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책 읽는 시간 - 무엇으로도 위로받지 못할 때
니나 상코비치 지음, 김병화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친구에게 책을 선물받았다. 친구는 그 책을 어떤 의도로 선택하였을까? 왜! 이 책이었을까? 새로운 상념을 갖게 된다. 뜻밖의 그 책을 무심코 읽어 내려간다. 우정의 규칙은 그가 준 책을 읽는 것이다. 읽은 책에 대한 서평을 쓰면 좋다. 친구는 그렇게까지 바라지 않는다. 친구는 나에게 책을 주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그의 우정이 돈돈해졌다는 생각한다. 다음에 만났을 때는 그 책에 대해서도 얘기 할 수도 있다. "제목이 좋아서 선물했어, 내용이 어때?".


 "하지만 그것이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책이라고 말하면서 책을 건네줄 때, 그런 행동은 그들 영혼의 적나라한 모습을 드러내는 것과 매우 비슷하다. 우리가 좋아하여 읽는 것이 바로 우리 자신이다. 어떤 책을 좋아한다는 것을 인정하다면 그 책이 우리 자신이 어떤 면모를 진정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된다."


 "친구가 책을 권할 때는 휠씬 더 많은 것이 걸려 있다. 책을 권하는 것은 손을 내미는 것이다. 저편이 손을 잡아주지 않아 거절당한 위험을 무릅쓰는 것이다. 어떤 책을 권했는데 거절당한다. 그게 우정을 망가뜨릴 수 있는가? 


  이 책의 저자 "니나 상코비"는 미국의 변호사다. 그 홈피에 들어가면 알 수 있다. 책읽기는 그의 또 다른 세계이다.  2311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 고흐가 그린 사람들 - 빈센트의 영혼의 초상화
랄프 스키 지음, 이예원 옮김 / EJONG(이종문화사) / 2019년 2월
평점 :
품절


 "빈 센트 반 고흐(1853-1890)는 살아있는 동안에는 초상화가 본인의 가장 중요한 작품분야를 구성했다. 스스로를 동시대의 다른 화가들과 다르다고 여겼다. '현대적 초상화'로 기존 회화 기법의 특징 없는, 사실적 모사에서 벗어나 순색과 풍부한 표현력이 넘치는 붓 질로 모델의 본질적 특징을 전달하려 했다


  "빈센트는 화가로서 활동한 총 10년의 기간 중 5년의 기간 동안만 39점의 자화상을 그렸는데 그 수와 높은 완성도로 서양미술에서 가장 위대한 자화상 화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빈센트의 자화상은 그 강렬함에서 주목할 만한데, 타인의 초상황에서 추구하고자 했던 감정의 깊이와 심리적 통찰을 압축해 보여준다. 표정이 살아 있는 사람의 얼굴만한 위협이나 감성은 없다. 사실을 넘어서 표정의 원인까지 보여주고 있다. 


 네델란드 준데르트에서 태어나 자라면서 농촌 빈곤층의 어려운 삶을 지켜보며 인간적인 동정심을 느껴왔는데, 농부들을 그린 그림에서나, 도시에서도 하인, 노동자, 바텐더, 댄서, 가게 주인 등 거리와 술집, 카페에서 만날 수 있는 노동계급의 모델들을 선호했다. 그는 화가로서 자신의 중요한 목표가 평범한노동자의 초상화를 통찰력 있게 그리는 것이라 믿었다. 


 빈세트는 파리에 머물면서는 점묘주의 이론에 매료되었다. 그의  39점의 자화상 중 파리에서 26점을 그렸다. 이는 모델을 찾기 어려다는 것과 외부의 방해받지 않고 자신의 특징들에 대해 집중해 실험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이유도 있었다. 또한 굉장한 다독가인 빈센트는 종종 동시대의 소설을 초상화의 중요한 구성요소에 포함하기도 했다.  2311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읽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 A Year of Quotes 시리즈 1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로라 대소 월스 엮음, 부희령 옮김 / 니케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로는 반복되는 계절의 순환을 익숙하게 여기며 자랐다. 자연에 대한 진부한 글쓰기 였지만 그는 더 많은 것들을 찾아냈다. 날마다 물리적 세계를 기록하고, 반복되는 평범한 일상의 주기 속에서하루라는 선물을 열어 그치지 않는 놀라움을 찾고자 했다. 진심을 기울여 관찰한 한순간을 빠르게 흘러가는 우주를 포착하는 순간이었다. 


 일생을 물욕과 상업주의, 국가에 의한 불의를 비판햇으며 정의와 인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소로는 평생을 독신으로 살다가 대학 시절부터 그를 괴롭혀온 폐결핵으로 1862년의 45살에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정치는 모래와 자갈이 잔뜩 들어 있는 사회의 모래주머니다. 대립하는 두 정달이 각각 절반을 차지하고 서로 부딪히며 삐걱거린다. 개인 뿐만 아니라 국가도 소화 불량에 걸린다. 그런 증상을 어떤 변설로 드러내는지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1851년11월10일의 일기)" 


 "전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얻는 얄팍하고 산만한 사랑이나 지식에 비하면 어떤 의미를 갖는 걸까? 여행자는 열매 맺기 힘들며, 편안하지 않는 상태이다. 자연의 품에서 사는 삶은 재물로 살 수 없다(1853년11월12일의 일기)"    231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정주 평전
김학동 지음 / 새문사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을비가 내리고 있다. 낙엽은 젖어 블럭에 붙었다. 아침 겸 점심으로 돼고기 김치찌기를 먹었다. 배부른 짐승이되어 20년 전에 읽었던 미당의 시를 찬찬히 읽어본다. 한편으론 시가 뭐겠는가 싶었다. 건강을 잃어버린다면 다 허망한 잡념이 아니겠는가 싶었다. 


   평화시대의 시어들은 개인의 추억이나 세상의 정세를 은유하는 정도지만 동족간의 전장에서 그 참상을 보았던 청마 유치환의 시는 인간의 한 없는 가엾음과 자괴감과 가슴 아픔으로 목놓아 울었으리라. 1915년 전북 고창에서 태어난 미당 역시 우리의 근•현대사의 치욕과 혁명과 정변 그리고 동난을 격었던 인물이다. 전후 세대인 나에게 전쟁의 혼란기를 전달한 한편의 시는 통계적 역사 사실보다 다가온다.


  미당의 첫시집은 '화사집'(1941년)으로 일제 강점기에 출판되었다. 이 책은 제14집(1993년)으로 1988년부터 1993년까지에 쓴 72편의 신작시들이다. 내 어렸을 적의 시간들 10편, 구만주제국 시 5편, 에짚트의 시 5편, 노처의 병상 옆에서 3편, 1990년의 구공산권 기행시 9편, 해방된 러시아에서의 시 8편, 기타 시들 27편이다. 미당은 고백한다. 


  그의 습작기의 문학소청년 시절이나 다름없는 표현상의 불만과 게으름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한다. 미당이 1940년 9월에서부터 1941년 2월까지 남만주 간도성의 양곡주식회사의 한 사원이 되어 밥벌이를 회고하며 썼던 5편의 시는 인상적이다. 시인에게 가을비는 어떠했을까 !


  - '가을비 소리 -


 단풍에 가을비 내리는 소리

 늙고 병든 가슴에 울리는구나.

 뼉나귀 속까지 울리는구나.

 저승에 계신 아버지 생각하며

 내가 듣고 있는 가을비 소리.

 손톱이 나와 비슷하게 생겼던

 아버지 귀신과 돌이서 듣는

 단풍에 가을비 가을비 소리 !     1311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무현 평전 - 지울 수 없는 얼굴, 꿈을 남기고 간 대통령
김삼웅 지음 / 책으로보는세상(책보세)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유서를 쓰던 새벽은 고요했다. 아무도 모른 그의 심중은 결연 했으리라, 이중섭 은박지 크기의 메모지는 잘 씌여지 보고서와 달랐다. 모든 것을 운명임을 자임했다. 자신의 죽음을 확인한 지인들에게 최소의 당부였다.


 '너무 슬퍼하지 마라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의 한 조각 아니겠는가?
 미안해하지 마라
 누구도 원망하지 마라
 운명이다'


  이 글이 많은 위안을 준다. 어스무레한 초저녁 길을 걸으면서 미식미식 떠오르는 혈육에 대한 그리움을 눌러준다.


  노무현의 종증조부 노응규(1861~1907)은 구한말 의병장이었다. 한성 진공을 꾀하던 중에 밀정의 밀고로 체포되어 일제가 주는 밥은 먹을 수 없다며 단식하다가 옥중에서 굶어 죽었다.


  노무현과 박정희는 늦둥이었다. 노무현과 박정희의 모친 또한 근대시대의 가난한 촌부였다. 그의 모친은 막내를 애처럽게 생각했다. '돌콩'은 노무현의 어린 시절 별명으로 '노 천재'였다. 당차기가 하늘을 찔렀던 동학혁명의 지도자 전봉준같았다.


 
노무현은 목포상고 출신인 직전 대통령 김대중에 이어 상고 출신 대통령이 것이다. 이것도 '운명'이라면 운명일까! 노무현이 김구나 링컨을 각별히 좋아하고 존경한 이유 중에는 변변치 못한 학벌에도 불구하고 뜻이 크고 사상이 올발라 위대한 일을 해냈기 때문이었다. 그는 우리 사회의 비주류였다. 1209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