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 영국 BBC 다큐멘터리, 행복 전문가 6인이 밝히는 행복의 심리학
리즈 호가드 지음, 이경아 옮김 / 예담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사람은 왜 태어날까. 노랫가사처럼, ‘사랑받기 위해서 태어났을까.’ 사랑받으면 왜 좋아? 행복하니까 좋지.
나는 행복할 자격이 있고, 행복은 내 인생에서 가장 우선 순위를 두고 싶은 항목이다.
하지만 나는 성격 급한 비관론자이다. 비관론자라서 행복할 수 없다. 없다, 라고 못박아 말하고 있는데, 사실 나는 뭐든 어쩔도리가 없다고 규정 짓는 게 싫다. 일테면 성인이 되어서 그의 인생관을 결정짓는다는 유아기의 트라우마 같은 것. ‘유년 시절을 잘못 보내면, 성인이 되어 인성에 문제가 있다’ 식의 말들. 꼭 그런 건 아니며, 설령 그렇더라도 좋아질 여지는 충분이 있는거다. 

우리가 살면서 힘든 일과 부딪칠 때, 고통을 두려워하거나 피하지 말고, 정면으로 겪어내고 나면, 정신적으로 부쩍 성장을 이루듯이, 행복이라는 감정도 연습할수록 느는 일종의 습관 같은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습관? 음 기술이랄까, 돈으로 살 수 없는 행복의 진정한 요소에 눈뜰 수 있는 ‘기술’이 있고, 이것을 겪어내는 수단은 분명 “배움”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을 읽었다.

행복에 이르는 기술을 15가지를 키워드를 가지고 풀었다. 친구, 돈, 일, 사랑, 성, 가족, 아이들, 음식, 건강, 운동, 애완동물, 휴가, 공동체, 미소, 웃음, 종교, 나이.

공감 가는 부분에는 밑줄을 박박 그으며 읽었는데 책을 다시 훑어보니, 웬걸 “돈”에 관한 챕터에 제일 많이 밑줄이 죽죽 그어져 있다. 읽을 당시에 금전적인 문제로 가족들과 신경전을 치뤘던 것이 여실 반영이 되었나보다.

친구가 속을 썩일 때는 “친구”에 대한 부분을, 아이와 마찰이 있을 때는 “아이들” 부분을, 곁에 두고 그때그때 이 책에서 실마리를 얻어와도 좋겠다 싶다. 

가장 열심히 읽었던 “돈”에 관한 부분으로 돌아가 이야기를 하자면, 돈과 지위를 얻기 위한 경쟁은 제로섬 게임이다.

연봉이 올라가서 기쁘다가도 동료가 자신보다 더 많이 받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순간 기분이 나빠지고 마는 것이다. 순위, 성적표, 광고처럼 비교할 대상이 많을수록 불행은 더 커진다. 그 결과 우리는 친구나 이웃 혹은 동료보다 더 많이 가지려는 목표를 중요하게 여기게 된다.

실제로 내가 잘 아는 K양이 그랬다. 누구라도 다음 상황에서는 고민을 하고 상처를 받으리라 여겨진다. 동종업계 다른 회사에 다니는 대학 1년 후배가 개인사정으로 일을 그만두면서 K양에게 자기 후임으로 와 달라고 부탁을 했단다. 그런데 그 후배가 받던 연봉이 지금 회사에서 K양이 받던 연봉보다 훨씬(500만원 정도?) 많았나 보다. 연봉뿐만이 아니라 회사 복지나 여러모로 더 괜찮았나 보다. 그래서 K양은 후배의 제의를 수락하고, 그 쪽 사무처장과 면담에 들어갔는데 연봉을 이야기하면서 사무처장은 전임자였던 후배보다 약 100만원 가량 적은 금액까지 제시를 했었나보다.  K양은 지금 있는 곳보다 400만원의 돈을 더 받을 수 있었지만 후배보다 100만원 덜 받고 간다는 사실에 상처를 받고 그 곳으로 옮겨야 할지를 심각하게 고민중이었다.
 
돈에 너무 연연하는 거 아니냐고 말할 수도 있을텐데 우리들 누구나 이 상황이 되고 보면 저런 불행한 느낌에 빠지게 될 것이다.  돈은 여러 가지 면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는 돈 때문에 불행해지고 불만은 커지고 만다. 특히 자신의 소득과 남의 소득을 비교할 때 더욱 그렇다. 물론 남보다 돈이 많으면 더 행복하다. 하지만 그것은 소유한 부의 절대적인 규모 때문이 아니라 단지 남보다 더 가졌기 때문이다. 남보다 적게 가진 사람들은 그 사실로 인해 상처를 받는다. 소득 경쟁은 승자를 더 기쁘게 하는 반면 뒤처진 사람들을 실제보다 훨씬 불행하게 만든다.

삶에서 의미 있는 일이 아닌 돈을 좇는 태도는 불행으로 가는 길이다. 돈으로 살 수 없는 행복의 진정한 요소에 눈뜰 수 있다면 변화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돈으로 소유할 수 있는 것들에 점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아붓느라 우정을 키우고 타인을 도우며 정신적인 면을 성숙시키는 활동이나 인생의 진정한 목표를 도외시하는 삶을 사는 건 참 어리석은 일일터다.

이 책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인간을 실제로 행복하게 만드는 것들을 살펴보면 그것이 너무 사소해서 놀라움을 느낄 것이다. 일에서의 성공, 일확천금, 권력이나 명성을 얻는 일 등 거창한 것이 아니라, 편안하고 친밀한 가족 공동체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랑, 쾌적한 환경, 사람에 대한 신뢰 스트레스가 적은 출퇴근처럼 훨씬 단순한 것이다.

또한 인생은 경쟁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겠다. 완전한 행복은 남들과 비교할 때가 아니라 더 높은 목표나 기준에 도달할 때 얻을 수 있다. 즐거운 인생은 스스로 창조해내야 한다. 다른 사람의 방법을 그대로 한다고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현재를 즐기면서 미래를 계획하고 과거에 너무 집착하지 않으면 보다 행복해질 수 있고, 그리고 무엇보다 나 자신을 사랑해야 할 것 같다. 만약 자신의 가치에 대해서 의문을 품고 있다면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인정하는 것을 배우야 할 것이다. 배워야 한다. 가만히 있으면 찾아오는 것이 행복이 아니기에. 


77쪽
꿈은아무관계도 없는 → 꿈은 아무관계도 없는

201쪽

13. 사람이 아닌 섹스를 거절하라 → 사랑이 아닌 섹스를 거절하라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12-14 17: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심상이최고야 2006-12-15 0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행복은 일종의 연습, 기술과도 같다는 님의 말에 동감합니다. 최근에 빚을 지게 되어 '돈' 좀 많았으면 좋겠다 생각했는데 님의 글을 읽으니 연연해 하지 말아야 겠구나! 그런 마음이 듭니다.

icaru 2006-12-15 1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 님.. 책에 나온 저 오타~ 처음엔 동물과 사람이 ...는 안 된다. 로 이해했다가 그 다음 설명보니까.. 그게그게 아니었던거죠..
그 소설가 이야기. 에휴~ 꿈을 쫒는다는 게 그렇게 눈물나는 일인지라...
애엄마 되는 것은 금방이네요. 작년 이맘 때까지도... 예측 못했던~ㅎㅎ

심상이 최고야 님.. 저도 본의아니게(?) 빚이 좀 있는데, 너무 연연하지 않기로 했어요. 대신 다른 부분에서 즐거움을 느껴볼까 하고요~ 그나저나 복이도 무럭무럭 잘 크죠?

2006-12-15 14: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icaru 2006-12-16 1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야말로 자폐적인 성향이 농후한데~ 그 속에 고치를 틀고 들어앉아 있으면서 평화를 느낄 때도 있고, 다른 무엇과도 견줌의 대상이 되지 않고, 그 안에서 평화를 찾는거 ... 그거 말씀하시는 거죠?
그나저나 노다메 칸타빌레.. 들어는 봤는데, 님의 말씀 중에 나온 책이면 아주 쏠깃해진다니까요. 퇴근길에 대여점에서 빌려 놔야지 ㅋ

2006-12-16 11: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