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age.aladin.co.kr/img/shop/19_85cover.png)
-
카트린 M의 성생활
카트린 밀레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이 책을 읽고 난 후, 제일 먼저 한 일은 인터넷으로 카트린 M의 사진을 찾아보는 것이었다. 책에는 사진이 나와 있지 않아서 말이다. 자신의 성생활을 이야기함에 있어서 추호의 부끄러움도 없이 당당하고 세밀하게 이야기하며, 짐짓 담담하기까지한 이 여자의 엄청난 내공을 느끼며, 그 외모가 자뭇 궁금했기 때문이다.
현재 오십대의 이 필자는 전위적인 미술 잡지 <아트 프레스>의 편집장이자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도 그의 저서가 두 권씩이나 번역되어 나오기도 한, 프랑스의 미술 평론가이다.
이 책에서 느껴지는 담담함이란 그런 것이다. 성을 이야기하지만 하나도 야하지 않은 점 말이다. 이 여자는 수많은 남자들(씻지 않아 지저분한 사람들이나 몸의 어딘가 불편한 사람 등 대상을 가리지 않았고, 상대방이 요구하면 거절하지 않고 다 받아들였다. 무엇보다도 대상을 가리지 않는 것은 이 여자의 성생활에 있어서 원칙 같은 것이었다. 모든 남자들을 아주 공정한 방식으로 대상화 한 것이다.)과 다양한 공간에서 성적 체험을 하였으며 젊은 시절엔 파피루즈(세 사람 이상이 함께하는 성행위)에도 수차례 가담하였다.
그러나 이 글은 읽는 독자로 불안함이나 자극 같은 걸 일으키지 않는다. 이 책은 네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 공간, 내밀한 공간, 세부 묘사 등이 그것이다. 자신의 성 경험을 이런 형이상학적 카테고리와 묶어 철학적으로 피력하고 수 있다는 점이 바로 이 책이 엄청난 성경험을 이야기하는 단순한 외설서로의 전락을 막는 길이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처음 출판된 필자의 자국인 프랑스에서도 이 책이 뜨거운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고 한다. 그 어느 나라보다도 자유주의 정신과 타인에 대한 관용이 허용되는 프랑스에서도조차
도 말이다. 그래도 우리 나라처럼 비디오 사건에 휘말린 연예인들이나, 자신의 성경험을 토로한 모 탤런트처럼 사회적으로 매장당하는 분위기는 아니었을 것이다. 책의 출판에도 불구하고 카트린은 여전히 프랑스에서 미술계의 중책을 맡고 있는 실력 있는 인물로 행복하게 잘 살고 있으니 말이다.
아무래도 프랑스라는 나라가 멋있는 나라임에는 확실한 것 같다. 자신의 사생활에 그것도 성생활에 철학과 ~주의 부여할 수 있으며, 남의 사생활에 히히덕덕 왈구왈구 하지 않는 관용 정신. 조금은 부러울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