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섬고개 친구들
김중미 지음 / 검둥소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6월달쯤 자정을 넘기며 늦게 온다는 남편을 기다리면서

김중미의 "꽃섬고개 친구들"을 다 읽었다. 

 

이 책의 주인공 선경이와 한길이를 통해  

우리 사회 곳곳에 숨어 있는 "폭력"을 잔잔하게 풀어 놓고 있었다.

종교와 관련된 "양심적 병역 거부"라는 말에 대한 나의 편견 때문인지

이 책을 사놓고 1년이 지나도록 읽지 않고 한쪽 구석에 오랫동안 꽂아 놓고만 있었다.

그런데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 클럽"을 다 읽고 우연히 책을 잡게 되었는데

오랜 시간 묵혀 놓은 것에 비해 글이 참 잘 읽혔다.

 

여러 가지 것들을 많이 느꼈지만

그 중에서도

학교안에서 일어나는 폭력에 대한 부분

한길이의 친구 태욱이가 수학교사에게 "인권 유린"(성폭력)을 당하는데도

어느 누구도 나서서 말리지도 않으며

수치스러움을 당하는 태욱이 조차 '어차피 나서봤자 우리만 손해이니 조용히 살자.'고 하는 그 모습

마치 내 모습을 보는 양, 안타깝고 속상하고 창피하고 그랬다.

 

그러면서 나도 점점 아이들에게 아무렇지 않게 폭력을 가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꼭 때려야만 말을 듣는다고 생각하는 나의 모습.

윗 사람들에게는 작은 불만도 말하지 못한채 참고 살면서

가르치는 아이들에게는 작은 잘못도 못 넘어가는 이중적인 모습.

요즘 지각 몇 번 했다고 습관적으로 때리곤 했는데

이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때리지 않는 연습을 하도록 해야겠다.

같은 길을 걷고 있는  

내 친구가 절대로 아이들을 때리지도 벌을 주지도 않는다고 했는데

새삼 존경스럽다.

옳다고 믿는 일을 그대로 실천하는 친구.

 

나는 겉으로는 고고한 척, 깨끗한 척 했지만

실상은 너무나 이중적으로 살아온 듯한 느낌이 든다.

 

 

열심히 책을 읽으며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누구한테 손내밀어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월의바람 2009-09-13 0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꽃으로도 때리지 마라'라는 구절이 생각나네요. 하지만 그 많은 학생들은 어떻게 다 사랑으로 할까요? 시간은 없고 열정도 점점 사그러지는데... 언제나 고민하는 선생님의 모습이 보입니다.저도 체벌에 대해 회의적이지만 소극적으로 수용합니다.떄리는 것은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일이라는 것도 알고 있죠. 하지만 효과는 가장 빠르고 가장 눈에 보이니 늘 3번 정도 생각하고 체벌을 한 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