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기억에서 사라진다 해도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기억에서 사라진다 해도> 왜 제목이 이런지 잘 모르겠다. 나이 들면 고교 시절에 느꼈던 감수성과 판이하게 살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시절과 영 다른 인간이 되어서 살지는 않을거고, 아니 무엇보다 그 시절과 지금의 나는 별개가 아닌고로. 기억 상실증에 걸리지 않는 한, 한참 지난 후일지라도 살면서 그 불안정을 구가하던 고교 시절의 기억들을 호명하는 날이 적지 않다.

비교적 잘자란 집 딸래미들의 이야기처럼도 들린다. 부모와 그런대로 잘 지내고, 쇼핑을 즐기고, (카나를 예외로 둔다면, 맞벌이 부모님(바쁜 부모님 때문에 카나 남매는 주로 분식집 같은 데서 끼니를 해결한다. 카나의 뚱뚱한 체형도 그 탓이라는 뉘앙스?)을 둔 그녀. - 뚱뚱한 체형 때문에 등장 인물 중 가장 남다른 감성의 소유자처럼 보였지.- 사탕일기를 쓴다는 건 달리 말하면, 상처 아닌 상처가 많다는 것이다. 외모 때문에 듣는 상처가 그중 다수인 걸 보면, 가장 강력한 것은 어떻게 보면 가장 가까운 사람이라고 생각되는 아버지가 농담처럼 무심코 했던 말-‘책을 반납한 고로,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는데, 뚱뚱한 네 몸무게 때문에 집이 내려 앉겠다는 뉘앙스였던듯’ 다행히 속으로 곪아 터뜨리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사탕일기를 통해서 아픈 말을 했던 사람들에게 극약 처방을 했기 때문일 것이다. ) 하지만 모두 다 크고 작은 결함과 불균형을 갖고 있다.

원래 이 시기엔 정상 모델 같은 게 없다. 이 시기 뿐만이 아니라 전생애가 그런 것인지도......

<도쿄 타워>에서 보니까, 작가는 취재대상들을 꼼꼼하게 인터뷰해서 그것을 토대로 글을 쓰는 것 같았다. 아마 이 여고생들 이야기도 그런 과정을 거쳤겠지. 그래서 트랜드라든지 하는 게 반영되었을 터. 그러다 보니 든 생각이었지만, 이 책을 읽으면 세 가지를 생각하게 된다.

첫째, 일본 여고생들의 일상이란 이렇구나.

둘째, 나의 여고 시절은 어떠했더라.

셋째, 앞으로 내가 부모가 고등학생을 둔 부모가 되었을 때의 그 느낌을 여기서 살짝 맛보게 되는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