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정주 평전
김학동 지음 / 새문사 / 2011년 12월
평점 :
가을비가 내리고 있다. 낙엽은 젖어 블럭에 붙었다. 아침 겸 점심으로 돼고기 김치찌기를 먹었다. 배부른 짐승이되어 20년 전에 읽었던 미당의 시를 찬찬히 읽어본다. 한편으론 시가 뭐겠는가 싶었다. 건강을 잃어버린다면 다 허망한 잡념이 아니겠는가 싶었다.
평화시대의 시어들은 개인의 추억이나 세상의 정세를 은유하는 정도지만 동족간의 전장에서 그 참상을 보았던 청마 유치환의 시는 인간의 한 없는 가엾음과 자괴감과 가슴 아픔으로 목놓아 울었으리라. 1915년 전북 고창에서 태어난 미당 역시 우리의 근•현대사의 치욕과 혁명과 정변 그리고 동난을 격었던 인물이다. 전후 세대인 나에게 전쟁의 혼란기를 전달한 한편의 시는 통계적 역사 사실보다 다가온다.
미당의 첫시집은 '화사집'(1941년)으로 일제 강점기에 출판되었다. 이 책은 제14집(1993년)으로 1988년부터 1993년까지에 쓴 72편의 신작시들이다. 내 어렸을 적의 시간들 10편, 구만주제국 시 5편, 에짚트의 시 5편, 노처의 병상 옆에서 3편, 1990년의 구공산권 기행시 9편, 해방된 러시아에서의 시 8편, 기타 시들 27편이다. 미당은 고백한다.
그의 습작기의 문학소청년 시절이나 다름없는 표현상의 불만과 게으름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한다. 미당이 1940년 9월에서부터 1941년 2월까지 남만주 간도성의 양곡주식회사의 한 사원이 되어 밥벌이를 회고하며 썼던 5편의 시는 인상적이다. 시인에게 가을비는 어떠했을까 !
- '가을비 소리 -
단풍에 가을비 내리는 소리
늙고 병든 가슴에 울리는구나.
뼉나귀 속까지 울리는구나.
저승에 계신 아버지 생각하며
내가 듣고 있는 가을비 소리.
손톱이 나와 비슷하게 생겼던
아버지 귀신과 돌이서 듣는
단풍에 가을비 가을비 소리 ! 13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