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밭에서 라는 제목의 전시회. 

보고 있노라니 꽃 기운이 내게로 막 스며드는 느낌이다.  

 

 

 

마크 퀸 <Revised> 캔버스에 유채

음...꼭 사진 같은데 말이다.
잘 보면 섬뜩하기도 하다. 제목을 생각하다가 찾아낸 두개골!

 

 

  

로메로 브리또 <Blue horse> 캔버스에 아크릴 채색 

 

이렇게 귀여운 말은 처음 보는 것 같아.

  

 

  

이 왈종 <생활 속의 중도> 캔버스에 유채 

 

그림의 색깔도 그림 내용만큼 차분하고 소박하다.
마음을 편안하고 평화롭게 하는 그림.
집 뒤의 꽃은 꽃이 아니라 차라리 나무로구나. 

 

 

장 기영 <Nature fragrance> 캔버스에 유채  

 

장미가 하늘로 승천하나?

  

 

 사 석원 <당나귀> 캔버스에 유채   

꽃을 잔뜩 지고 가는 당나귀, 자기 머리에도 예쁜 화관이 씌워져 있는 걸 알까?

 

 

이 전시회 포스터이기도 한 이 그림은, 박 방영의 작품.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9-03-19 2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그림이 참 인상적이에요. 마음이 정화되는 그런 기분입니다.

hnine 2009-03-19 20:49   좋아요 0 | URL
예, 그림을 보며 얻는 것 중의 하나가, 마음의 정화인 것 같아요.

무스탕 2009-03-19 2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브리또 그림에서 말이 꽃을 입에 물었어요.
말 등에 앉은 새는 악어새가 아니고 말새 일까요? ^^

hnine 2009-03-20 04:53   좋아요 0 | URL
입에 꽃 한송이 물고, 한발은 위로 들려 있지요. 누구에겐가 꽃을 주러 가는걸까요? ㅋㅋ
완전 '낭만' 블루호스 여요.

프레이야 2009-03-20 0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맑은 그림들을 보다 문득 님의 대문글을 읽게되네요.
새벽 4시, 하니까 실비아 플라스가 생각나요.
그녀가 유일하게 깨어있고 하나의 존재로서 고뇌할 수 있었던 시간,
그렇게 인간으로 살았던 시간이었는데 그녀는 스스로 목숨을 놓았지요.
새벽 4시까지도 깨어서 글을 써대던 때도 있었는데 요샌 통 무감각한 듯해요.
아, 그림 참 좋다~~~

hnine 2009-03-20 04:56   좋아요 0 | URL
새벽 4시의 정서가 참 묘한 것 같아요.
학생 때 시험 전날 못다한 공부하느라 억지로 일어나야 했던 그 새벽 4시와는 또 다른.
저는 이 시간대에 마음이 제일 순수하고 착해지는 (?) 것 같아서 오늘 하루 이런 마음으로 계속 지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거든요.
요즘 혜경님의 글을 예전처럼 자주 못 보지만, 또 언젠가는 자주 뵐 수 있겠지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데, 무슨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건 아니시길요.

turnleft 2009-03-20 0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석원씨 하니 전에 읽었던 <황홀한 쿠바> 책이 생각나는군요. 불행히도 짜증의 극치를 달렸던 책이랍니다 -_-; 그림도 그린 이의 깊이를 반영한다면, 글쎄, 이 화가의 작품이 제 눈에는 전혀 곱게 보이지 않는군요.

hnine 2009-03-20 05:01   좋아요 0 | URL
그런 책도 썼군요. 위의 그의 그림을 보고 우리나라 사람의 그림이 아닌 줄 알았어요.
그림에 그린 이의 성격이나 깊이가 드러나는 게 맞겠지요. 책을 도대체 어떻게 썼길래... 궁금해지네요.
turnleft님을 짜증나게 한 책의 저자가 위의 이 왈종이나 박 방영, 장 기영 등이 아닌 것이 다행~ ^^

하늘바람 2009-03-20 09: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네요 정말 힘이 생기는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