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세 번째 이야기
다이안 세터필드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무척 재미있게 읽었던 데는 나름 이유가 있었다. 자신의 성향(내 성향이라는 것은 다분히 전형적이고 대중적인 데가 있는 것 같다. 그러니까 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통할 것... )과 들어맞는 소설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을 흠뻑 선사해 준 책.


음산하고 축축하며 폐쇄된 공간(대저택)에서 일어난 일이라는 것.

한 사람(까칠한 대작가)이 육성으로 자신의 지난 일을 회고하고 다른 한 사람(책을 좋아하는 20대의 전기 작가)이 그것을 인터뷰(기록)함.(폴 오스터의 달의 궁전처럼.)

그것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책이 있는 방. 책이 있는 그 방에 쌍둥이. 그들이 있다. 

그리고 육성으로 말하는 사람은 이제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 그러나 이야기를 순차적으로 풀어가겠노라 엄포를 놓는데......


다이안 새터 필드는 사람들이 어떤 이야기를 좋아하는 아는 사람이다. 순서가 있다는 뜻이다. 모든 이야기에 갖추고 있어야 할 그것. 발단과 전개 절정 그리고 결말.

 

덧붙임.  실은 별점을 매기면서 별 하나를 뺄까 어쩔까 3초 정도 망설이게 한 대목이 있었다. 쌍둥이들이 살았던 과거의 옛 저택에서 거구의 인상 좋은 남자와 만나는 설정. 이 남자 자신도 알지 못하는 이 남자의 정체를 독자는 직감적으로 알 수 있었으니...  우연성 100% 흠, 작위적이야..!


 인용 부분

  현대 문학에 관해서라면 나는 거의 아는 것이 없었다. 일상 속에서 책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 때면 아빠는 그러한 나의 성향에 대해 자주 이야기했다. 아빠는 인간에게는 결코 고통이 끝나지 않으며, 오직 인내만이 있을 뿐이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는 어떤 소설의 결말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아빠가 느끼는 아름답고도 쓸쓸한 감정을 특유의 간결함과 정확한 단어로 표현했다. 아빠는 때로는 요란하고 파격적인 결말보다는 모호한 결말이 기억에 더 오래 남는다고도 했다. 아빠는 내가 좋아하는 죽음이나 결혼같은 결말보다 모호함이 더 감동적으로 느껴지는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혼자 있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그렇듯 나의 감각은 다른 사람의 존재를 감지하는 데 유난히 예민했다. 몰래 다른 사람을 관찰하는 데는 익숙했지만 관찰을 당하는 것에는 익숙하지 않았다. 그런데 누군가 나를 지켜보고 있었다.


 

 

오타!!!

169쪽 12째줄       "나는 속으로 이게 마지막라고 중얼거렸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caru 2007-04-09 1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겠슴다 ㅡ,ㅡ;;;;; 아효~ 따끔도 해라!!ㅋ

오타 지적은요~ 출판사에서 다음 책 낼 때 참고하시라고... 좋은 뜻으로 부러..하는 거예요..

icaru 2007-04-09 11: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그렇군요~ 그래도 찾은 게 아까버서.. >.<
참 글고 맨위에 속삭 님!!! 건투를 빌어요! .. 그리고 제게 모니터를 부탁하셔도 괜찮을 거예요... 제 시각이 워낙에 대중적이라...ㅋ

icaru 2007-04-09 1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사람... 저는 아니에요. >.<

icaru 2007-04-09 14: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시는구나.

2007-04-09 17: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히피드림~ 2007-04-10 1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소설 재밌겠는데요. 기-승-전-결이 뚜렷한 소설들은 영화로 만들기에도 좋은데,,, ^^ 저두 읽어볼래요!!

2007-04-10 14: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humpty 2008-05-07 1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지금 막 열나게 보고 있는데, 연휴에 맘잡고 볼걸 하고 살짝 후회하고 있어요. 지하철에서 감질나게 보려니 궁금해 죽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