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는 하늘이 흐리기만 했지 일기예보 말대로 그렇게 비가 퍼부울 것 같지 않더니, 점심 먹고 나니 비가 제대로 쏟아졌다. 비가 올때 집안에 가만히 있는 것도 혼자일 때는 좋지만, 아이를 포함해서 온 식구들이 집에 있을거라면 차라리 나가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을 방문하는 것도 의외로 괜찮다. 영화를 보러 가거나, 박물관, 미술관 같은 곳 말이다. 

오늘은 아이, 남편 함께 집에서 차로 5분 거리 밖에 안되는 화폐박물관에 갔었다.
대전시 유성구 과학로 54번지.
우리 나라 최초의 화폐전문박물관으로 한국조폐공사가 공익문화사업의 일환으로 1988년 6월에 설립하였으며 무료관람이다. 



 

 

 

 

 

 

 

 

 

 

 

 



 

 

 

 

 

 

 

 

 

 

 

 

 



 

 

 

 

 

 

 

 

 

 

 

 

들어가면 1층에 동전을 직접 찍어볼 수 있는 압전기가 마련되어 있다. 안내데스크에서 500원을 주고 책갈피 모양의 은박알루미늄 판을 구입하여 찍어보았다. 





 

 

 

 

 

 

 

 

 

 

 

 

 

 

 

  

 

찍어낸 결과물은 바로 이것.



 

 

 

 

 

 

 

 

 

 

 

 

 

 

 

 

 

 

 

1층의 1전시관은 주화역사관이다.
 



 

 

 

 

 

 

 

 

 

 

 

 

 

 옛날에 대장간 같은 곳에서 틀에다가 쇳물을 부어 동전을 찍어내는 모습의 모형에서부터, 요즘의 주화 제작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들까지,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함께 전시되어 있다. 
우리 나라 옛 주화는 가운데 구멍이 뚫려져 있는데 서양의 주화들은 그렇지 않다.
우리 나라 주화의 가운데 구멍은 동그란 모양이 아니라 사각형으로서, 주화의 둥근 모양은 하늘을, 가운데 네모로 뚫린 구멍은 땅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
1876년 개항이후엔 가운데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주화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벽의 조형물. 
상평통보를 주제로 하고 있는데 둘레의 저 많은 손들이 나태내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2층의 2전시관은 지폐역사관.
드디어 종이돈의 등장이다. 해방전 조선은행권에서부터 해방후 한국은행권, 북한의 지폐등이 전시되어 있다. 
현재의 종이돈은 사실 종이의 재료 펄프로 만들지 않고, '면섬유'를 가공하여 만든다는 것도 알았다. 어쩐지 돈은 젖어도 종이처럼 잘 찢어지지는 않더라니.



 

 

 

 

 

 

 

 

 

 

 

 



 

 

 

 

 

 

 

 

 

 

 

 

 



 

 

 

 

 

 

 

 

 

 

 

 

 

 

 

 

 

 

 

 

 

 

 

 



 

 

 

 

 

 

 

 

 

 

 

  

아래의 십원, 백원 짜리 종이돈은 나도 어릴 때 본 기억이 난다.



 

 

 

 

 

 

 

 

 

 

 

 

3전시관은 위조방지홍보관.
위조지폐를 방지와 식별을 위해 만원 권 한장에 무려 11가지 종류의 위조방지장치가 숨겨져 있으리라곤 상상도 못했다. 




 

 

 

 

 

 

 

 

 

 

 

 

 

 

 

 

 

 

 

 

 

 

 

 

 

 

 

 

 

 

 

4전시관은 특수제품관으로서 우표, 크리스마스 실, 메달, 훈장, 세계의 화폐 등이 전시되어 있다.
 



 

 

 

 

 

 

 

 

 

 

  

 

  

유로화를 쓰고 있지 않는 영국.



 

 

 

 

 

 

 

 

 

 

 

  

최초로 우표를 만들어 쓰기 시작한 나라, 영국.
여왕이 그 첫 모델이 되었다.



 

 

 

 

 

 

 

 

 

 

 

 



 



 

 

 

 

 

 

 

 

 

 

 

 다음은 우리 나라 최초의 우표이다.



 

 

 

 

 

 

 

 

 

 

 

 

네개의 전시실을 둘러보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진 않았다. 비는 여전히 주룩주룩 오고.
안에서 창 밖 풍경을 담아 보았다. 사진으로 다시 보니 비오는 날 같지 않네 ^^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9-06-20 1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보고 싶은 박물관이에요.
비오는 날 좋은 나들이었겠어요.^^

hnine 2009-06-20 18:33   좋아요 0 | URL
글 올리고 금방 다녀가셨네요~
부산도 비 많이 오지요? 사실 오늘 춘천에 갈 계획 세웠다가 비오는 바람에 취소했어요. 이번 여름에 아이 데리고 가까운 박물관들이나 다녀 보려고 생각하고 있는데, 제가 좀 부지런하질 못해서 자신은 없네요.

비로그인 2009-06-20 1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울에도 이런 곳이 있을라나요? 4학년때 사회서 화폐에 대해 배우거든요. 안그래도 아이가 오늘 뜬금없이 엽전을 갖고 싶다고 하더니만.. 저희도 가서 책갈피 하나 찍어야겠는데요?

hnine 2009-06-20 21:29   좋아요 0 | URL
아마 잘은 몰라도 국립중앙박물관 내에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아이만 따라 준다면 박물관 나들이 참 좋은 것 같아요. 그야말로 '나들이' 기분이 나서요 ^^

조선인 2009-06-20 22:06   좋아요 0 | URL
엽전은 인사동에 가시면 사실 수 있어요.
에, 또, 광화문에 구 조흥은행 본점 있던 자리(조선일보 옆)에 금융박물관이 있어요.
http://www.shinhanmuseum.co.kr/index.jsp
여기 가면 지폐만들기 체험코너(사실 도장찍기지만^^)가 있어요. 조흥은행 시절 홍보 차원에서 만든 거라 수준은 떨어지지만 입장비도 없고, 용돈기입장도 나눠주고 하니 1번쯤은 가볼 만한 곳이에요. 여기 하나 가는 건 좀 우습고, 덕수궁이나 청계천 가실 때 겸사겸사 가시거나, 대각선 맞은 편에 신문박물관이 있는데 한 코스로 잡거나 하시면 나쁘지 않아요.

bookJourney 2009-06-20 22:25   좋아요 0 | URL
한국은행 화폐금융박물관도 괜찮을 것 같아요.
http://museum.bok.or.kr/

저는 파주에 개인이 만든 화폐박물관에 갔었는데 ... 한국은행 화폐금융박물관 홈페이지를 보니, 파주에 있는 박물관보다는 한국은행 박물관 쪽이 나아보이네요. 다음에 한 번 들러보아야겠어요. ^^

hnine 2009-06-21 06:59   좋아요 0 | URL
manci님이 물어주신 덕분에, 조선인님과 책세상님으로부터 저도 좋은 정보 얻고 가네요. 대전에 크고 작은 박물관 수가 19개 정도 된다니까 서울은 몇이나 될까 싶어요.

비로그인 2009-06-21 11:18   좋아요 0 | URL
아, 그러네요. 옛날 회사가 광화문이어서 금융박물관 옆을 지나가면서 저긴 누가 가나..했었던 기억이 ㅎㅎ 시립미술관 갈때 거길 같이가던가 아님 한국은행 박물관에 가던가 하면 되겠네요. 조선인님, 책세상님, 감사합니다~

조선인 2009-06-22 09:26   좋아요 0 | URL
한국은행 화폐금융박물관이 있는 줄은 저도 몰랐어요. 중앙우체국 맞은편이니 우정박물관이랑 코스로 잡으면 될 듯. 고맙습니다. 책세상님. *^^*

바람돌이 2009-06-21 0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기 작년에 갔었어요. 수학여행으로다가....
아이들은 재미없어하고 저는 추억을 되살리며 봤었는데...다시 보니 반갑네요. ^^

hnine 2009-06-21 07:02   좋아요 0 | URL
수학여행 코스 중 하나 였군요. 여기서도 학교에서 1일 단체 관람 코스로 꼭 들어가지요, 시립미술관, 화폐박물관, 지질박물관 등등. 별로 크지 않고 붐비지 않으니까요.
그런데 저렇게 사진 몇장 올리며 정리하면서 저 바람돌이님 생각 많이 했어요. 이게 그리 만만한 일이 아니구나 새삼 느껴져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