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크리스마스라 다들 즐겁게 지내는데 나는 누가 오라는 사람도 없어 아르바이트나 하며 보내다가 바람의 전설에게 가 보았다. 거리를 조금 걸으니 나무에 꼬마 전구로 장식한 트리 같은게 보인다. 광화문에 특히 그런게 많은데 나는 왜 나무가 잠도 못자게 전구로 고문하듯이 칭칭 감아 놓았는지 이해를 못하겠다. 나무가 고통스러운게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보고 있는 내가 괴롭기 그지없다. 나무의 비명 소리가 들린다. 제발 잠좀 자게 해줘 ...제발, 플리즈, 칭, 도조...

이런 밖의 풍경과는 다르게 바람의 전설은 조용히 바둑을 두고 있었다. 옛 그림들을 보면 오래 묵은 소나무가 있고 그 아래 노인들이 있는데 그 사이에 바둑판이 있다. 이게 상산사호도이다. 그리고 위진 시대 때 줄림 칠현들이 노는 그림에도 바둑 판이 등장한다. 그래서 그런지 바둑을 좌은이라고 한다. 坐隱, 이것은 나의 다른 아이디이기도 하다. 바람의 전설은 오청원의 바둑을 복기하고 있었다. 오청원은 중국인으로 일본에 건너가 일본 바둑계를 평정한 바 있는 전설 같은 인물이다.
내가 온 것을 알고 바람의 전설은 바둑알을 염주알 만지듯이 잘그락잘그락 하기만 할 뿐 두지를 않는다. 한 수 가르침을 받기에 좋은 기회이다.

나 : 현인이시여, 바둑의 도는 무엇입니까?

바람의 전설 : 고요속의 폭풍, 폭풍 속의 고요라고나 할까? 결국 자기를 다스리는 것이지.

나 : 좀 더 가르침을 청하옵니다.

바람의 전설 : 바둑의 도에는 열 가지 비결이 있나니 이를 일러 위기 십결이라고 하느니라.

나 : 圍棋十訣이라 함은 무엇을 말합니까?

바람의 전설 : 지금 부터 내 바둑의 열가지 도를 말하노니 너는 주의 하여 들어라.

첫째, 욕심을 내면 이기지 못하니 이를 일러
탐욕불승貪欲不勝이라고 하고

둘째, 적진에 들어갈 때에는 천천히 들어가야 하니
이를 일러 입계의완入界宜緩이라고 하고

세째, 적을 공격할 땐 우선 나의 약점을 돌아보아야 한니
이를 일러 공피고아攻彼顧我라 하고

네째, 자신의 돌을 버리더라도 선수를 취해야 하니
이를 일러 기자쟁선棄子爭先이라고 하고

다섯째,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곳으로 나가야 하니
이를 일러 사소취대捨小就大라 하고

여섯째, 위험을 만나면 자신의 돌을 미련없이 버려야 하니
이를 일러 봉위수기逢危須棄라 하고

일곱째, 경망스럽게 빨리 두는 것을 삼가야 하니
이를 일러 신물경속愼勿輕速이고 하고

여덟째, 돌을 움직일 때는 서로 호응하게 두어야 하니
이를 일러 동수상응動須相應이라 하고

아홉째, 적이 강한 곳에서는 우선 나를 보호해야 하니
이를 일러 피강자보彼强自保라 하고

열째, 나의 세력이 고립된 곳에서는 화친을 취해야 하니
이를 일러 세고취화勢孤取和라 하느니라.

한 마디 한 마디에 힘이 들어가고 내용이 달라질 때마다 표정의 미묘한 변화가 일었는데 거기엔 온화한 가운데에도 승부의 긴장된 호흡이 강하게 전해 왔다.

나 : 현인이시여, 지금 말씀하신 위기십결은 바둑의 도입니까? 인생을 사는 도입니까?

바람의 전설 : 바둑의 도가 곧 인생의 도이니라. 그러나 바둑의 도는 둘 중에 하나는 지고 하나는 이기는 도이지만 인생의 도는 싸우지 않고 모두 이기는 도가 있느니라. 바둑의 도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아는 도에 불과하나 (聞一知二)인생의 도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아는 도이니라. (聞一知十)



참고 : 고인들은 바둑을 완물 상지라 해서 경계하였으나 잘 두면 훌륭한 취미가 될 수 있을 듯.
玩物喪志 : 소학에 나오는 말로 어떤 물건에 마음을 배앗겨 큰 뜻을 잃음을 나타내는 말. 바둑이나 편지 글씨 그림 등이 다 완물상지가 될 수 있으니 그 경계하는 의미가 깊다.










' + ''; } $j('#paper-video-'+pkId).html(htmPlayer); } function fn_setVideo(metadata) { var oReq = new XMLHttpRequest(); oReq.onreadystatechange = function () { if (oReq.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 var token_info = JSON.parse(oReq.responseText); gapi.auth.setToken({ access_token: token_info.access_token, expires_in: token_info.expires_in, state: token_info.scope }); var video = new UpdateVideo(metadata.id, null); video.ready(token_info.access_token); video.updateSnippet(metadata); } } oReq.open("GET", "/ajax/GoogleAuth.aspx", true); oReq.send(null); } function fn_getVideo(callback) { var oReq = new XMLHttpRequest(); oReq.onreadystatechange = function () { if (oReq.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 var token_info = JSON.parse(oReq.responseText); gapi.auth.setToken({ access_token: token_info.access_token, expires_in: token_info.expires_in, state: token_info.scope }); var p = fn_getUrlParams(); var video = new UploadVideo(); video.ready(token_info.access_token); video.videoId = p.q; video.paperId = $j('#v_' + p.q + '_paperId').val(); video.pkId = $j('#v_' + p.q + '_pkId').val(); video.process(callback); } } oReq.open("GET", "/ajax/GoogleAuth.aspx", true); oReq.send(null); }

요즘 빛을 값고 또 필요한 책과 컴퓨터 같은 것을 구입하려고 하니 적지 않은 돈이 들기에 밤에 아르바이트를 한다. 지금은 두시 40분...남들 대개 다 자는 시간이다. 나는 지친 몸을 쉬고 싶지만 머리를 쓰다가 갑자기 자는 것은 좀 그렇다는 기분이 든다. 바둑을 한 수 하려니 적수가 안 나타난다. 그래서 바람의 전설에게 전화나 한 통화 해 보기로 했다.

나 : 여보세요. 아, 아직 안 주무세요?

바람의 전설 : 그럼 전화 벨이 울리는데 잘 수가 있겠소?

나 : 헤헤^^ 이해 하십시오. 제가 지난 여름에 중국에서 사온 대형 지도를 벽에 붙여 놓았는데요. 지금 보니 중국 땅이 하나의 물음표?처럼 보이네요. 해남도는 물음표의 아래 점이고요. 그리고 일본은 비스듬한게 느낌표 같아요. 그런데 우리 나라는 무언지요?

바람의 전설 : 허허. 참 재미 있는 발상이로군. 사실 중국은 고대로부터 무수한 물음을 던진 역사이기도 했지. 그에 비해 일본은 최종 정리하는 정리의 역사이고. 예전에 일본 사람들이 우리가 안 보는 팔만대장경 달라고 떼를 쓰고 했는데 그것 가져 같으면 그것 가동하느라 아주 밤새웠을 거야. 모로하시가 한화대사전 만들다가 실명한 것 보면. 그런데 우리나라를 잘 보아라 . 정녕 무엇으로 보이는뇨?

나 : 어찌보면 느낌표 같고 ....또 어찌보면 물음표 같고 ....

바람의 전설 : 정녕 무엇으로 보이느냐?

아, 우리 나라는 무엇인가? 닭처럼 생긴 중국 대륙을 물고 있는 호랑이인가? 시원하게 바람을 일으키는 부채 자루인가. 귀여운 토끼? 일본은 전갈? 지도를 방에 붙여두고 올때 갈 때 보다보니 여러가지 상념이 일어난다.



* 중국 대륙을 느낌표라고 한 것은 중국의 저명한 수필가 위치우이余秋雨가 한 말이고
닭을 물고 있는 호랑이에 비유한 것은 항주의 동아 제약 공장장님의 견해임
그리고 서쪽을 향해 시원한 바람을 일으키는 부채 자루라고 본 것은 금방 내가 생각해낸 독창적 아이디어임. (판권 소유!^^)
참고로 내가 좋아하는 말이 淸風萬里임.
' + ''; } $j('#paper-video-'+pkId).html(htmPlayer); } function fn_setVideo(metadata) { var oReq = new XMLHttpRequest(); oReq.onreadystatechange = function () { if (oReq.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 var token_info = JSON.parse(oReq.responseText); gapi.auth.setToken({ access_token: token_info.access_token, expires_in: token_info.expires_in, state: token_info.scope }); var video = new UpdateVideo(metadata.id, null); video.ready(token_info.access_token); video.updateSnippet(metadata); } } oReq.open("GET", "/ajax/GoogleAuth.aspx", true); oReq.send(null); } function fn_getVideo(callback) { var oReq = new XMLHttpRequest(); oReq.onreadystatechange = function () { if (oReq.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 var token_info = JSON.parse(oReq.responseText); gapi.auth.setToken({ access_token: token_info.access_token, expires_in: token_info.expires_in, state: token_info.scope }); var p = fn_getUrlParams(); var video = new UploadVideo(); video.ready(token_info.access_token); video.videoId = p.q; video.paperId = $j('#v_' + p.q + '_paperId').val(); video.pkId = $j('#v_' + p.q + '_pkId').val(); video.process(callback); } } oReq.open("GET", "/ajax/GoogleAuth.aspx", true); oReq.send(null); }

오후 5시인데도 겨울이라 금방 해가 지는 것 같다. 그리고 보니 동지이다. 스타디를 금방 마쳐 좀 피곤해진 나는 근처에서 팥죽 한 그릇을 사들고 현자를 만나러 갔다.

나 : 현자시여, 오늘이 동지라 팥죽을 사 왔습니다.

바람의 전설 : 음 , 맞이 좋구나. 고대 주나라에서는 동짓달이 섣달이었나니 팥죽을 쑤어 붉은 색을 내는 것은 벽사의 의미로다. 너는 올해 무엇을 물리치고자 하는가?

나: 저는 제 마음에서 미움을 버리고자 하옵니다.

바람의 전설 : 갸륵한지고. 미움은 자신의 선심을 갉는 쥐와 같나니, 미움을 버리는 것은 중요하되 쉽지 않느니라. 어떻게 미움을 버리고자 하는가?

나 : 남의 악을 보지 않고 선을 볼 것이며 남의 흉을 들은 것은 한쪽 귀로 흘리고자 합니다. 내가 하기 싫은 것을 남에게 시키지 아니하고 내가 하고 싶은 것을 남에게 할 기회를 주겠습니다. 그리고 기왕의 미움은 더 키우지 않으려 합니다.

바람의 전설 : 미움은 다른 것이 아니라, 서로 다름이니라. 자신과 같지 않을 땐 그 다름을 인정해야 하느니라. 그리고 그 다름은 무엇인가. 나와 타인과의 구별이니라. 구별이야말로 미움의 씨앗이니 구별을 줄이면 미움은 절로 줄 것이니라. 사랑이란 무엇인가. 호감이니 호감은 같은 것이니라. 같은 기운은 서로 통하고 응하하나니 이해의 바탕이니라. 천지간에 통하는 거대하고 광명한 기운이야말로 바다와 같은 이해심을 낳고 이 이해심이야말로 산악같은 포용력을 낳아 그대에게 마음의 화평을 줄 것이니라.

나 : 그럼 천지에 통하는 기운은 이떻게 얻을 수 있습니까?

바람의 전설 : 격물치지와 양지이니라. 사물을 궁구하여 그 철리를 깨닫는 것은 그대의 미혹을 씻어 줄 것이고 나면서부터 알고 있는 지혜는 그대를 옳바른 실천에로 인도해 줄것이다. 그대여 늘 그대의 양심에 따라 행하며 쉬지않고 노력하라. 그러면 평화가 올 것이로다.

바람의 전설은 말을 맺고 천천히 일어나 붓을 잡았다. 그리고 먹물을 듬뿍 묻혀 두 글자를 써서 내려 주었다.

옥성 玉成

貧賤憂慽은 用玉汝於成也니라
가난과 천함 근심과 슬픔은 너를 옥처럼 갈아 성공으로 인도할 것이다. 장재 張載의 서명 西銘에서 인용.

나는 현자의 처소에서 물러 나와 서편 하늘을 쳐다 보았다. 바쁘기만 하고 실속은 없으며 남에 대한 미움으로 번뇌한 내 초라한 몰골이 날 조롱하듯 떠 오르고 있엇다. 곧 해는 질 것이다. 그리고 하늘은 항상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는 걸 증명이라도 하듯 내일의 여명은 밝아 올 것이다. 아직은 지는 시간이고 찬 바람은 불지만....
' + ''; } $j('#paper-video-'+pkId).html(htmPlayer); } function fn_setVideo(metadata) { var oReq = new XMLHttpRequest(); oReq.onreadystatechange = function () { if (oReq.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 var token_info = JSON.parse(oReq.responseText); gapi.auth.setToken({ access_token: token_info.access_token, expires_in: token_info.expires_in, state: token_info.scope }); var video = new UpdateVideo(metadata.id, null); video.ready(token_info.access_token); video.updateSnippet(metadata); } } oReq.open("GET", "/ajax/GoogleAuth.aspx", true); oReq.send(null); } function fn_getVideo(callback) { var oReq = new XMLHttpRequest(); oReq.onreadystatechange = function () { if (oReq.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 var token_info = JSON.parse(oReq.responseText); gapi.auth.setToken({ access_token: token_info.access_token, expires_in: token_info.expires_in, state: token_info.scope }); var p = fn_getUrlParams(); var video = new UploadVideo(); video.ready(token_info.access_token); video.videoId = p.q; video.paperId = $j('#v_' + p.q + '_paperId').val(); video.pkId = $j('#v_' + p.q + '_pkId').val(); video.process(callback); } } oReq.open("GET", "/ajax/GoogleAuth.aspx", true); oReq.send(null); }

오늘 대학 동아리 망년회가 있어 나갔다가 뒤끝이 좋지 않았다. 이럴 줄 알았으면 중여동 모임에 나가는건데...나는 좀 기분이 가라앉아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현자를 찾아갔다. 현자의 집 앞에서 옷깃을 여미며 공손한 태도로 그의 허름한 집을 찾았더니 현자는 늦은 시간에도 불을 밝히고 책을 보고 있었다. 바람의 전설로 불리우는 현자는 나에게 차를 한 잔 권하였다. 다음은 나와 현자인 바람의 전설과의 대화이다.

나 : 현자시여 , 술자리는 어디에서 멈추어야 하나이까?

바람의 전설 : 그대가 그만두고 싶을 때 그만두되 마지막은 피해야 하는니라. 가능한한 12시를 넘겨서는 아니된다. 자시엔 하늘이 생기고 축시엔 땅이 열리며 인시엔 사람이 생겨나므로 사람은 자시전에 자고 인시가 다 가기 전에 일어나는 것이 가장 좋으니라. 다만 우리나라는 일본을 기준으로 하므로 한 시간 늦게 계산해야 하니 1시 전에 자서 6 시 전에 일어나야 하나니 12 시 이후의 술자리는 해로웁고 12시가 넘어 부르는 친구는 나에게 해를 끼치느니라.

나 : 현자시여, 술값은 누가 내야 합니까?

바람의 전설 : 술값도 내고 싶은 사람이 내는 것이 가장 좋다. 세 명이 넘을 경우엔 각자 부담하되 자신이 조금이라도 많이 내려고 해야 한다. 한 잔의 공술을 마시면 그만큼 나의 덕이 줄고 한잔의 술값을 더 내면 나의 적덕이 남느니라. 적선지가에 필유여경 하나니, 항상 남보다 조금 더 내려는 자세를 지니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친구들이 내가 술값을 낼까봐 걱정하게 되나니 내는 술값은 같되 서로 내려 하는 것과 서로 안내려 하는 것은 우정의 견지에서 보면 하늘과 당 차이지만 내는 것은 같느니라.

나는 현자의 말에 머리를 조아리고 잠시 침묵한 다음 한 잔의 차를 현자에게 올리고 말했다.

나 : 현자시여 , 이 겨울에 외로운 사람과 그리운 사람이 많나이다.

바람의 전설 : 외로운 사람은 그리워 하고 그리운 사람은 외로워 하나니, 이것은 인간의 본질이니라. 정말로 위대한 것은 외로움에 그 씨앗이 숨어있고 그리움은 사람을 사람답게 하나니 그리움이 있어 그대는 시인이 되고 외로움이 있어 그대는 철인이 되리라. 외로울 때야 말로 더 큰 외로움을 향해 나아갈 때이고 그리울 때야말로 더 큰 그리움의 바다로 가야 할 때이니 그대여, 외로움이 외롭지 않을 때까지, 그리움이 그립지 않을 때까지 가 본 적 있느뇨. 사실 알고 보면 사람들은 늘 외롭기를 원하고 있지 않느냐. 사실 알고 보면 사람들은 늘 그리움을 원하고 있지 않느냐. 외로울 땐 외로워 하고 그리울 땐 그리워 하는 것이 중요하느니라. 그러므로 외로운 사람은 외로움을 한 없이 음미하고 그리운 사람은 그리움을 한없이 음미하라. 그리고도 외로워 할 것이 남아있고 그리워 할 것이 남아 있더냐.

나 : 현자시여, 이 잠들지 못하는 영혼에게 무슨 말을 주시렵니까?

바람의 전설 : 나도 잠들지 못하는데 내 누구에게 말해줄 것이 있겠느냐. 잠들지 못할 때처럼 축복받은 때는 없나니, 그대는 남은 술이 있느냐. 남은 술의 향기가 우리에게 인생의 비밀 한자락을 풀어 주려나 보다.

나는 한 잔의 술을 현자에게 바쳤다. 현자는 한 잔의 술을 음미하듯 마시고는 온화하기 춘풍 같은 얼굴로 한 동안 우주를 느끼며 노닐다가 내게도 한 잔의 술을 부어 주었다. 말없이 마시는 한 잔의 술에 한 잔의 침묵이 흐르고 나는 스르르 와선을 하고 싶은 생각이 밀려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의 전설은 이렇게 말했다.

독서는 나의 휴식이다. 내 지친 영혼이 호수처럼 고요히 쉬는  때는 독서할 때이다. 

바쁘다고 해서 독서를 버려서는 안된다.  독서야 말로 그 바쁜 시간을 바쁘지 하지 않게 하는 지혜와 지식을 안겨 줄 것이다.

책을 많이 읽는데 목적을 두어서는 안된다.  좋은 책을 찾는데 힘을 쏟고 찾은 책은 그 내용에 깊은 흥미를 느끼고 음미하며 즐겨야 한다. 독서를 즐기다면 읽은 책은 절로 많아질 것이고 읽은 내용도 남들보다 깊을  것이다.

여행과 독서야말로 그 사람의 문장력에 중요한 보탬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에 관한 글을 쓰고 싶으면 중국에 관한  많은 고금의 서적을 충분히 읽고  중국   곳곳을 두루 돌아보아야 한다.

 이 여행과 독서에서 얻은 지식을 잘 정리하고 거기서 얻은 교훈을 실천한다면 훌륭한 인격자가 될 것이다.

세상이 각박해지고 사람들이 약아진다고  걱정하거나 우울해 할 필요가 없다. 내가 너그롭게 살고  도의에 맞게 살아간다면 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을 것이다.  사람들은 결국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좋아하게 된다.  사람들은 각박과 약음보다는 너그로움과 도의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혹 시절이 나빠 자신이 외토리가 되더라도 그 길을 버려서는 안된다.  큰 뜻을 품은 자가 그것을 버리는 것은 자신의 미래와 잠시의 편안함을 바꾸는 꼴이 될 것이고  평범한 자가  자신의 양심을 버리면 나중에 할 말이 없게 될 것이다. 세상의 시류에 영합해서 아무렇게나 사는 것은 오직  천한 자와 소인만이 할 수 있다. 그들은 미래가 없는 현실만을 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