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 스캔들 2 - 명작은 왜 명작인가 명작 스캔들 2
장 피에르 윈터.알렉상드라 파브르 지음, 김희경 옮김 / 이숲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어렸을 때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고 잘 그린다는 얘기도 곧잘 듣긴 했습니다만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습니다. 그렇다고 틈틈이 그림 공부를 할 만큼 애착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그림에 있어서 무엇이 중요하고 어떤 것을 담겨야 하는지 어떻게 봐야 하는지도 잘 모릅니다. 그저 그림을 보는 제 기분과 감정에 좋게 다가오면 ‘야, 좋다!’고 느끼는 정도입니다. 해서 늘 궁금했습니다. 책에 고전이 있듯이 그림에도 명작이 있는데, 어떤 그림을 명작이라고 하는지 알고 싶었는데요. 얼마전에 출간된 <명작스캔들 2>가 좋은 실마리가 되었습니다.


지난해 ‘소설보다 재미있는 명화이야기’라는 부제를 달고 출간된 <명작 스캔들>을 통해 예술가들의 파란만장한 삶과 이름난 명화의 숨겨진 뒷이야기를 흥미롭게 읽었는데요. 이번 <명작 스캔들 2>의 부제는 바로 ‘명작은 왜 명작인가’입니다. 그림을 잘 그리고 못 그리고를 떠나서 어떤 그림을 명작이라고 하는지 이야기하는데요. 프로이트 학파의 정신분석학자이자 라캉의 제자인 장 피에르 윈터와 미술사를 전공한 저널리스트인 알렉상드라 파브르 두 사람이 공동저자로 저술한 것이기에 그 과정이나 내용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두 저자는 끊임없이 질문합니다. 이 그림을 왜 명작이라고 하는지. 나라가 다르고 시대가 변하는데도 불구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명작’이라고 칭하는데엔 어떤 이유가 있는지. [밀로의 비너스]를 시작으로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셍]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암굴의 성모],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아담의 창조]를 비롯해서 고야의 [1808년 5월 3일], 마네의 [풀밭 위의 점심], 르네 마그리트의 [이미지의 배반], 앤디 워홀의 [켐벨 수프 통조림] 등 서른 편의 명작을 소개하고 그것들을 왜 ‘명작’이라고 하는지 그 이유를 하나하나 짚어줍니다.


이를테면 가장 먼저 소개된 [밀로의 비너스]. 일단 겉으로 드러난 것만 보자면 이 작품은 결코 ‘명작’이라고 할 수가 없지요.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여신이라고 하기엔 신체의 굴곡이 밋밋한데다가 두 팔이 잘려 나가는 등 곳곳이 파손되어 있습니다. 마치 장인이 완성된 작품이 마음에 안 들어 스스로 부수어버린 게 아닐까 의심스러울 정도인데요. 아이러니하게도 바로 이런 부족함, 부재가 사람들로 하여금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밀로의 비너스]를 숭배하고 명작이라고 칭하는 이유가 된다는군요. 그런가하면 [터번을 두른 소녀(진주귀걸이를 한 소녀)]의 요하네스 페이메이르(요하네스 베르메르)의 작품은 일상 속에 깃든 소박함, 아름다움을 극대화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지요. 화가는 그저 우유를 따르는 여인을 그렸지만 그림을 감상하는 이들은 단순한 그림 속에 일상의 고단함과 풍요로움, 더 나아가 성적인 쾌감과 감동을 불러일으킨다고 하구요. 캔버스에 담배를 피울 때 쓰는 파이프를 그려놓고서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는 글을 적어 놓은 르네 마그리트. 그의 작품 앞에서 사람들은 끊임없이 고민합니다. 이게 파이프가 아니라니? 그럼 내가 보고 있는 게 뭐지? 그야말로 [이미지의 배반]인데요. ‘파이프’라는 이름과 구부러진 모양 속에 마그리트는 수많은 의미와 암시를 숨겨놓았다는 겁니다. 언뜻 봐서는 쉽게 이해가 되지 않지만 그림을 볼 때 오로지 시각에 의존하기보다 그 이면의 것들을 되새겨보고 ‘사고’해볼 필요가 있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저자는 말합니다. ‘아마추어 화가는 눈에 보이는 것을 보여주지만 명작의 작가는 그동안 우리 눈에 보이지 않았던 불가능한 것을 보여준다’고. 명작은 그저 잘 된 작품, 빼어난 작품이라고 해서 모두 명작이 아니었습니다. 작품을 탄생시킨 작가의 의도와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심리와 욕망이 한데 어우러져 공감대가 형성되었을 때 비로소 명작의 이해와 감상이 시작된다는 거였습니다.


고전이란 ‘누구나 꼭 읽어야 될 책이라고들 말하지만 실은 아무도 읽고 싶어하지 않는 책’이라고 마크 트웨인은 말했습니다. 첨엔 이 말을 ‘그렇지! 고전은 어려워서 사람들이 잘 안 읽어’라고 받아들였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아무도 읽고 싶어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꼭 읽어야 하는 게 바로 고전’이라는 걸 알 수 있었는데요. 명작도 그렇지 않을까요. 난해하고 혐오스러워서 쳐다보기조차 싫은 그림도 시간이 흐르고 일상의 무게를 느끼는 나이가 되고 보니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지더군요. 이전의 나라면 거들떠보지도 않았을, 터부시한 것들이 더 이상 거부감이 들지 않는 생각의 변화를 느낄 수 있었는데요. 명작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계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 이전에 미처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접근법,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