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신화의 영웅. 알파벳문자와 그 밖의 문물을 페니키아에서 그리스로 가져와서 전한 카드모스의 현손(玄孫)이다. 테베의 왕인 그의 아버지 라이오스는 장차 태어날 아들에게 살해당할 것이라는 신탁(神託)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내 이오카스테와의 사이에 아들을 두었다. 그러나 신탁이 실현될 것을 두려워하여 갓난아이의 발뒤꿈치를 핀으로 찔러서 산속에다 버렸다. 코린트의 왕 폴리보스는 그 갓난아이를 데려다가 양자로 삼았는데, 발(푸스)이 부어 있었기 때문에 이름을 오이디푸스라고 지었다. 어느 날 싸움을 하다가 상대방이 폴리보스의 친자식이 아니라고 욕하는 것을 들은 오이디푸스는 진상을 알기 위하여 델포이의 신탁소(神託所)에 갔다. 거기서 장차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잠자리를 같이하게 될 것이라는 기묘한 신탁을 받았다. 그러자 오이디푸스는 부모가 있는 코린트로 돌아가기가 두려워서 테베로 향했는데, 도중에 좁은 길에서 자기 쪽으로 오는 마차 일행과 서로 길을 양보하라고 다투다가 상대방을 쳐서 죽였다. 한편 테베에서는 사자의 몸뚱이에 날개가 달리고 여자 얼굴을 한 스핑크스가 길을 가는 나그네에게 <하나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고, 4개의 다리, 2개의 다리, 3개의 다리가 되는 생물이 무엇이냐>라는 수수께끼를 내어서 그것을 알아맞히지 못하는 사람을 잡아먹고 있었다. 오이디푸스가 그것은 사람(어릴 때는 네 발로 기고, 자라서는 두 발로 걸으며, 늙으면 지팡이를 짚는다)이라고 대답하자, 그 괴물은 부끄러운 나머지 죽고 말았다. 그 공으로 오이디푸스는 테베의 왕위와 왕비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가 테베로 오던 도중에 죽인 사람은 아버지 라이오스이고, 아내가 된 사람은 친어머니 이오카스테라는 것이 밝혀져서, 이오카스테는 목매어 죽고, 오이디푸스도 스스로 두 눈을 뽑아내고 방랑의 길에 올랐다. 이상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오이디푸스에 관한 것인데, 다른 설도 많다. 페르시아를 창건한 키루스, 로마 건국의 시조 로물루스와 레무스 등에서도 볼 수 있는 기아(棄兒)의 모티프, 테우메소스의 여우를 비롯한 오이디푸스의 해수퇴치(害獸退治) 전설, 사위가 되는 조건인 수수께끼 풀기, 시원신화(始原神話)·건국신화에 많이 보이는 근친상간 등 갖가지 민간전승의 모티프가 섞여서 오이디푸스 전설이 형성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인도의 아사세태자 전설과도 유사성이 많다. S. 프로이트는 어린 사내아이가 무의식적으로 아버지를 싫어하고 이성인 어머니의 사랑을 독차지하려는 경향을 이 전설의 오이디푸스의 이름을 따서 <오이디푸스(에디푸스)콤플렉스>라고 하였다. 오이디푸스를 다룬 극에는 고대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왕》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에우리피데스의 《페니키아의 여인들》 등이 있다. 그 밖에 세네카·P. 코르네유·J. 드라이든·F.M.A. 볼테르 등을 비롯하여 후대의 많은 작가의 번안이 있다.

*출처 : 엥빠스 앙씨끌로뻬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트린 클레망, <악마의 창녀> p.24~25 미네르바의 탄생


제우스가 단말마의 비명을 지르자 그의 두개골이 열리고 그 틈새로 어린아이의 머리가 나타난다. '그 아이는 머리에 반짝이는 투구를 쓰고 손에는 창을 들고 있다.' 제우스는 '자신이 생명을 준 유일한 자신을 딸'을 응시하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아가야, 너는 아테네로 불릴 것이다. 너는 어머니가 없기 때문에 철학자들의 수호신이 될 것이다. 그러나 철학자들은 성마른 궤변론자들이며 고집불통이므로 다루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너는 지혜의 여신이므로 협상과 계략의 임무를 부여받을 것이고, 중재 기술도 갖게 될 것이다. 너는 평화에 대해서 책임을 지게 된단다. 또한 이따금 나는 너에게 전쟁을 일으키도록 지시할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들이 너무 행복하면 더이상 우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고, 그들 희생자들의 연기가 없다면 우리는 굶어 죽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절대 정열에 굴복해선 안 된다. 정열에 굴복하면 비천한 처지로 떨어지게 된단다. 사랑하려고 생각해선 안된다! 네가 사랑하는 것을 나는 금한다. 무엇보다 너를 감시하기 위해 나는 가장 아름다운 밤의 새를 선택했다. 그 새는 부드러운 깃털과 경계의 눈을 가진 올빼미란다. [...] 나 자신도 모르고 있는 조약이나 재판 같은 것들을 찾아내 인간들에게 그 모든 것을 말하게 해라. 앞으로 영원히 너는 이성이 될 것이기 때문이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Oiseau de Minerve

"어쨌든 철학은 항상 너무 늦게 도착한다.... 철학이 이성의 회색에 회색을 덧칠할 때 생의 한 모습은 이미 늙은 것이 되어 있다. 회색에 회색을 덧칠하면 그 생의 모습은 젊음을 다시 찾지 못하고 단지 인식될 뿐이다.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이 깃들면 날기 시작한다."고 철학에 대한 자기 규정을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한 시대(프랑스대혁명으로부터 나폴레옹까지)가 몰락할 때, 철학은 그것의 인식자로서 모습을 나타낸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 헤겔, <<법철학>> 서문

미네르바는 로마의 지혜의 여신이며, 그리스에서는 아테네라고 한다. 올빼미는 미네르바의 상징이고 따라서 미네르바의 올빼미는 지혜 또는 철학을 의미한다. (철학(philosophy)에는 '지혜를 사랑하다'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헤겔에게 있어 세계는 세계정신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세계정신은 신과 같은 초월자는 아니다. 따라서 세계는 어느 정도 우발성을 갖게 마련이다. 헤겔에게 있어 이성은, 칸트의 이성처럼 어떤 실재를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우발적인 현실과 세계 정신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를 지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성의 작업은 어떠한 실제적 사건이 어느 정도 일어난 후에나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미네르바의 올빼미는 황혼녁에야 난다'라는 말은 '어떤 사건에 대한 완전한 지혜는 그 사건 진행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서야 가능하다'는 뜻이다.


Minerve/Athéna

고대 로마신화에 나오는 지혜·공예의 여신. 그리스신화의 여신 아테네와 동일시되며 전쟁의 여신이기도 하여, 군신(軍神) 마르스를 밀어내는 형으로 널리 숭배되었다. 이 여신은 BC 6세기 초에 완성된 로마시의 카피토리누스 언덕 주피터신전에 주피터의 왕후 주노와 함께 3대국가신으로 모셔졌다. 카엘리우스 언덕과 히아웬티누스 언덕에 신전이 있는데 후자의 신전은 각종 장인조합(匠人組合)의 본부 역할을 담당한다. 제례는 퀸쿠아트루스(5일째의 뜻)라 불리고, 본디 3월 19일 하루 행해졌으나 그 명칭이 일반에게 <5일간>으로 잘못 알려져 23일까지 5일간 계속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레티프 드 라 브르톤 Restif de la Bretonne, 1734 ~ 1806

프랑스의 작가. 본명 Nicolas Edme Retif. 프랑스 중부 오세르시(市) 근처 사시 마을의 비교적 부유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고향 마을에서 목가적(牧歌的)인 소년시절을 보낸 뒤 신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사제직에 있던 형에게 맡겨졌으나, 조숙하고 다감한 성품 탓으로 성직을 단념하고 17살 때 오세르에 있는 인쇄소에 견습공으로 들어갔고, 1775년 파리의 왕실 인쇄소의 식자공이 되었다. 오랫동안 방탕한 생활 속에서 <밤부엉이(hibou spectateur)> 라 자칭하며 문학에 열중하여 소설을 쓰기 시작하였다. 《타락한 농민(Le Paysan perverti ou les Dangers de la ville, 1775)》 《당대 미녀 열전(Les Contemporaines ou aventures des plus jolies femmes de l'âge présent, 1780∼85)》, 자전소설 《니콜라씨(Monsieur Nicolas ou le Coeur humain dévoilé, 1794∼97)》 등 250여 작품을 썼으며 호색적·사실적 묘사는 19세기 사실소설의 선구로 전해진다. 《파리의 밤(Nuits de Paris ou le Spectateur nocturne, 8권, 1788∼94)》은 악이 번창하는 사회를 그린 것으로, 그는 자기 아내·딸·다른 여성들을 실제 이름으로 등장시켰으며 편지도 공개된다. 당시 민중생활을 철저히 사실적으로 묘사한 점이 돋보이며, 공상적 사회개혁에 관한 저서를 비롯한 그의 작품은 재평가 되고 있다.

*출처 : 엥빠쓰 앙씨끌로뻬디



Nicolas Restif , dit Restif de la Bretonne , ou Rétif de la Bretonne
Écrivain français (Sacy, Yonne, 1734 — Paris, 1806).

Issu d'une famille de paysans aisés de l'Auxerrois, il fut ouvrier imprimeur avant de raconter les aventures rêvées ou vécues de sa vie dans de nombreux récits, souvent licencieux, qui révèlent un observateur attentif des mœurs de la classe populaire rurale ou urbaine (le Paysan perverti ou les Dangers de la ville, 1776; la Vie de mon père, 1778; les Contemporaines, 1780-1785). Psychologue pénétrant, il n'hésita pas à se mettre à nu dans son autobiographie, Monsieur Nicolas ou le Cœur humain dévoilé (1794-1797). Dans la lignée de J.-J. Rousseau, il proposa des réformes sociales (les Idées singulières, 1794-1797).


*Yahoo! EnCyclopédie
*photo : http://perso.wanadoo.fr/sacy/restif.ht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法哲學,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G.W.F. 헤겔의 저서. 1821년 간행되었다. 정식 표제는 《법철학의 기본선-자연법과 국가학의 요강》이다. 인간의 자유라는 이념을 구체화하여 권리·계약·범죄·도덕·가족·시민사회·국가가 되는 상태를 체계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절대적인 독립성, 자기결정성을 가지는 주권국가와 일치하여야만 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한다. 주관적 이상을 방패로 하고, 과격한 국가비판을 하는 애국주의적 운동에 대한 비판을 함축해서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이다.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이다>라고 말하였다. 이 체계의 기본이 되는 것은 자유로운 인격이다. <나>라는 인격에는 생명·신체·재산을 자유의지로 처분할 권리가 있다. 권리로서 인정된 <나의 것> 속에서 <나>의 존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외적인 사물과 일정한 제한시간 내의 노동을 <나>는 양도할 수 있다. 기저가 되는 개인의 권리를 지탱하는 것은 시민사회에서 상품교환 중에 현존하는 <상호승인>이라는 사실이다. 타인을 자기의 생존수단으로 하는 시민사회에서의 상호관계는, 동시에 분업과 교환을 통한 상호의존의 관계이기도 하다. 헤겔은 이 시민사회에 내재하는 권리(법)를 자각적·제도적으로 보장하는 것이 국가라고 논하고, 개인의 자유·권리·인격으로서의 존재가 국가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도덕성의 근저를 단지 주관적 이상과 이념에 두는 관념론을 비판하여, 가족·시민사회·국가라는 3단계에 걸쳐 전개되는 <인륜(人倫)>이라는 구체적인 공동체를 법의 실체적 기반으로 설정하고, 그 속에 시민사회라는 경제사회를 국가로부터 명확히 구별해서 개념화한 것은 헤겔의 사회철학에서의 커다란 공적이다. 이 <시민사회>를 역사적 단계로 보았을 때, K. 마르크스의 <부르주아사회>라는 개념이 생긴다.

*출처 : 엥빠쓰 앙씨끌로뻬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