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시험 감독을 끝으로 이번 학기도 막을 내렸다.
늘 시험 문제지 마지막은 이번 학기 수업 듣느라 수고 많았다는 인사말로 맺는 버릇이 있는데, 학생들은 종종 그 아래에 감사하다는 글을 덧붙여서 내기도 한다.
착하고 순수한 이 학생들에게 뭔가 도움이 되어주고 싶다는 생각에, 수업과 관련 없는 이야기도 참 많이 떠들었던 것 같다. 지방대 강의를 나가다 보면 학생들 중에 이유없이 기가 죽어 있는 듯한 분위기가 팽배해 있는 것이 느껴질 때가 많다. 그래서 쫓기는 강의 일정에도 불구하고 앞에 나와서 10분 씩이라도 자기가 조사한 내용을 발표하는 시간을 만들었고 발표가 끝난 후에는 고쳐야 할 점을 지적하기도 했지만 그건 되도록 짧게 하고, 잘한 점을 아주 많이 부각시켜 칭찬을 해주었다. 나도 대학교 1학년때 이렇게 하라면 못했을 거라고 (진짜 그렇다), 나의 어리버리한 면도 마구 폭로하면서.
채점하다가 학생들이 답안지 끝에 문제의 답과 무관하게 남긴 몇줄의 글들을 읽으며 가슴이 뭉클해졌다. 열심히 가르쳐주셔서 감사하다는 말, 그 말이 나는 너무나 감사하다. 내가 그들에게 줄 것이 있었다는 것이 그렇게 고마울 수가 없다. 집안 문제로 한참 고민하고 있을 때 나는 더이상 남의 삶을 부러워하지 않는다고 하신 선생님의 말씀이 얼마나 위로가 되었는지 모른다는 어느 여학생의 글, 질문을 하도 해서 선생님을 귀찮게 해드려 죄송했다며, 자기가 너무 좋아하는 과목이고 잘하고 싶은 마음에 그랬다는 글, 부끄러워 숨고 싶은 마음이면서도 보람이 느껴지는 것을 부인하지 못하겠다.
정말 보잘것 없는 급여에, 학기가 끝나면 그나마도 없는 시간강사란 타이틀. 얼마나 더 이 일을 하게 될지 모르지만, 하는 동안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 최선을 다해서 그들을 가르친다? 아니,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내가 조금 더 알고 있는 전공 지식이 아니라, 그들의 의욕을 북돋아 주고, 격려해주는 것, 잘할 수 있다는 칭찬, 그런 것들일 것이다.
나 역시 생기발랄한 인간이 못되지만, 그래서 더욱 그들의 어깨를 다독여주고 싶다. 이 세상에 그들을 의기소침하게 할 것은 아무것도 없노라고. 기운 내서 마음 껏 꿈을 펼치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