기 위해 작가는 모더니즘의 형식으로 이 작품을 쓰게 되었던 것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한편으로는 내가 이 시대에 살고 있는 것에 대해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손유에도 호 젠후도, 자오 젠호안도 그들이 원하는 것을 손에 얻기까지는 치러야 하는 대가가 너무나 커 보였던 것이다. 그러나 특별히 내가 사는 이 시대가 행복한 시대일리 없으며, 자오 젠호안의 말처럼 인생이란 얻는 것과 잃는 것 외의 아무것도 아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