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기억, 지도 - KBS 특집 다큐멘터리 지도에 새겨진 2,000년 문명의 기억을 따라가다
KBS <문명의 기억, 지도> 제작팀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말하기 부끄럽지만 난 길치에 방향치다. 이전에 갔던 곳이라고 해서 쉽게 찾아가는 일은 지극히 드물다. 지인들은 나의 이런 치명적인 결함을 잘 알고 있기에 내가 낯선 장소에 가야 할 일이 생기면 약도와 함께 ‘지하철 몇 번 출구로 나와서 어느 방향으로 몇 블록을 지나서 어떤 건물(1층에 무엇이 있는지까지)’이라고 하나부터 열까지 세세하게 설명해준다. 상세한 안내 덕분에, 운이 좋아서 단 한 번에 찾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적지 주위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한참동안 방황한 적도 숱하게 많다. 기다리다 지쳐서 어떨 때는 지인이 나를 데리러 나오기도 하는데 그때마다 얼마나 부끄러운지 모른다.


<문명의 기억, 지도>라는 책을 보았을 때 의문이 들었다. 사실 지도라면 어떤 지역이나 나라를 모습이나 여러 사항들을 평면적인 그림으로 나타낸, 단순한 기호이자 표시라고 생각했는데 그 이상의 것, 인류의 ‘문명’을 담아냈다니.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쉽게 상상이 되질 않았다. ‘지도에 새겨진 2,000년 문명의 기억을 따라가다’라는 부제가 달린 <문명의 기억, 지도>는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로 제작되었던 것을 책으로 펴낸 것이다. 책은 크게 ‘달의 산’ ‘프롤레마이오스’ ‘프레스터 존’ ‘지도전쟁’ 네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고대부터 중세, 근세, 근현대를 대표하는 지도를 통해 당시 세계의 모습과 상황, 주변국과의 관계가 어떠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본문에서 가장 먼저 소개되고 있는 것은 바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학창시절 수업시간에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지도라서 시험에 꼭 나올 거라고 외우는데 이름이 난해하다며 투덜댔던 적이 있는데 이렇게 다시 보게 되다니. 그것도 아프리카 남단의 탐험이 이뤄지기 이전에 아프리카 대륙을 그려 넣었다니 놀라웠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서 주목해야할 것은 지도의 정확함이다. 나일 강이 두 개의 물줄기로 흐른다는 것에서부터 그 발원지로 알려진 ‘달의 산’을 지도에 그려 넣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산꼭대기가 만년설로 덮여있어 달처럼 하얗게 빛난다고 붙여진 이름 ‘달의 산’을 동양의 작은 나라 조선이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 그것을 밝히기 위해 조선이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그리기 위해 중국으로부터 지도를 입수했던 경로와 그 주변 국가의 당시 상황을 짚어보는데 몽골을 비롯해서 아랍, 지중해로 추적해간 끝에 ‘달의 산’이란 이름이 2,000년 전 고대 그리스인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밝혀내기에 이른다. 놀라움을 넘어서 경이로운 순간이었다. 현대인의 시각으로 봤을 때 지도의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축적, 나라의 크기나 배치, 비율이 전혀 맞지 않아서 왠지 엉성하게 보였던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탄생하는 과정은 그야말로 상상 그 이상. 인류의 문명이 어떻게 탄생하고 다른 나라로 전파되어 가는지 느껴볼 수 있었다.


이외에도 서양지도로는 최초로 중국이 그려진 [프롤레마이오스 세계지도]를 비롯해서 12장의 양피지에 로마의 길을 그려넣은 [포이팅거 지도], [카탈루냐 지도], [이드리시 지도], [대명혼일도] 등을 소개하면서 한 장의 지도로 인해 어떤 일이 일어났으며 그것이 인류의 역사와 문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하나하나 전해준다. 그리고 한걸음 더 나아가 현대에 있어서의 지도의 의미, 한 장의 지도가 갖는 힘이 어느 정도이며 지도를 연구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네덜란드와 일본, 아메리카 원주민의 구술지도를 통해 강조하고 있다. 지도는 그것 자체로 바로 하나의 권력이자 세계를 제패할 수 있는 무기라는 것을. 그리고 말한다. 지도는 박제된 과거의 그림이 아니라고. ‘그 속에는 ‘인류의 오랜 상상력과 호기심, 한 시대의 가치관과 철학, 종교와 문화, 그리고 그 시절을 살아낸 사람들의 수많은 이야기들이 살아서 꿈틀대고 있다.(17쪽)’고.


어제와 오늘, 약속 장소를 향하면서 내가 가장 먼저 한 일은 지도를 검색하는 거였다. 단순히 점과 선으로 이뤄졌던 지도는 점차 입체적으로 바뀌어 이제는 위성과 도시 곳곳에 설치된 CCTV를 통해 현장의 모습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처럼 지리에 약한 사람들에게 참 편리하겠다고 생각했던 지도. 이 시대의 지도를 미래의 인류는 과연 어떻게 기억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