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써로우의 중국 기행
폴 써로우 지음, 서계순 옮김 / 푸른솔 / 1998년 9월
평점 :
절판


폴써로우의 <중국 기행>은 페이지 655짜리의 굵은 두께의 장정본 책으로 나는 방금 이책의 끝페이지를 덮었다. 고향으로 내려가는 북새통의 기차 안에서, 그리고 설날 연휴 내내 틈틈이, 결국에는 연휴의 끝자락에서 이 책을 다 읽었다. 이 책은 1987 ~ 1988년으로 추정(책의 어느 부분에서도 여행을 하고 있는 날짜의 정확히 연도가 명기되어 있지 않다보니)되는 시기에 런던에서 출발하여 기차만 타고 중국 대륙 구석구석을 누비는 여행에 대한 기록이다.

앞의 80페이지 상당 부분은 런던을 출발하여 프랑스를 지나 동베를린과 폴란드에서의 여정과 러시아에서 보낸 날들에 대한 술회를 차지한다. 인상적인 부분은 우리가 알고 있는 자유와 예술의 도시 파리의 변두리를 낡은 회반죽에 지루하고 단조로운 창을 가진 다닥다닥 붙은 건축물쯤으로 일축해 버리고 당시 동구권의 상징적인 도시 베를린을 위대한 과대망상에매력을 느끼는 대도시 정신 분열증의 표본이라고 서술하였던 부분이다.

하지만 뒷부분으로 오다보면 소로우가 특별히 남다른 애착을 느끼는 듯 보여지는 민족도 있다. 몽고인들과 티벳인들이 그 예이다. 몽고인들은 그들의 천진함과 소박함 높이 사고 있었고 티벳인들의 경우는 그들이 몹시 추운 고산 지대에 살고 있어 잘 씻지 않아 지저분하기는 하지만 천성이 자유롭고 강인하며 행복한 민족이라고 서술했다.

또 인상적이었던 것은 쏘로우의 여행 내내 암거래 달러상이 달라붙는 일이 일상과 같았던 것, 어느 지역을 기차 여행 하던지간에, 새벽녘이 되면 역무원들이 담요를 수거하기 위해 단잠을 자는 승객들을 깨우며 소동을 부리는 일, 영토가 넓다보니 어느 지역은 너무 더워서 곤란하고 어느 지역은 너무 춥다는 것,어느 지역의 기차가 시설이 좋은지에 대한 평, 등등 소상한 하고도 자잘한 기록들을 읽는 맛이 재미있다.

티벳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이야기할 때는 달라이라마의 생을 다룬 영화 <쿤둔>에서 본 명장면들이 눈앞에 펼쳐지는 듯했다. 이 책에서 보여 주는 티벳 고원의 절정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는 알프스 같은 꼬불꼬불한 길이나 시커먼 절벽이 없었다. 로키산처럼 도저히 뚫고 들어갈 수 없을 압도적인 위엄도 찾아볼 수 없었다. 티벳은 보는 이로 하여금 안정감과 한적함을 향유하도록 하는 단단히 버티고 선 산과 아름다운 초원이 펼쳐진 지역'이라고 했다.

그리고 중국의 근대사에 대한 궤적 또한 보여 주고 있다. 쏘로우가 이 근대사를 이야기할 수 있는 자료는 다름 아닌 기차로 여행을 하면 만났던 중국의 구비구비에 살고 있는 현인 들의 육성인 것이다. 1957년경에 있었던 과거 문화 대혁명 당시의 피해자라 할 수 있는 지식인들의 삶, 그리고 문화 대혁명 수비대인 홍위병들의 과거와 현재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그들로부터 직접 듣는다.

그리고 1988년 쏘로우가 여행을 하던 당시의 중국인들에게 남아 있는 마오쩌둥의 위상도 확인한다.(지금은 또다시 마오쩌둥의 붐이 일이나서, 그의 저서가 아주 잘 팔리고 있다고 하지만) 쏘로우는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의 생가 및 기념관에 가서 그 자취를 훑지만, 흥망성쇠가 잦은 민족들간의 기질에 기인한 것인지, 여행 당시에는 마오쩌둥의 사진도 잘 볼 수가 없다고 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기념이 될 만한 유적지는 소수 민족과 한족 간의 흥망과 부침에 따라 몰살되어 자취는 살피기 어렵기 일수라고 쏘로우는 전한다.

맨 뒷장의 번역자 후기를 보니, 중국을 연구하는 분이나, 대학생 그리고 중국과 교역을 하는 분들에게 권하고 싶다는 말이 붙어 있다. 나는 위의 세 분야 중, 어느 분야에도 속하지 않지 만 이 책을 참 재밌게 읽었다. 언젠가 나에게도 중국 구비구비 여행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 책을 준비해서, 내가 머물게 되는 지역지역마다 쏘로우는 어떤 이야기를 했는지 참고해 보고 싶다. 그런 여행을 떠날 수 있는 날이 내게 과연 와 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