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병동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38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이영의 옮김 / 민음사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옥과 병동이 닮았다고 하면 목적이 엄연히 다른데 어째서 닮았다고 하냐고 반문할수도 있을 것이다. 목적은 다르지만 그 안에서 사람들이 시간을 보내는 방법, 사는 방법은 다를바가 없다는 것을 이 소설을 읽으며 더 잘 알게 되었다.

중학교때 겨울방학 숙제로 읽어야 하는 책 중에 솔제니친의 <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 가 있었다. 먼저 읽은 동생이 말하길, "언니, 이 책 한권이 하루동안의 얘기야." 라는 것이다. 숙제이기 때문에 어떻게 끝까지 읽긴 읽었지만 중학생인 내게 그 책은 지루하기만 했고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잘 몰랐다. 

<암병동>은 두번째 읽는 솔제니친의 작품이다.  

암울하기만 한 제목. 이것도 결국 암 병동이라는 특정 공간의 얘기가 아닌, 그 이상의 세상을 빗대어 쓴 작품 아닐까, 내멋대로 추측까지 하며 두권의 두툼한 책을 펼쳐들었다. 

그 옛날 읽었던 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보다 훨씬 길지만 더 빨리 읽은 것 같다.

1918년 솔제니친이 태어났을때 러시아는 볼셰비키 혁명을 막 겪고 러시아 제국이 무너진 후 소비에트 정부가 수립되어 가던 혼란한 시기였다. 그의 아버지는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한 인텔리였으나 그가 태어나기 전 사망, 어머니 혼자 그를 키워야했다. 어머니 역시 문학, 예술, 외국어에 한 사람이었지만 혼자 부양해야했던 가족은 내내 궁핍한 생활을 면치 못했다. 솔제니친은 원래 대학에서 물리와 수학을 전공하였으나 전공외에 문학 등 다른 분야에도 관심이 많았다. 문학공부를 위해 다시 대학에 들어갈 생각도 하였던 솔제니친은 전쟁의 발발로 공부 대신 독일과의 전투에 참가하였고 형무소 생활, 강제노동수용소 생활을 하였으며 수용소 병원에서 악성종양 수술을 받기도 했다.

그의 전작 <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도 그렇지만 이 소설 <암병동> 역시 자신의 이런 경험들을 모티프로 하여 태어난 작품이다.

사회적으로 어둡고 혼란스런 시절, 암이라는 치명적인 병을 안고 모여든 환자들은 공통적이면서 모두 다르다. 입원하는 날까지도 자기는 암이 아니라고 믿는 사람, 병원에서의 치료와 별개로 온갖 정보를 찾아 암을 알고 고쳐보겠다는 사람, 방사선 치료의 폐해를 의사에게 따져묻는 사람, 가망없는 상태라는 걸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 목표하는 학업과 진로를 위해 빨리 치료받고 병동을 나가기만을 기다리지만 결과는 그렇지 못한 젊은 환자. 

죽음을 앞둔 사람들은 병동에서 톨스토이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책을 가지고 각자 자기들의 의견을 주장하기도 한다. 

이 소설에서는 환자들만 등장인물로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암병동을 구성하고 있는 다른 인력, 즉 의사, 간호사, 환자의 가족, 병원의 청소부까지, 암병동 자체가 하나의 사회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환자를 치료하던 의사 중 대장 격의 의사 한사람도 나중에 위암 진단을 받아 의사에서 환자의 신분이 되기도 한다.

작품중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인 코스토글로토프가 마침내 병원에서 바깥 세상으로 나와 사람들이 사는 마을, 백화점, 동물원등을 차례로 방문해보는데, 동물원에서 그가 발견한 것은 동물원에 갇혀 있는 동물들이 종은 달라도 암병동에서의 자기의 모습이었으며, 암병동은 아니라 할지라도 이 사회에서 제압받으며 살고 있는 민중들의 모습이었다. 

다음은 코스토글로토프가 쳇바퀴 돌리고 있는 다람쥐를 보며 하는 생각이다. 

누가 강제한 것도 아니고 먹이로 유혹하는 것도 아닌데, 다람쥐는 무슨 이유 때문인지 저렇게 나무나 높은 가지도 전혀 개의치 않고 쳇바퀴 속에 들어가 돌고 있는 것이다. 헛된 행위와 헛된 운동의 거짓 이념이 다람쥐를 꾀어낸 것일지도 모른다. 다람쥐는 분명 처음에는 호기심에서 살짝 발판에 발을 대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얼마나 가혹하고 끝없는 놀이인 줄 몰랐을 것이다. (처음에는 몰라서, 그 후 몇천 번째 돌고 있는 지금은 잘 알면서도 여전히)

쳇바퀴의 막대 발판과 완전히 하나가 된 다람쥐는 심장이 터지도록 온 힘을 다해 돌고 있었다. 그러나 수없이 앞발을 내디뎌도 다람쥐는 한 층도 더 높이 올라갈 수 없었다. (346쪽)


과거에, 그리고 현재에 많은 사람이 했었고 또 하고 있을 생각이다. 결국 허무하고 덧없는 삶이며 자기가 하고 있는 일을 모르고 있다면 그런 삶이 어떤 의미가 있는가하는. 자기 삶인데 자기가 주체가 될 수 없는 삶. 감옥과 병동의 공통점 아닐까?

암병동에서 퇴원하여 나온 그는 기대했던 환희를 어디에서도 찾을 수가 없었다. 고통스러워하며 억지로 삶을 지탱해가는 동물들의 모습만 눈에 보일 뿐. 어떤 동물도 자기가 원하는 모습으로, 자기가 원하는 삶을 살고 있지 않았다.

감옥과 수용소 생활 11년, 이후 망명생활 20년을 하며 살았던 솔제니친. 그가 몸으로 겪어 쓴 소설, 그가 찾아낸 진실의 증언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부만두 2021-06-29 09: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를 재미있게(????) 읽었어요. 이 작품도 찜하겠습니다.

hnine 2021-06-29 11:51   좋아요 2 | URL
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 그런 의미에서 저도 다시 한번 읽어보는걸로 해야겠습니다.
<암병동>은 암울한 내용이지만 지루하지 않아요. 워낙 여러 유형의 환자들과 의사들이 나오고, 치료 과정과 방법을 어찌나 구체적이고 상세하고 표현해놓았던지.
두권짜리이지만 읽으시는데 그리 오래 걸리진 않을거예요.

scott 2021-06-29 12: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마어마한 영지를 소유하고 있던 톨스토이 백작과 전혀 다른 삶을 살았던 솔제니친
그의 목소리가 담긴 수용소의 모습 그리고 암병동
작가의 기나긴 투쟁의 모습이라서 더욱 절절하게 다가 오네요

hnine 2021-06-29 12:18   좋아요 2 | URL
대학에서 과학을 전공한데다가 본인이 암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어서인지 어찌나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묘사해놓았던지요. 방사선 폐해에 대한 것, 차가버섯의 효과까지, 성이 이씨인 고려인도 잠깐 나오고요.
스위스로 망명, 미국에서 오랜 칩거 생활 끝에 생의 마지막은 그래도 러시아에 돌아가서 맞았다는군요.

scott 2021-07-07 16:1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에이치 나인님 이달의 당선작 추카!추카!
해피 수요일 ^ㅅ^

hnine 2021-07-07 21:55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scott님, 리뷰와 페이퍼 2관왕, 축하드려요!

그레이스 2021-07-07 16: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 축하합니다

hnine 2021-07-07 21:56   좋아요 1 | URL
그레이스님, 감사합니다.
그레이스님도 리뷰와 페이퍼 둘 다 당선되셨죠.
축하드려요~ ^^

초딩 2021-07-07 2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이달의 당선작 넘넘 축하드려요~

hnine 2021-07-08 04:42   좋아요 0 | URL
감사해요 그리고 축하해요 초딩님,
우리 함께 축하 주고 받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