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한순간에
수잰 레드펀 지음, 김마림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욥기를 다른 형태로 건너 들으면서 한 생각은 '이야, 참 신이 못 되 처먹었구나'였다. 

묵자를 읽으면서는 차별없는 사랑이란 말에 사람이 과연 그러할 수 있는가에 의심을 가졌다. (https://blog.aladin.co.kr/hahayo/10999324)


이야기가 지나치게 결벽적이라서 놀란다. 

어쩌다 한국인,을 읽은 뒤라서 서양인들이 어떤 이야기 속에서 사는지 생각하면서 읽게 된다. 

이 사람들은 삶과 죽음이 멀어서 꿈 속에 죽은 딸이 나타나 이야기하는데 비명을 지르면서 잠을 깨는구나. 이 사람들은 타인에게 자신의 딸을 맡기면서 자신보다 더 잘 보살피기를 기대하는구나. 자신 안의 어둠을 보는 데 두려움이 많아서, 책임질 타인을 원하는구나. 

예전에 봉제인형살인사건을 읽을 때도 그런 인상을 받았었다. (https://blog.aladin.co.kr/hahayo/10935205) 거기 퍼 놓은 건 '착한 사람은 없다는 것, 아직 지나치게 몰아붙여 지지 않은 사람만 있을 뿐이야'라는 거였는데, 나는 '사람을 그렇게 몰아붙이면 안 돼'라고 생각하는 사람인 거다. 

서양인들에게는 분명한 선과 악이 있고, 시험에 들게 하는 신 아래에서 항상 선을 택하기를 원하는 이야기 가운데 사는 구나, 라는 생각을 했다. 

사고가 일어나고 그 다음, 구조받은 다음에도 계속되는 이야기 가운데, 얼마나 결벽적인지 계속 생각하게 되더라. 불쌍하네. 그래서 그렇게 자꾸 극단적이 되나, 싶었다. 살아남은 사람의 행복을 위해서 어쩌면 죽었어야 하는 사람이었던 거야?라고 생각하기까지 했다. 화자가 되지 못하는 죽음은 무엇이었을까, 생각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임 질 타인을 결국 찾아낸 건가,라는 생각을 하는 지경이었다. 

자신 안의 어둠을 볼 수 없어서, 타인에게 관대해질 수 없는 이야기라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학에서 여성학을 만났고, 한참동안 나는 내가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했다. 처음 접한 것은 여성에게 유리천장이 있어 차별받고 있으며, 가정주부의 삶은 어느 순간 허무와 공허가 닥친다고 주장하는 1세계 여성들의 페미니즘이었고,  여성도 남성과 동등하며 성적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 성적 해방에 대한 것이었다. 그렇지만 의문이 생기는 순간들, 나의 대답이 달라지는 많은 순간들 가운데 점점 멀어졌다. 


성적 해방에 대해 말하자면, 처음 그런 모순의 순간은 애나벨 청의 영화에 대한 이야기였다. 씨네21에서 만난 기사는(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ealing42&logNo=120105148623) 성해방에 현혹되었다고 하더라도 도대체왜????라는 의문부호가 생기는 일이었다. 남성그룹 안에서 대단하다는 그 기준이 여성 안에서도 동일한가? 바람둥이 남자가 가지는 어떤 자부심,이 바람둥이 여자가 가지는 어떤 자부심과 같은가? 남자가 여러 여자와 성교했음을 자랑하는 것과 여자가 여러 남자가 성교했음을 자랑하는 것이 같은가? 나의 대답은 다르다,였고, 나는 여성에게만 심하다는 문화적 성적 억압에 저항하겠다고 마구 성교하는 모험 따위 하고 싶지 않았다. 성적 해방이라는 것은 참으로 기이한 게 아닌가, 싶은 거지.

녹색의자(http://www.cine21.com/movie/info/?movie_id=9269)같은 영화 소개에 완전히 같지 않은 내 태도에도 의심을 품게 되는 거다. 이건 사랑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나는 도대체 뭐지 싶었던 거다. 어린 여성과 나이든 남성의 관계에 단호하게 내리던 나의 예단이 성별이 바뀌었을 뿐인데 달라지는 것이, 심지어 그 영화자체도 그러하지 않다고 하는 것에 의문이 생기는 거다. 



여성의 성취에 대해 말하자면, 나는 여초업종에 두드러진 남성들에 대해 생각했다. 이철 헤어커커같은 체인이 막 생길 때였어서, 나는 여자들 일이라고 부단한 반대를 무릅쓰고 직업을 이어나간 남자들이 바로 그 여자들 일에서 직업적으로 그럴듯해 보이는 성취로 사람들 사이에 오르내리는 게 신기했던 거다. 이유가 뭘까. 그러면서, 내 주변에 내가 만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하는 거다. 

카트(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D%8A%B8_(%EC%98%81%ED%99%94)에서 절대 다수 비정규직 아주머니들은 자신들의 대표로 어린 남자를 세운다. 이건 어떤 것일까, 나는 생각하는 거다. 여성들의 성취가 부족하다고 사회적 지지가 부족하다고 주장하지만, 과연 그것이 '사회'적 지지인가 질문하는 순간들이 많다. 

나는 어쩌면 이건 문화적 압력이고 그 문화적 압력은 여성문화와 남성문화의 차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아무리 성별 구분 없이 우정과 일을 함께 한다고 하지만, 그게 가능한가 의심하는 지경이라서, 결국 여성은 여성의 말들에 좀 더 영향을 받고, 남성은 남성의 말들에 좀 더 영향을 받는 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연령으로 보면 또래집단, 성별로 보면 같은 성별이 나에게 좀 더 많은 영향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여성들은 위계적 관계를 선호하지 않고 수평적 관계를 선호하기 때문에(https://blog.aladin.co.kr/hahayo/9078175) 돌출하는 특출난 존재를 끌어내린다. 동양의 문화가 서양의 문화와 달리 히어로를 추종하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는 생각도 한다. 결국 상대적일 수 밖에 없는 태도의 문제에서 동양의 문화가 서양의 문화에 비해 여성적이고, 다시 동양 안에서도 여성의 문화가 남성의 문화에 비해 여성적이다. 여성은 영웅을 원하지 않는다. 


성취나 성공이 과연 무엇인가 의심하는 지금의 나는 많은 페미니즘의 언설이 서양의, 남성의 기준을 수용하고 출발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서양 백인 남성이 만들어놓은 그 많은 위계를 우선 수용하고, 그 제일 높은 곳에 내가 서지 못하는 이유를 찾는 이야기라는 생각을 한다. 에코 페미니즘,과 같은 제 3세계 페미니즘은 위계에 의문을 제기하고, 거부하는 이야기라서 나는 많은 의문에도 불구하고 꽤 오랫동안 내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정의했다. 그렇지만, 지금 여기, 페미니즘에 대한 말들 가운데 그런 페미니즘은 힘이 없고, 나의 말들은 '페미니스트가 아니다'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고 공격당한다. 동양의 태도가 다르지 않고, 내가 동양문명 안에서 존재하는데, 굳이 페미니즘이나 페미니스트임을 주장할 필요가 있어?라는 게 지금 나의 입장이고, 그래서 나는 이제 더 이상 페미니스트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han22598님의 "무엇이 다름을 만들까?"

저는 음, 25%까지 확대한다는 게 앞으로 25%선에서 억제한다,가 될 수도 있는 게 아닌가. (초등학교교사의 남녀성비같이)
도대체 왜 인위적으로 숫자를 통제하려 하는가, 그러면 안 되는 거 아닌가, 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반대하는 사람이 뼈속까지 남녀차별적인 생각이 박혀서 하고 있는 반대는 아닌 거라고. 생각합니다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Book] 어쩌다 한국인 - 대한민국 사춘기 심리학
허태균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튜브를 보다가 만나서 책을 찾아 읽었다. 듣는 것과 읽는 것은 무언가 달라서, 책을 읽을 때 더 많은 논리를 원하고 있었다.

코로나19로 세상이 뒤집어졌다. 선진국,이라는 나라들을 쫓던 대한민국이 더 이상 쫓을 길 없이 새로 길을 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미국이 과연 선진국인가, 미국인은 왜 그 많은 총기난사사건 와중에도 총기소유 금지를 하지 않는가, 같은 의문을 가지고 있다. 도대체 이해가 안 되네, 하는 서양의 이야기들 가운데, 서양의 학자들이 분석한 심리학이나 사회학이, 제시한 해결책이 내 자신의 성향에 들어맞지 않는다고 반발하는 와중에 만났다. 유튜브도 책도 재미있었다. 

책이 나온 시점 탓인지, 책은 결국 한국인이 이러한 태도가 앞으로 더 나아가지 못하게 하고 있다고, 개선할 점들이 있다고 말하지만, 나는 지금 읽어서 정말 그러한가 물러선다. 

높은 주체성, 때문에 준법정신이 약한 한국인. 

높은 가족확장성 때문에 사회를 가족처럼 인식하는 한국인, 

높은 관계주의 때문에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한국인, 

높은 심정중심주의 때문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고 노력하는 한국인, 

높은 복합유연성 때문에 불가능한 것을 원하는 하나를 선택하고도 다른 하나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한국인, 

높은 불확실성 회피 때문에 스펙에 집착하는 한국인, 에 대해 말한다. 

내가 유튜브에서 보고 재밌었던 건, 한 중 일 삼국을 비교해서 주체성과 집단의식을 보여주는 것, 미래를 보는 낙천성에 대한 거였는데, 책에는 그런 부분이 잘 안 보였다. 

준법정신, 이라는 게 필요하지만 과연 법이 전부인가? 법에는 취지가 있고, 취지가 지켜진다면, 세상의 변화를 법이 따라가지 못한다면, 그 법이 과연 지켜져야 하는가? 관계주의 때문에 다른 어떤 나라보다 도덕적으로 결벽적인데, 다른 나라의 방식대로 법제화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는가? 한국인은 개개인이 주체적으로 판단해서, 이유를 가지고 있는데, 그래서 그렇게 말을 안 듣는 건데, 그걸 법이나 시스템으로 강제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겠는가? 권력을 가졌다면 생각하지 않는 말 잘 듣는 국민을 아마도 원하겠지만, 권력이 없는 처지에 이런 개개인. 준법정신은 별로 없지만 세상 전체를 가족으로 생각해서, 타인의 아이도 자신의 아이처럼 보호하려 들고 때로는 잔소리하려 들고, 주변 사람들의 관계가 중요해서 평판이 어그러질 행동을 쉽게 하지 않는 사람들. 이런 사람과 사는 편이 훨씬 더 좋지 않은가. 주변 사람들이 뭐라던 상관없는 사람들보다, 자기 가족과 가족아닌 사람의 경계가 뚜렷한 사람보다, 법이라서 그저 지키는 사람들보다, 왜 그 법이 생겼는지 의문을 품고 반발하는 가운데, 세상이 달라지는 것은 아닌가 생각하는 거다. 

높은 복합유연성 때문에 아마도 세계 어디보다 좋은 의료보험이 있는 게 아닌가, 생각도 하고, 증거 없이 믿지 않으려는 마음은 아마도 정말 계급이 없는 사회이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하는 거다. 저자는 미국이나 영국이나 프랑스의 중산층, 정의와 한국의 중산층 정의가 다르다고 그런 물질적인 기준들만 가진 태도가 열등한 것처럼 묘사하지만, 지금의 나는 그게 차라리 낫지 않은가, 라고 생각한다.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 우월감을 입증하는 수단이 되는 나라라니, 문화적 소양이라는 것이 계급적 지표라니, 부끄러운 노릇이 아닌가,라고도 생각한다. 

한국인,이라서 다행인 날들이라 그런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조한 마음 대산세계문학총서 116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이유정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튜브 동영상을 본 적이 있다. 밤길을 걷다가 맞고 있는 여자를 발견한 남자는 때리던 남자를 말리고 여자를 구해준다. 훌륭하다. 그러나 다음 장면은 끔찍해진다. 여자는 이제 그 남자를 따라다닌다. 멀리서 지켜보고 악착같이 쫓는다. 이제 그 남자는 여자를 때린다. 그 남자는 다른 남자가 그 여자를 자신으로부터 구하는 순간 안도의 미소를 지으면서 영상은 마친다. 그 영상을 여기 걸고 싶었는데 찾지를 못했다. 그 영상을 보고 기분이 많이 나빴다. 이 영상의 의미는 무엇인가. 무슨 의미가 있고,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건가. 그 영상은 사회에 무슨 쓸모가 있고, 어떤 도움이 되는가. 재밌잖아. 심장이 쫄깃하고 무서웠잖아? 그러면 된 거 아닌가. 나도 그렇게 대답했던 적이 있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그 동영상 생각이 났다. 나는 이 책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생각한다. 연민에 대한 인용들은 나조차도 누군가에게 했을 법한 말들이고, 연민에 따르는 책임은 분명히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어떤 태도는 그 영상과 얼마나 다른지 모르겠다. 만약 작용한다면, 사람들을 고립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책 속에 여성들의 묘사가 싫었다. 이렇게 저 자세라니 참을 수가 없는 지경이다. 

화자인 남자의 변명으로 가득찬 서사가 싫었다. 

그러고도 내가 끝까지 나름 속도감 있게 읽을 수 있었다는 게 신기했다. 

이런 책을 쓰고, 이런 말을 하고 얻는 '지식인'이란 평판은 무엇인가 생각한다. 동양에서의 '지식인'과 서양에서의 '지식인'은 다른가. 아니면, 내가 팽배한 주체성,으로 쉬운 정치를 위해 '자신 없다면 아예 시작도 하지 마라'라는 말을 하는 그들 입장에서는 유의미한 말에 반발하는 것인가,도 생각하게 된다. 


신경이 더 많은 양의 모르핀을 찾게 되는 것처럼 감정은 더 많은 연민을 원하게 됩니다. 결국에는 옆에서 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을 원하게 되죠. 언젠가는 '안 돼'라고 말해야 하는 순간이 반드시 오게 마련입니다. 그 거절 때문에 환자가 처음부터 도와주지 않은 사람보다도 자신을 더 증오하게 될지라도 그렇게 말해야 하는 순간이 반드시 옵니다. 그래요. 소위님.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연민은 무관심보다도 더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옵니다. 우리 의사들은 그 사실을 잘 알고 있고, 판사나 법 집행관, 전당포 주인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두가 연민에 굴복한다면 세상은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 겁니다. 연민이라는 거, 아주 위험한 겁니다! 이번 경우에도 당신의 나약함 때문에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보십시오!"-p235


나는 이 세상에서 나쁜 일이 발생하는 까닭은 사악함이나 잔인함이 아닌 나약함 때문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이해하기 시작했다.-p246


나는 이와 같은 상상을 하면서 이상한 자기만족을 느꼈다는 것에 전혀 부끄러운 생각이 들지 않는다. 사람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가장 큰 추진력은 바로 허영심이다. 특히 나약한 사람일수록 겉으로 용기 있고 결단력 있어 보이는 행동을 취해보고 싶은 유혹을 느끼게 마련이다. 나는 처음으로 동료들에게 내가 자존감이 강한 놈임을 보여줄 기회를 가지게 된 것이다!-p3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