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잠이 드는 게 어쩐지 아까워서 이런저런 채널을 돌리다가 우연히 연예인이 일반인 가정에 방문해 함께 밥을 먹는다는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다.

 

'장충동'

 

어릴 때 서울에서 남산은 자주 갔지만 장충동은 기억에 없다. 밝은 빛이 없는 엄마 이야기 속에서 그래도 좋은 기억으로 가끔 등장하는 동네.

 

엄마 아빠의 연애 시절의 기억이 담긴 공간이라고 한다. 좋은 기억으로 대화를 시작하다가 결국은 그래서 뭐 아무것도 없지, 이런 패턴으로 진행되는 대화에 질릴 대로 질려서 과거 회상은 가급적 하지 않는 편이다.

 

어제는 나가는 학교 공개수업을 나름대로 무사히 마치고

엄마에게 안부를 물었다.

 

최근 일주일간의 근황만.

 

별다를 것 없는 일상이라 하시니 감사할 뿐이다.

 

*

<내 이름은 루시 바턴>을 천천히 읽었다.

읽다가 흐름을 놓쳐 다시 읽기를 여러 차례.

어쩐지 그 장면이 그 장면 같기도 한 회상들.

 

시가로부터 출신이랄 것도 없는 출신의 아이라는 평을 받는 루시 바턴은 이제는 작가로 성장해 자신만의 삶을 꾸려가고 있다. 그래도 아플 때는 원 가정이 생각나기도 할 것이다. 가벼운 병으로 병원에 입원했을 때 엄마와 대화를 나누기를 원한다. 하지만 예전 이야기라는 것들은 거의 전에 알던 사람들이나 함께한 아주 오래전의 시공간에 대한 단편들일 뿐이다. 대화는 자주 어긋난다. '나' (루시 바턴)는 엄마가 나의 삶에 대해 물어봐주기를 바라지만 엄마에게는 그럴 여력이 없다.

 


사람은 지치게 마련이라는 것을. 마음, 영혼, 혹은 몸이 아닌 뭔가에 우리가 어떤 다른 이름을 붙이건 그것은 지치게 마련이다. 100쪽

우리가 다른 사람 혹은 다른 집단보다 스스로를 더 우월하게 느끼기 위해 어떤 방법을 찾아내는지가 내게는 흥미롭다. 그런 일은 어디에서나, 언제나 일어난다. 그것을 뭐라고 부르건, 나는 그것이, 내리누를 다른 누군가를 찾아야하는 이런 필요성이 우리 인간을 구성하는 가장 저속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111쪽

다른 사람을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 그것이 어떤 것인지 우리는 절대로 알지 못하며, 앞으로도 절대 알 수 없을 것임을. 138쪽

"자기가 하게 되는 이야기는 오직 하나일 거예요.""하나의 이야기를 여러 방식으로 쓰게 될 거예요. 이야기는 걱정할 게 없어요. 그건 오로지 하나니까요." 169쪽


작가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생의 부침을 담담하게 전하고 있다. 다들 이런저런 일을 겪고 그래도 살아남았다. 엄마나 이모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것 같다. 어느 집 아이가 어느 학교에 가서 무슨 일을 하다가 그만 결혼을 했는데 이렇게 안 되었더라, 혹은 이렇게 잘 되었다더라 하는 이야기들.

 

 

일어난 사건은 명확하지만, 여러 입을 거치며 조금씩 변주된다. 자신이 현재 처한 처지에 맞게 그 상황이 변주되는 것을 듣는 것이 흥미롭다.

 

 

<한 여자>도 아껴가며 잘 읽었다.

 

 앞으로는 그녀의 목소리를 듣지 못할 것이다. 여자가 된 지금의 나와 아이였던 과거의 나를 이어 줬던 것은 바로 어머니, 그녀의 말, 그녀의 손, 그녀의 몸짓, 그녀만의 웃는 방식, 걷는 방식이다. 나는 내가 태어난 세계와의 마지막 연결 고리를 잃어버렸다.  110쪽

 

나에게도 언젠가는 이런 날이 올 것이라고 생각하면 조금은 두렵다. 엄마를 생각해서 그런 게 아니라 나를 생각해서 두려운 거라 생각하면 더 서글프다.

 

 

 

 

 

 

 

 

 

 

 

 

 

 

 

 

 

 

 

 

 

 

 

분위기 전환차 읽은 <망원동 브라더스>

 

중반까지 읽다가 포기할까 했는데 다 읽고 나니

딱 이 시기에 읽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 지쳐서 역시 대책없는 해피엔딩이 필요해.

 

뭔가 <아는 형님>같은 왁자한 분위기에 젖어 피식하다가

아, 만약에 이들이 현실 남자친구나 남편이라면

여초 사이트에 살아야 하나요, 말아야 하나요

사연을 올릴 만한 일들이 가득이네그려.

 

 

 

소문으로 익히 듣다가 이제야 읽는 <당신의 노후>

할일이 많고 기분이 엄청 가라앉은 일요일 새벽에 다 읽었다.

 

바로 앞 핀시리즈 <목양면 방화 사건 전말기>와 구성이 겹치는듯 아닌듯.

 

요즘의 노인 혐오 분위기(틀딱, 할줌마 등)를 보아하니 이미 소설 속 일들이 진행되고 있는 건 아닌지.

 

국민연금을 현재는 납입하고 있지 않아 다행인 건가, 불행인 건가.

 

'노후'라는 괴물에 잠식당하지 않으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하지만

때로는 과도한 불안에 사로잡힐 때가 종종 있다.

 

그럴 때면 일종의 이이제이.

불안을 또 다른 불안으로 몰아낸다.

 

아아아

 

내가 아주 먼(?) 내 '노후'를 벌써부터 걱정할 때가 아니지.

애들도 아직 더 키워야 하고 양가 어머님도 그래도 가끔은 뵈어야 하고. 

 

이런 식으로 겨우 마음을 가라앉혔다. 후훗.

 

아무튼 <파과>를 읽었을 때와 같은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주변에서 마주치는 연장자분들을 더 이해하고.....그럴 수 있을까, 과연.

노화에 대한 대국민 계몽의식이라도 벌여야 하는 건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든다.

 

죽은 노인은 착한 노인이다. 자살한 노인은 우리 사회의 동지다. 76쪽

 

제 풀에 격해진 젋은이가 가슴까지 들썩이며 말했다.

" 왜 안 죽어? 응? 늙었는데 왜 안 죽어! 그렇게 오래 살면 거북이지 그게 사람이야? 요즘 툭하면 100살이야. 늙으면 죽는 게 당연한데 대체 왜들 안 죽는 거야!......." 126쪽

 

*

 

아니, 아니지

실은 내가 급속도로 노화를 겪고 있는듯해 요 며칠 심난했다.

 

독서모임 분들과 내가 아는 카페를 찾아가야 할 일이 있었다.

 

원래 가던 길이 아닌 다른 골목으로 접어들다보니 도무지 알 수가 없고

갑자기 앱을 켜려다 버벅거려서 아무데나 들어가고야 말았다.

 

불운하게도 그곳은 청년들 인스타에 핫한 곳이었고

음료도 원하던 맛이 아니라 일행에게 너무 미안했다.

 

본가 근처 식당에서 약속을 잡을 때

엄마가 집이 아닌 다른 데서 그곳을 찾아오실 때 못 찾고 헤매시면 답답해했는데

이제 내가 그러고 있다.

 

 

 

 

 

 

 

 

 

 

 

 

 

 

 

 

여러 가지 상념에 빠져들기보다는 당면한 문제 해결이 필요하겠지.

 

초반을 읽고 있는데 실제 나의 양육과 수업에 적용시킬 일이 늘 고민이다.

일단은 친해져야 함께 뭔가 쓰고싶어지는 것은 맞다.

 

우리 아이들은 읽는 건 그래도 또래보다 꾸준하지만

별로 쓰고 싶어하지 않는다.

 

딸아이는 전에는 학교 신문에 글도 실린 적이 있고 일기도 공들여 쓰는 편이었는데

4학년에 되어 여자애들 카톡에 빠져들면서 조금 주춤하다.

 

아들은 늘 그렇듯이  할말도 없는데 쓸건 더 없다고 ㅎ

 

주로 먹는것과 예능, 영화, 가끔 역사 이야기 정도 나눈다. 어제인가는 꽤나 심각한 주제로 이야기를 나눌 뻔하다가 운동 가야 할 시간이 되어 집을 나섰다.

 

*

 

 

지쳤을 때는 어떻게 다시 힘을 내어야 하는 건지

여전히 알 수가 없어서

늘 하던 대로 활자의 숲으로, 숲으로만

다니고 있다.

 

 

*

진짜 숲길을 걷고 싶다.

 

5월의 담양 같은 그 길들.

 

혹은 화순의 옛길들.

 

아쉬운 대로 오늘은

산수동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