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태자의 마지막 키스 역사 속으로 떠나는 비엔나 여행 2
프레더릭 모턴 지음, 이은종 옮김 / 주영사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구스타프 클림트의 <키스>에 매료되지 않은 이가 있을까. 표정을 알 수 없는 남자와 남자의 키스에 지그시 눈을 감은 여인. 황홀경에 빠진 모습이다. 거기에 서로를 안고 쓰다듬는 손의 매무새까지 사소한 하나까지도 예사롭지 않다. 매혹적이다. 표지에 그려진 클림트의 <키스>와 <황태자의 마지막 키스>란 제목, 30대의 황태자가 10대의 소녀와 동반자살 했다는 소개자료를 보고  순간 두 번의 이혼경험이 있는 심프슨 부인을 사랑한 나머지 왕위까지 버렸던 윈저 공작의 세기의 로맨스가 떠올랐다. 윈저 공작의 로맨스에 버금가는 로맨스가 역사 속에 또 존재한다니. 갑자기 귀가 솔깃해지는 기분이다.




<황태자의 마지막 키스>의 저자인 프레더릭 모턴은 오스트리아의 비엔나에서 유대인으로 태어나 칼럼리스트로 활동했는데 역사, 특히 오스트리아의 역사에 관심이 많아서 역사를 소설의 형식으로 풀어낸 작품을 출간했다고 한다. 그런 저자가 1889년 1월 30일. 오스트리아의 황태자이자 합스부르크가의 왕위계승자인 루돌프 요제프와 17세 소녀 메리 베체라가 동반자살 했던 역사적인 사실을 어떻게 소설의 형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낼지 궁금했다.




마차를 타고 빠른 속도로 어딘가를 향해가는 황태자 루돌프를 묘사하는 것으로 책은 시작한다. 하인을 마차 뒤에 앉히고 루돌프가 직접 마차를 모는 장면을 담은 그림도 있었는데, 이 두 가지는 루돌프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외국의 뉴스, 유럽의 정세에 주목하고 있던 루돌프는 당시 오스트리아를 둘러싼 주변국들이 모두 빠르게 근대화의 길을 걷고 있다는 걸 느낀다. 이에 루돌프는 뒷짐 지고 시간이 흐르길 기다리기보다 오스트리아도 새로운 시대, 변화의 시대를 맞아 강력한 대국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 모든 걸 자신이 직접 앞서서 맞이하고픈 염원을 지닌 인물이었다. 그러나 프란츠 요제프 황제의 생각은 달랐다. 루돌프가 잘 차려입은 허수아비처럼 황태자의 자리에 머물기를 바랬다. 그 이상의 것을 허락지 않았다. 황태자인 루돌프가 품고 있는 이상이나 생각, 이념은 무시되었다. 자신의 조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무기력하다는 걸 사실보다 황태자인 자신이 그 어떤 것도 할 수 없다는 현실은 그를 큰 좌절에 빠지게 한다. 그런 그에게 남은 것은 오직 유희와 쾌락뿐. 어디서고 위안을 받을 수 없었다. 새롭고 강렬한 뭔가를 원하던 루돌프는 한 극장 개관식에서 봤던 17세의 소녀 메리 베체라를 떠올린다. 그리고 그녀에게 점점 깊이 빠져들게 되는데 자신을 내리누르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견디지 못한 루돌프는 결국 메리를 죽음의 동반자로 선택한다.




본문에 수록된 사진 속의 루돌프는 30세의 젊은 청년의 모습이 아니었다. 짙은 우울과 좌절로 생기를 잃은 한 명의 불행한 인간이었다. ‘나는 가장 불안한 나라에 사는 가장 불안한 사람’이라던 루돌프. 그의 앞에 놓인 길은 정녕 죽음으로 향하는 길 뿐이었을까. 안타까움에 자꾸 덮었던 책장을 뒤적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