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인숙 선생님의 양성평등 이야기
권인숙 지음, 유지연 그림 / 청년사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올해 5학년이 되는 딸이 읽었으면 하고 샀다. 권인숙선생님이 자신의 딸에게 주는 여성학 입문서는 나에게는 익숙한 담론들이라 새롭지는 않았다. 아이가 어떻게 읽을지는 모르겠는데, 우선 읽기는 할런지 의문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있던 나의 상황 때문에, 아주 작은 묘사에 격하게 공감했다. 책에 딱 한 줄 일터에서 여성을 묘사하는 대목에서, '일방적이며 순종적 상하 관계로 훈련된 조직 문화에서는 여성이 상대적으로 더 어려움을 겪는 게 자연스럽지 않을까? 여성은 평등하고 정서적 관계에 더 익숙하니까 말이야'라는 설명을 읽었다. 이 대목은 어쩌면, 군대식의 조직문화를 가진 일터의 문제점을 묘사하기 위한 거였고, 여성의 '평등하고 정서적 관계'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없었다. 그런데, 나는 그 때, 여성들의 모임에서 혼자만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이 되어서는 누구도 설득하지 못한 지경이어서 왜 이렇게까지 서로 대화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나는 심지어 장,이었으니까, 적어도 장,에게는 좀 더 발언권이 있다고 생각하는 지경이었는데, 내가 들은 대답은 '장은, 대표이기 때문에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게 아니라, 여러 의견을 대리하기만 해야 한다'였다. 말을 하지도 못하게 하고, 내 말은 듣지도 않는 지경에 처해서 참담한 와중에 결국 그 말들은 남성인 다른 장,에게 가서 깨졌다.
책에서 그 대목을 만난 순간, 나는 아, 여성의 조직은, 평등하고 정서적 관계를 원하기 때문에, 다른 의견을 수용하지 못하는 구나,라고 수긍했다. 나는, 보통은 남자들 가운데 혼자 여자였던 경우가 많아서, 내 의견이 하나뿐인 걸 그 상태로도 이해하고 있었고, 그 하나 뿐인 의견을 말하는 게 꺼려졌던 적은 없었다. 그리고, 여성인 채로, 말단인 채로, 혹은 지금 고참직원인 채로, 차츰 발언권이 생기고 있다고도 느꼈다. 그런데, 여성의 조직에서, 내가 장이라고 해도-아, 손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장이기는 합니다만- 권위로 의견을 무시하지 않았던 나의 동료나 후배들이, 내 의견이 하나뿐이라고 무시하는 상황에 처해지니, 착잡했다. 언제나 말할 시간은 부족하고, 비어버린 소통 가운데 효율,만이 남아서, 평등하고 정서적 관계, 안에서도 나는 고립된다. 어쩔 수 없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7-01-24 07: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절한 예가 되겠지만 모르겠지만, 딸과 딸 친구들의 관계를 보면서 새삼스럽게 느끼고 있습니다.

별족 2017-01-24 09:11   좋아요 0 | URL
이러나 저러나, 균형잡기의 문제가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