셸터 - 집으로 쓴 시!, 건축 본능을 일깨우는 손수 지은 집 개론서 로이드 칸의 셸터 시리즈 1
로이드 칸 지음, 이한중 옮김 / 시골생활(도솔)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집이 너무 좁아.’ ‘넓은 집으로 옮기고 싶은데’. ‘자금이 없다. 어쩌지.’ 이런 고민을 한 게 벌써 몇 년 쨉니다. 뚜렷한 대책도 없이 걱정만 앞선 제게 지인이 이런 얘길 하더군요. “우리나라 땅값이 얼마나 비싼데 그래. 좀 좁아도 공간 활용해서 살아봐.” 순간 막혔던 가슴이 뻥 뚫리는 것 같았습니다. 그래, 공간활용이 해결책이었어. 그런데 전 요즘 또다시 고민을 하고 있답니다. ‘가족도 늘었는데’ ‘집이 너무너무 좁아’ ‘이대론 안돼’ ‘어쩌지?’ 지금 당장 몸을 누이고 쉴 집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엄연한 제 집에서 잠을 자고 밥을 먹고 생활하면서도 더 넓고 좋은 집을 꿈꿉니다. 대체 집이 뭐길래?




‘셸터’....무슨 뜻일까 싶어 검색을 했더니 간단하게 ‘대피소’라고 되어 있네요. 핵폭발로 인한 폭풍이나 방사능을 막을 수 있도록 설계된 피난처, 대피소란 의미라고 합니다. 근데 책 표지의 그림들을 보니 대피소나 피난처라기보다는 오랜 옛날부터 비교적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그야말로 ‘집’입니다. 즉, ‘셸터’가 집이란 말인데, 도대체 어떤 의미인 걸까요.




책은 먼저 우리 인류가 어떤 집을 짓고 살아왔는지에 대해 알려줍니다. 그저 나무나 별 아래에서 살던 인류가 어느 때부턴가 집을 짓기 시작했다고. 날씨조건의 변화나 농경, 인구의 변화, 도구의 변화에 따라 주거형태는 동굴에서 오두막, 천막의 형태로 변화했다고 합니다. 그리곤 나뭇가지, 줄기, 바위, 흙 등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해서 만든 집에 대해 언급하면서 기원전 1500년경에 단열재란 개념이 싹트기 시작했다고 알려줍니다. 여러 부족들마다 각각의 주거형태와 집에 대해 장소를 옮겨다닐 수 있다던가 30분이면 뚝딱 세울 수 있다는 식으로 조곤조곤 얘기합니다. 그다음 북아메리카와 유럽, 일본 등 지역에 따라 건축 재료에 따라 하나하나 설명하기 시작합니다. 주거 형태가 어떠한지, 어떤 과정을 거쳐 세우는지, 어떤 기둥에 어떻게 벽을 세우고 뼈대는 어떤 형태를 이루는지, 지붕의 모양과 역할 등에 관한 것을 설계도와 그림을 통해 알려주는데요. 그저 사소하게 보이는 건축재료의 변화에 따라 크게는 건물의 전체모양까지 바뀔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답니다.




저자는 본문 곳곳에 사진이나 설계도 그림을 이용해서 집에 대해 끊임없이 알려주고 있습니다. 집은 그냥 단순히 비를 피하고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 아니라 자연의 일부나 마찬가지라고. 그러니 집을 어떤 디자인이나 자재로 지을 것인지 결정하기 전에 먼저 주변 여건과 환경을 알아봐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자신이 집을 지을 터에 캠프생활을 하면서 그 변화를 관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입니다.




태어나서 지금까지 줄곧 도시에서만 살아서일까요. 시골이나 전원생활에 대한 막연한 꿈을 갖고 있습니다. 아이들 크고 나면 독립하거나 결혼하고 나면 시골에 조그만 집 지어서 채소를 가꾸고 작은 텃밭을 일구면서 살았으면 합니다.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 사랑하는 우리 님과 한평생 살고 싶네.♫”하는 노래가사처럼 말이지요. 이 책도 그래서 읽었습니다. 혹시나 이담에 제가 집을 지을 때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해서요. 설계나 건축에 무지한 저한테는 결코 쉽지 않은 책이란 걸 알게 됐지만 그래도 이 책과의 만남은 제게 의미가 있었습니다. 차를 타고 조금만 외곽으로 나가면 만나게 되는 알록달록 화려하고 근사한 전원주택이 결코 답이 아니란 걸 알게 됐거든요. 주변 환경을 거스르지 않으면서도 저의 생활리듬에 활기를 불어넣어주는 집. 작아도 그런 집을 짓고 싶다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