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만원 세대 -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1
우석훈.박권일 지음 / 레디앙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

중학생 때 읽은 이 한 권의 책이 나를 꿈꾸게 했다. 그래! 아무리 어렵고 각박한 세상이지만 나 하나 먹고 살 수 있는 일은 있겠지, 열심히 뛰어다니다 보면 누구처럼 크게 성공할 수는 없어도 행복하다고 느낄 정도로 돈은 벌 수 있겠지. 그날 이후로 내 머리 속에는 그림 하나가 그려졌다. 내 나이 서른이 되면 내가 그리던 모습처럼 살 수 있을거라고 믿었다. 그러나 서른이 코 앞인데, 아직도 난 만원짜리 몇 장 앞에서조차 쿨해질 수가 없다. 그래, 남들보다 내 노력이 부족한 탓이야! 더 열심히 발버둥쳐 봤지만 내가 그리던 모습과의 간극은 더이상 좁아지지 않았다. 분명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은 것 같은데, 아니 그때보다 더 넓어지고 많아졌는데 왜 나는 이곳에서 아둥바둥 살고 있는걸까.

 

88만원 세대란?

지금의 20대는 상위 5% 정도만이 한전과 삼성전자 그리고 5급 사무관과 같은 '단단한 직장'을 가질 수 있고, 나머지는 이미 인구의 800만을 넘어선 비정규직의 삶을 살게 될 것이다. 비정규직 평균 임금 119만원에 20대 급여의 평균비율 74%를 곱하면 88만원 정도가 된다. 세전 소득이다. 88만원에서 119만원 사이를 평생 받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이 '88만원 세대'는 우리나라 여러 세대 중 처음으로 승자독식 게임을 받아들인 세대들이다. 탈출구는 없다. 이 20대가 조승희처럼 권총을 들 것인가, 아니면 전 세대인 386이 그랬던 것처럼 바리케이드와 짱돌을 들 것인가, 역사의 갈림길에 서 있다. (앞표지 글)

 

'요즘 애들은..., 옛날에는 안 그랬는데...' 이렇게 서두를 떼는 말을 어른들로부터 자주 듣곤 한다. 딱히 나의 언행이 어른들의 기분을 상하게 했던 것도 아닌데, 내가 봐도 '요즘 애들'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어린 세대부터 내 또래의 세대까지 통틀어서 이야기하곤 한다. 유신세대, 386세대... 아무리 생각해 봐도 지금의 20대를 부르는 이름은 없다.

누군가가 그랬다.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는다고. 이름이 없는 지금의 20대는 그들의 몸짓만으로 '명품족, 된장녀' 등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런 20대에게 잊혀지지 않는 눈짓으로 기억될 이름이 생겼다. 그러나 그 이름은 우울하기만 하다.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은데 고작 '88만원세대'로 정의되어 버린 20대, 그들은 스스로를 책망하며 점점 더 움츠려 들고 있다. 자신들끼리 경쟁하며 분열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그들이 '88만원세대'여야만 하는 이유는 다른 곳에 있었다. 그것은 바로 '세대 내 경쟁'이 아닌 '세대 간 착취' 때문이다. 분명 초등학교 교과서에 있었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것은 후손들에게 고스란히 물려줘야 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지금의 4,50대(일명 유신세대)는 자신들이 쥐고 있는 것을 기반으로 더 부풀리려고만 하지 절대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생각은 하지 않는다. 오히려 다음 세대들을 착취하며 가속화시키고 있다.

흩어지면 죽고, 뭉치면 산다고 했다. 지금의 30대들은 '386세대'라는 이름 하에 똘똘 뭉쳤고, 그들을 대변하는 사람에게 힘을 실어 주면서 돌파구를 찾았다. 그러나 지금의 20대는 다르다. 하나로 뭉쳐도 살둥말둥인데 각자 뿔뿔히 흩어져 서로를 겨냥하고 있다. 더 안타까운 일은 이런 현실에 문제 제기를 하는 20대가 없다는 것이다. 원래 조직이란 그들만의 이름을 가지게 되면 단결하기 마련이다. 이제 어엿한 이름도 생겼으니, 뭉칠 일만 남았다. 바리케이드를 치고 짱돌을 들어야 한다.

그렇다고 정말로 80년대 학생 운동 시절처럼 던지라는 말은 아니다. 바로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일이 다른 20대에게 이 책을 권하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 상징적인 의미를 함께 공유하며 문제의식을 갖는게 아닐까.

 

한해의 마지막 날 이 책을 읽었다. 울컥 복받치는 감정 때문에 눈물을 터뜨릴뻔 했다. 일단은 20대에게 이름을 지어준 저자가 고마웠고, 우리 20대를 다른 시각으로 봐주는 앞세대가 있다는 것이 반가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나도 절망적이었다. 좀 더 열심히 하면 나아지겠지, 그런 희망으로 살고 있었는데 나 혼자서는 어찌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라고 했다. '희망고문'을 멈추기 위해 던진 저자의 이야기가 너무 절망적이어서 며칠 동안 정신적 공황에 빠졌다.

책의 힘을 빌려서라도 공황 상태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행복해지고 싶었다. 그래서 아주 오래 전에 나에게 희망을 주었던 그 책을 다시 꺼내 들었다. 그러나 그 책은 정말 '아주 오래 전' 이야기가 되어 버렸다.

 

2008/01/09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