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에 1호는 태어나서 처음으로 큰 수술을 하고 한동안 참 힘들었다, 모두가.

 

물론 1호가 제일 고생했고 많이 성장했다고 쓰고 싶지만, 짜증과 예민함이 더 늘었다고나 할까?

 

고통을 통해 성숙에 이르기에 충분하지 않은 고통이라고나 할까. (뭔소리, 아무말대잔치임)

 

돌이켜보면 그건 날것의 아픔이지 존재를 변화시킬 만한 그런 고통은 아니었다.

 

다큐에 나오는 백혈병, 소아암에 걸린 아이들이 엄마가 힘들어할까봐 고통을 참아내는 안쓰러운 그런 모습은 1호에게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난 안도했는지도 모른다. 숨죽여 울거나 비명도 못지를 정도는 아니라서.

 

1호는 왜 하필 자기가 그런 병에 걸려 이런 개고생(1호의 표현임)을 해야 하는지 하느님을 원망하고 엄마에게 짜증을 쏟아냈다. 나는 주변의 더 힘든 환자들과 불치병에 걸린 사례를 들어 위로했으나 1호 귀에는 들리지 않았다. 날것의 아픔에 집중하며 비명을 질러댔다. 딱히 해줄 것도 없어 그저 시간이 가기만 기다렸다.

 

병명을 들으면 모두가 피식 하고 말겠지만, 정말이지 길고 힘들었던 겨울이었다.

 

징징댈 여유도 없었던 날들이 지나고 나니 찡찡하고 싶다.

 

고생했어, 그래도 훌륭했어, 라고 2, 3, 4월의 나에게 다독다독.

 

그 사이 <울지마, 지로>는 참으로 위안이 되었던 성장소설이었고 간만에 리뷰도 남기고 싶은 책이었는데 그냥 못쓰고 넘어갔다. 하도 뭔가를 쓰지 않다보니 쓰는 문장 문장마다 다 마음에 걸려 지워버렸다.

 

<군함도>를 춥고 힘든 시절에 아주 힘겹게 힘겹게 읽어나갔다.

 

나에겐 이상한 가학성이 있나보다. 힘든 시절에 위안이 되는 말랑한 책을 읽기보다는 뭔가 홀로코스트나 생존기 이런 묵직한 책을 보려는 괴벽이 있다.

 

일제강점기 치하의 민초들의 삶은 너무나 처참하여 읽어나가다 보면 속이 울렁거렸다.

 

아마 나처럼 대다수가 <무한도전>을 통해서 하시마 섬을 접하지 않았을까?

 

하시마 섬의 극한의 학대에 대한 묘사는 너무나 생생했다. 조정래 소설을 읽을 때 힘겨웠던 그런 감정이 다시 밀려왔다.

 

<군함도>가 개봉해도 보러 가기는 힘들 것 같다.

 

 

 

 

 

 

 

 

 

 

 

 

 

 

<축복>은 담담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사내와 가족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나는 관에 들어가는 꿈을 꾸고 새벽에 일어나 한참 동안 앉아 있었다. 언제나 이번 생이 끝이면 좋겠다고 말하고 다니지만 그 새벽에 정말로 무서웠다.

 

대드는 죽음을 맞기 전 주변을 잘 정리하는데 나는 주방이고 서재고 옷장이고 엉망이어서 그것도 맘에 걸려 새벽에 버릴 책이랑 옷을 한참 정리하며 아이들이 일어나기를 기다렸다.

 

파괴왕으로 유명한 주호민.

청와대에 가서 대통령을 보내버리더니 최근에 마리텔에 출연하여 프로를 없애버렸다.

 

<셋이서 쑥>은 육아만화인데 설마 가정이 파괴되는 일은 없겠지.

 

초보 아빠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해내고 부인의 욕구와 감정에 집중하려는 노력이 보여서 가정 파괴는 걱정되지 않는다.

 

<셋이서 쑥>을 5월에 친정에 방문했다가 근처 만화박물관에서 보았다. 정말 집 근처로 옮겨오고 싶은 도서관이었다.

 

그 다음 날인 어린이날에 대학 때 친구와 친한 후배랑 셋이서 부암동 일대를 걸었다. 윤동주 시인의 언덕, 이팝나무가 가득했던 청운 공원, 해질녘 풍경들, 밀크티빙수와 숙주를 곁들인 치킨.

 

세 달 동안 할말을 다섯 시간 동안 다 쏟아부은 듯하다.

 

내가 어떤 얘길 해도 까르르 숨 넘어가게 웃어주는 친구들.

 

2년째 이 친구들과 5월 초에 만나고 있다. 초중고대 성당까지 같이 다닌 후배가 학부모 모임에 갔다가 나랑 같은 과를 나온 대학 동기를 알게 되어 누구 언니 아느냐 묻다보니 만나게 되었다. 대학 때는 오로지 동아리방에만 살아 과 동기가 거의 없었는데 나를 기억하는 친구가 있다니.

 

작년에는 그 친구가 너무나 귀한 딸이 커서 나처럼 되면 좋겠다고 얘기해주어서 고마웠다.

요 몇년 집에만 있어서 가뜩이나 희미한 자아가 소멸 직전이었는데

김연아도 아니고 김00이같이 커주면 고맙지, 라니.

 

00아

분명히 00이는 지금처럼 멋지고 예쁘게 잘 자랄거야.

 

 

 최근에 들인 땡땡.

 

애들은 다 읽고 나는 겨우 1권 봤다.

 

1호랑 2호는 땡땡, 아독선장, 뒤퐁 상황극에 빠져 있다.

 

왜 싸우는지 알려면 다 읽어야 하는데

 

하루하루 처리할 일이 꽤 된다.

 

뭔가가 고장나거나 뭔가가 다 떨어지고 갑자기 누가 오기도 한다.

 

다 핑계고 요새 뉴스 보느라 할일을 다 못하고 넘어가는 날이 많다.

 

어제도 518 기념식 보고 또 보고

 

좀 부지런 떨었더라면 가보았을 수도 있었는데

 

그냥 나중에 조용할 때 가보고 싶다.

 

올초에 사둔 <소년이 온다>도 아직 다 못 읽었으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