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만원 세대 -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1
우석훈.박권일 지음 / 레디앙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너무나도 절망적이지만 꼭 읽어야 한다! 그리고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희망을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8만원 세대 -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1
우석훈.박권일 지음 / 레디앙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

중학생 때 읽은 이 한 권의 책이 나를 꿈꾸게 했다. 그래! 아무리 어렵고 각박한 세상이지만 나 하나 먹고 살 수 있는 일은 있겠지, 열심히 뛰어다니다 보면 누구처럼 크게 성공할 수는 없어도 행복하다고 느낄 정도로 돈은 벌 수 있겠지. 그날 이후로 내 머리 속에는 그림 하나가 그려졌다. 내 나이 서른이 되면 내가 그리던 모습처럼 살 수 있을거라고 믿었다. 그러나 서른이 코 앞인데, 아직도 난 만원짜리 몇 장 앞에서조차 쿨해질 수가 없다. 그래, 남들보다 내 노력이 부족한 탓이야! 더 열심히 발버둥쳐 봤지만 내가 그리던 모습과의 간극은 더이상 좁아지지 않았다. 분명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은 것 같은데, 아니 그때보다 더 넓어지고 많아졌는데 왜 나는 이곳에서 아둥바둥 살고 있는걸까.

 

88만원 세대란?

지금의 20대는 상위 5% 정도만이 한전과 삼성전자 그리고 5급 사무관과 같은 '단단한 직장'을 가질 수 있고, 나머지는 이미 인구의 800만을 넘어선 비정규직의 삶을 살게 될 것이다. 비정규직 평균 임금 119만원에 20대 급여의 평균비율 74%를 곱하면 88만원 정도가 된다. 세전 소득이다. 88만원에서 119만원 사이를 평생 받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이 '88만원 세대'는 우리나라 여러 세대 중 처음으로 승자독식 게임을 받아들인 세대들이다. 탈출구는 없다. 이 20대가 조승희처럼 권총을 들 것인가, 아니면 전 세대인 386이 그랬던 것처럼 바리케이드와 짱돌을 들 것인가, 역사의 갈림길에 서 있다. (앞표지 글)

 

'요즘 애들은..., 옛날에는 안 그랬는데...' 이렇게 서두를 떼는 말을 어른들로부터 자주 듣곤 한다. 딱히 나의 언행이 어른들의 기분을 상하게 했던 것도 아닌데, 내가 봐도 '요즘 애들'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어린 세대부터 내 또래의 세대까지 통틀어서 이야기하곤 한다. 유신세대, 386세대... 아무리 생각해 봐도 지금의 20대를 부르는 이름은 없다.

누군가가 그랬다.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는다고. 이름이 없는 지금의 20대는 그들의 몸짓만으로 '명품족, 된장녀' 등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런 20대에게 잊혀지지 않는 눈짓으로 기억될 이름이 생겼다. 그러나 그 이름은 우울하기만 하다.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은데 고작 '88만원세대'로 정의되어 버린 20대, 그들은 스스로를 책망하며 점점 더 움츠려 들고 있다. 자신들끼리 경쟁하며 분열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그들이 '88만원세대'여야만 하는 이유는 다른 곳에 있었다. 그것은 바로 '세대 내 경쟁'이 아닌 '세대 간 착취' 때문이다. 분명 초등학교 교과서에 있었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것은 후손들에게 고스란히 물려줘야 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지금의 4,50대(일명 유신세대)는 자신들이 쥐고 있는 것을 기반으로 더 부풀리려고만 하지 절대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생각은 하지 않는다. 오히려 다음 세대들을 착취하며 가속화시키고 있다.

흩어지면 죽고, 뭉치면 산다고 했다. 지금의 30대들은 '386세대'라는 이름 하에 똘똘 뭉쳤고, 그들을 대변하는 사람에게 힘을 실어 주면서 돌파구를 찾았다. 그러나 지금의 20대는 다르다. 하나로 뭉쳐도 살둥말둥인데 각자 뿔뿔히 흩어져 서로를 겨냥하고 있다. 더 안타까운 일은 이런 현실에 문제 제기를 하는 20대가 없다는 것이다. 원래 조직이란 그들만의 이름을 가지게 되면 단결하기 마련이다. 이제 어엿한 이름도 생겼으니, 뭉칠 일만 남았다. 바리케이드를 치고 짱돌을 들어야 한다.

그렇다고 정말로 80년대 학생 운동 시절처럼 던지라는 말은 아니다. 바로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일이 다른 20대에게 이 책을 권하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 상징적인 의미를 함께 공유하며 문제의식을 갖는게 아닐까.

 

한해의 마지막 날 이 책을 읽었다. 울컥 복받치는 감정 때문에 눈물을 터뜨릴뻔 했다. 일단은 20대에게 이름을 지어준 저자가 고마웠고, 우리 20대를 다른 시각으로 봐주는 앞세대가 있다는 것이 반가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나도 절망적이었다. 좀 더 열심히 하면 나아지겠지, 그런 희망으로 살고 있었는데 나 혼자서는 어찌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라고 했다. '희망고문'을 멈추기 위해 던진 저자의 이야기가 너무 절망적이어서 며칠 동안 정신적 공황에 빠졌다.

책의 힘을 빌려서라도 공황 상태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행복해지고 싶었다. 그래서 아주 오래 전에 나에게 희망을 주었던 그 책을 다시 꺼내 들었다. 그러나 그 책은 정말 '아주 오래 전' 이야기가 되어 버렸다.

 

2008/01/09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색의 시간 - 채색의 기초 편
김충원 지음 / 진선아트북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두 시간이 채되지 않는 미술 시간 동안, 항상 그림을 완성할 수 없었던 이유는 채색 때문이었다. 워낙 꼼꼼하고 소심한 성격 탓에 밑그림 위에 채색을 하는데 상당한 공을 들였고, 한치의 어긋남이라도 생기면 이내 처음부터 다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살짝 붓이 빗나갔을 뿐인데, 그냥 다른 물감으로 덧칠해서 지워버릴 수도 있었는데 말이다.

 

나의 공들이기 기술은 미술 시간에만 한정되었던 것은 아니다. 어쩌다가 '색칠공부' 같은 것이 하나 생기면, 색연필로 알록달록 색을 채우는데 여념이 없었다. 잘못 칠한다고 해서 어느 누구도 꾸중할 사람이 없었는데도 말이다.

 

아마도 어릴 적부터 나는 채색이 그림의 완성도를 좌우한다고 여겼었나 보다. 그러니까 채색에 그렇게 많은 공을 들였을테지. 그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채색이지만, 막상 채색을 하려고 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어떤 순서로 책을 칠해야 하며, 색 배합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것을 결정하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 책은 마치 '색칠공부'를 하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한다. 캔버스에는 밑그림이 그려져 있고, 그 위에 예쁘게 채색만 하면 된다. 어떤 색을 어떤 순서로 칠하고, 색 배합은 어떻게 하는지, 게다가 그림을 좀 더 도드라지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기법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다.

 

사실 캔버스에 밑그림이 그려져 있다고 하더라도 망설여지기는 마찬가지다. 이 밑그림을 망치면 어떡하나,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이 책은 그런 망설임을 말끔히 사라지게 해주었다. 고민할 필요도 없이 설명 때로 따라만 한다면 얼마든지 멋진 그림을 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무조건 따라 그리는 것이 어떻게 스스로 그림과 같다고 할 수 있냐고 물을 것이다. 창조는 모방의 어머니라는 그 유명한 말이 있지 않은가. 그렇게 따라 그리다보면 분명 감각이 생길 것이다. 그리고 언젠가는 자신만의 색깔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날이 오리라.

 

2008/01/07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신동준 지음 / 살림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며칠 전 한정주의 『조선을 구한 13인의 경제학자들』을 읽었다. 13인이 한 목소리로 말한 것은 부국강병이었다. 최근들어 이런 책들이 자주 나오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부국강병"이라는 아젠다가 지금의 시대가 강력히 요구하는 것인가보다.

나는 우리 역사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학창시절에야 어쩔 수 없이 국사 교과서를 통해 주지되었던 것들은 단순히 받아들이는 것에 그쳤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관심이 있는 분야는 일부러 찾아보기도 하는데, 가끔씩 놀라는 경우가 있다. 내가 학창시절 교과서를 통해 배웠던 역사와는 너무나도 다른 면모를 종종 발견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가 교과서를 통해서는 알 수 없었던, 그리고 깊이있게 다루지 않았던 것들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런 면에서 저자의 시도가 상당히 마음에 들었다. 특히 (내 기억상으로는 교과서에서 한번도 거론된 적이 없는 것 같은) 하륜이나 다르게 알고 있었던 왕들에 대한 접근은 과히 흥미롭다.

그러나 그들이 무엇을 논하고자 했는지는 모르겠다. 아니 저자가 무엇을 논하고자 하는지를 모르겠다. 분명한 것은 저자는 부국강병을 논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그럴듯한 제목과는 달리 내용들을 살펴보면 마치 왕들의 뒷담화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다. 단순히 흥미 위주의, 센세이션을 일으킬만한 내용으로 구성한 것 같다. 정말 논하고자 했던 부국강병에 대해서는 심도있게 다루고 있지 못하다는 느낌이 든다. 내가 그동안 읽어왔던 여러 권들의 역사책들을 그저 짜집기 해놓은 것 같다고나 할까.

묵직한 제목과 두께에 너무 기대를 했나보다. 아니면 제목을 바꿨어야 한다. 내용에 걸맞는 제목으로.

★ 알라딘 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라하 거리에서 울고 다니는 여자
실비 제르맹 지음, 김화영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낭만적인 도시 프라하, 그곳의 어두운 이면을 엿볼 수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