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밥 할때 넣으려고 며칠 전 장에서 사온 얼룩이 강낭콩 (호랑이 강낭콩) 봉지를 열어보니 비닐 봉지 속에서 두 녀석이 벌써 싹을 티우고 있었다.
'기왕 싹을 티우고 있는데 한번 키워볼까?'
젖은 수건 위에 싹트기 시작한 콩 두개를 올려 놓고,
비교를 위해 싹트지 않은 콩도 두개 골라 나란히 올려놓았다.
정말 하루 사이에 쑥쑥 크는게 보였다.
하루가 다르게 쑥쑥.
싹트지 않은 상태에서 키우기 시작한 콩도 싹을 티우고 자라기 시작했다.
'이제 흙으로 옮겨주어야겠지?'
빈 화분이 있어 흙을 담고 버팀대도 미리 마련해두고서
수건에서 콩을 옮기려고 들어올리는 순간,
콩의 잔뿌리들이 수건과 딱 붙어 안떨어지려고 하는 것이다.
그새 이 둘 사이에 관계가 형성되어 버린 것. 생존을 위해.
달리 방법이 없어 뿌리 일부는 잘라져 가며 분리시켜 흙으로 옮겨주는 수 밖에 없었다.

싹이 나있지 않은 상태에서 키우기 시작한 콩들도 많이 자라있었지만 지금은 흙에 묻혀서 안보인다.

이쯤 되니
'아, 그 책!' 하고 생각나는 책이 있었다.
내가 정말 좋아하는 책 중 하나.

리네아가 할아버지와 함께 강낭콩을 심어 키우는 페이지를 찾아서 다시 보았다.


'이 책 정말 잘 만들었단 말이야.'
콩들 끼리 올림픽 시합을 시켜보고 어떤 콩이 빨리 자라는지 보는 것도 재미있는데, 특히 마음에 들었던 것은 왜 일등과 꼴찌의 차이가 생겼는제 생각해보는 대목이다. 그런게 과학이 아닐까?

이건 우리 집 한구석에서 다른 방식으로 자라고 있는 루꼴라이다.
전기를 꽂아주면 LED 조명이 14시간 간격으로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한다.

자란 것들을 뜯어서 먹어보았는데 사먹는 루꼴라와 맛의 차이가 없다.

지난 주 가까운 곳에서 수국 정원 축제가 있다기에 산책 삼아 다녀왔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축제 행사를 위해 대량 동원된 꽃에서는 큰 감동을 못느끼겠다.

한때 산책 삼아 자주 가던 연못인데 이맘때쯤 수련이 피지 않았을까 해서 가보았더니 역시, 하얀 수련이 피기 시작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