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의 한가운데 청목정선세계문학 2
루이제 린저 지음, 김진현 옮김 / 청목(청목사) / 1989년 3월
평점 :
절판


고등학교 1학년 때였다. 그때는 나의 주변에서 때아닌 독일 바람이 불고 있었다. 비운의 그러나 격정적인 삶을 굵고도 짧게 살다간 전혜린과 <생의 한가운데>의 저자인 루이저 린저에 대한 이야기들 모두 독일이라는 나라와 관련이 있었던 것이기에.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는 고1 신임국어 선생님의 권유로 읽게 되었다. 당시 클럽활동 부서로 들어갔던 도서반에서 담당 선생님이었던 그 분이 어느날 조용히 청목 출판사에서 나온 <생의 한가운데>를 건네주시며, 다음 시간까지 읽고 발표를 해 보라고 하셨던 것이다. 나는 그 때 이 책에 대한 사전 지식은 전무후무했고, 그저 선생님이 권해 주신 책이라는 데 무척 각별한 느낌만이 들었었다.

선생님께서 이 책을 통해 내가 무언가를 느끼고 얻어보길 바라셨을 텐데 그것이 과연 무엇일까 하는 생각에 더더욱 한자한자 주의를 집중하며 첫 장을 훑어나간 기억이 난다. 일곱살 때부터 생의 모든 것에 대해서 이해하기 시작했다는 주인공 니나 부쉬만, 그리고 니나를 헌신적으로 짝사랑하는 슈타인 박사, 이렇게 다분히 이상적인 주인공들과 이 글의 화자이기도 한, 니나의 언니가 나온다.

니나의 첫번째 남편은 음악가였고, 두번째 남편은 극작가로 나온다. 그리고 중간중간 우편으로 배달된 니나의 일기를 언니인 안나가 (남의 일기를 읽는 행위는 좋지 않은 것이지만(?), 이야기 설정상으로는 오랫동안 떨어져 살았던 동생 니나를 이해하기 위해) 읽어보는 형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실제로 루이제 린저 자신이 첫번째 남편은 국립 극장 지휘자였고(사별하게 된다.) 두번째 만난 남편은 극작가이다. 이 밖에도 히틀러 정권 하의 격동기에 고난과 시련을 싸우면서 자기 신념을 모색하며 살아가는 이지적면서도 매력적인 여성 주인공이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 소설이 작가의 자전적인 소설임을 확신할 수 있다.

소녀 시절부터 부단히 생에 회의하고, 생의 의의를 추구하며 고집스러우리 만큼 방황하기를 그치지 않는 니나. 이런 니나의 생의 궤적을 훑고 있으면, 독자인 나 또한 부단하게 차오르는 생에 대한 의지로 긴장하게 된다.

이 책을 권해 주시던 선생님의 깊은 뜻은, 나로하여금 니나처럼 파란만장하진 못하겠지만, 앞으로 나이가 들어서도 생의 감각을 늦추지 않으며 살아가라는 긴 안목의 일침이 아니었는가 싶다. 그래서 나는 종종 내가 나를 표현하는 일마저 권태로워질 만큼 축축 늘어지는 나자신을 대할 적마다 십년 전에 읽던 빛바랜 이 책을 그냥 조용히 아무 페이지나 펼쳐 읽어내리곤 한다. 팽팽한 삶의 감각을 다시 느껴보기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