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시작하고 지금까지 본 영화 22편.
그중 제가 별 다섯 준 영화 네 편입니다.
1. 열일곱 (Diecisiete, 2019 스페인)
갈곳 없는 이에게 하룻밤 보낼 수 있는 장소가 요즘처럼 찜질방이나 PC방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불꺼진 백화점이 될 수도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하는 영화.
형과 둘이 사는 열일곱살 엑토르는 오토바이를 타고 떠돌다가 폐점 직전 시간 백화점에 들어가 숨어있다가 모든 직원이 퇴근하고 백화점 셔터를 내리자 전시되어 있던 텐트 속으로 들어가 잠을 잔다. 경비원 순찰 소리에 빨리 도망쳐나와야 하는 상황, 엑토르는 전시되어 있던 상품중 난방전열기구를 훔쳐나오느라 시간 끌다가 붙잡히게 된다. 추운 날씨에 요양원에 혼자 계시는 할머니에게 가져다 드리려던 것.
소년원에 들어가게 된 엑토르와 이미 낮이 익은 판사는 엑토르에게 형법 책 한권을 선물로 주며 읽어보라고 한다. 소년원에서 다른 것에 흥미를 못붙이고 형법 책 읽는 것으로 하루하루를 보내는 엑토르를 소년원의 다른 아이들은 놀리고 괴롭힌다. 그러던 중 소년원에서는 교화 차원에서 유기견들을 차에 실어와 수감자들로 하여금 유기견들을 돌보는 기회를 주게 되고 엑토르도 어떤 개 한마리를 열심히 돌보게 된다. 어느 날 그 개가 다른 곳으로 입양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상심한 엑토르는 그 개를 찾기 위해 소년원을 뛰쳐나오게 되는데.
이것은 영화의 시작일뿐, 자극적인 장면 없이 엑토르가 치유되어 가는 과정, 형제애, 인간의 본성, 치유에 돌봄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영화이다.
애정이든 돌봄이든 받는 것도 필요하지만 인간의 본성은 다른 대상을 사랑하고 돌볼 수 있을때 스스로 자기 가치를 재평가하게 되고 치유의 길로 들어설 수 있는 것 같다는 여운을 준다.

2. 쁘띠 아만다 (Amanda, 2018 프랑스)
파리에서 민박집을 운영하는 청년 다비드, 그리고 다비드의 누나 상드린, 일곱살 조카 아만다.
파리시내에서 터진 테러로 누나 상드린이 갑자기 사망하고 졸지에 다비드는 일곱살 조카 아만다를 맡게된다.
자기의 일상이 서서히 무너져가고 조카를 돌보는 일이 힘에 겨워가는 다비드.
아버지 없이 유일한 버팀목이던 엄마까지 갑자기 세상에서 사라지고 외삼촌 마저 자기때문에 힘들어하는걸 눈치채게 되는 아만다.
영화는 이 둘의 대립을 보여주는데서 끝이 아니라 이 대립을 어떻게 서로 보듬고 가는가를 보여준다.
억지 위로 없음.
억지 감동 없음.

3. 콜럼버스 (Columbus, 2017 미국)
감독은 코고나다 (Kogonada). 한국계 미국인이다.
미국 인디애나주의 도시 콜럼버스는 모더니즘 건축의 메카라고 알려진 곳.
요즘 영화, 그것도 미국 영화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롱샷, 아주 느린 진행, 폭포수같이 쏟아지기는 커녕 가끔씩 오고가는 대화.
당신 아버지의 종교가 무엇이냐고 묻는 여자의 말에 남자는 대답한다.
"My dad believes in modernism, with soul." (아버지는 영혼이 담긴 모더니즘을 신봉했다.) 이런 식.
하지만 건축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그냥 지나치고 싶지 않은 영화.
사람이 아니라 건축이 주인공인 영화이다.

4. 케이크메이커 (The Cake Maker, 2017 이스라엘, 독일 합작)
제19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었던 영화이다.
요리, 음식 영화가 아니라 종교, 문화, 그것을 뛰어넘는 인간 대 인간의 사랑을 아주 섬세하게 그린 영화이다.
사랑을 잃은 후에도 사랑을 되찾은 후에도 우리는 계속 살아간다, 살아가야한다.

(제 주관적인 생각으로만 정하다보니 서재지기님들중에도 이 영화를 보신 분이 계셨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