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동안 먼지만 쌓여있던 오래된 책

"책만 보는 바보" (이덕무와 그의 벗들 이야기)를 읽는다.

이제 환경미화도 끝이 나고, 교실에 고요가 찾아드는 아침 시간

창밖에서 새가 지저귀는 소리도 들리고

밖에서 불어는 봄바람이 싱그럽기만 하다. ^^

이런 아침에 이 책이 딱이라는 생각이 든다.

 

국사시간에 조선후기 실학자 중에 한 명일 뿐이던 박제가의 삶이 내 가슴 속까지 촉촉히 젖어든다.

이 사람도 이렇게 답답해했구나. 세상을 향해서 그리도 손을 뻗고 싶었는데, 서자라는 이유 때문에 그 손이 닿을 곳이 없었다니... 서늘한 바람같은 사람이었구나. 안타까웠다. 그리고 왠지 자꾸 애정이 갔다.

 

 

  <오늘 마음에 남는 부분>

 

  얼버무려 말하지 않는다는 것, 그것은 세심하게 바라보고 관찰하여 구체적으로 말한다는 것이다. 무엇 하나라도 눈길을 끄는 것이 있으면 오래도록 관찰하고 연구하였기에 박제가는 결코 얼버무리는 법이 없었다. 그의 말은 단호하고 언제나 확신에 차 있었다.

  젊었을 때 박제가는 수레에 관심이 많았다. 조선에서도 널리 수레를 이용하여 백성들의 생활이 편리해져야 한다는 글을 쓴 적이 있다. 그런데 그 내용을 보면 어떻게 그리 꼼꼼하고 세심할 수 있는지 놀라웠다. 조선에 맞는 수레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수레가 다닐 길을 어떻게 닦을 것인가, 수레바퀴의 모양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이고도 세세한 사항들이 모두 담겨 있었다. 마음을 기울여 백성들의 생활을 들여다보았기에 그 불편함이 몹시 안타까웠을 것이고, 백성들의 생활이 더욱 나아져야 한다는 마음이 절실했기에 수레 하나도 그처럼 세세하고 알기 쉽게 구체적으로 기록해 놓은 것이리라.

  그러나 그의 글을 읽으면 어쩐지 마음이 아파 왔다. 그가 나라와 백성의 살림살이를 걱정하여 쓴 글의 내용이 세밀하면, 세밀할수록, 구체적이면 구체적일수록 나는 더욱 마음이 아팠다. 자신의 생각을 좀 더 쉽고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얼버무리지 않고 자신 있게 이야기하기 위하여, 그는 얼마나 많은 밤을 책 더미 속에서 안타까워하며 괴로워했을까. 또 얼마나 많은 날들을 거리로 나아가 사람들의 생활을 들여다보았을까. 그러나 세상은 그의 세밀함을 좀처럼 알아 주지 않았다. 그의 간절한 마음을 알아주지 않았다. 그 점이 나는 오래도록 안타깝기만 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찬샘 2010-05-26 2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을 그저 바라보고만 있습니다. 읽어야지~ 하면서 말이지요. 1학기 중에 꼭 읽어야겠어요.

수진샘 2010-06-20 1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행복한 아침독서"로부터 학급문고로 받아 놓은지 3~4년이 지나서야 다 읽었어요. 이 책을 읽으며 따뜻한 봄을 느끼고 아침 독서의 즐거움을 새록 새록 누렸어요. 꼭 읽어보세요. 늦게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