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가 집에 있는 동안엔 TV를 켜지도 않는데 요며칠 아이가 집에 없는 동안 몇 개의 TV 프로를 보게 되었다. 그중 하나가, '엄마가 뿔났다' 라는 주말 연속극인데, 이걸 보고 있자니 다른 건 모두 뒤로 하고 나도 덩달아 뿔이 난다.
시집와서 평생을 내가 아닌 가족을 위한 노력 봉사로 산 엄마가 나이 60을 넘어가면서 내 인생은 이게 전부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나에게 남은건 무엇인가. 자식들 모두 결혼해 제 가정을 꾸리고 있고, 모시던 시아버님도 팔십의 나이에 새로운 여자 친구를 사귀어 뒤늦게 재미를 붙이셨으니, 나도 이제 뒤늦게 나마 나 하고 싶던 일을 해볼까 하는 마음이 들었으리라. 나 이제라도 공부 해서 대학에 가볼까, 조심스레 큰 딸에게 운을 띄어 보는데 엄마 나이에 대학엔 가서 뭐하려고 그러냐고 단박에 무시당하고 만다. 아니 그 대목에서 왜 내 가슴이 쿵 내려앉은 것일까.
결국 식구들 모두 앉은 자리에서 집을 나가 일년만 살아보겠다고, 그렇게 할수 있게 해달라고, 식구들 뒤치닥거리에서 이제는 벗어나 내 맘대로, 나 하고 싶은 일만 하면서 살아보고 싶다고 말하는 엄마에게, 자식들 하는 말, 어느 엄마는 그렇게 살지 않느냔다.
'그래, 우리 대한민국에서는 어느 엄마 할 것 없이 그렇게 살아오셨지. 엄마가 되기 전의 꿈이나 목표는 시집오는 순간부터 모두 reset 되는거야.' 혼자 보면서 주절주절...
엄마가 나간다는 말에 자식들은 하나같이 "그럼 아버지랑 할아버지는 어떻하고!" 그들에게는 엄마의 부재가 걱정되는 것인가 아니면 집안에서 엄마가 맡아해오던 그 역할의 부재가 더 걱정되는 것일까. 며칠 전 읽은 <까칠한 가족>을 읽으면서도 했던 생각이 다시 들었다.
트럭에 가재도구를 몇가지 실어가지고 구한 원룸으로 드디어 이사나가면서 엄마의 그 환한 웃음. 마치 감옥에서 출소하여 자유인이 되는 사람 마냥.
그 웃음이 참 서글프다.
한 가정에서 아빠의 역할이 그러하듯이 엄마의 역할은 참으로 중요하다. 특히 아이를 키우는데 있어서 이 세상 그 누구도 엄마의 보살핌을 엄마만큼 대신해 줄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세상은 그런 엄마의 역할을 참으로 우습게 안다. 물질로 환산이 안 되기 때문일까. 물질만능주의 시대 탓을 해야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