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싸가지 없는 진보 - 진보의 최후 집권 전략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4년 8월
평점 :
이 책이었던가. 최근의 강준만을 읽은 친구가 '그는 나이들면서 약해졌다, 보수적으로 변해가는 것 같다'는 말을 했었는데, 만약 그렇다면 나는 이미 보수쪽인 건가. 강준만의 이 책에 많은 부분 동의했다.
내 주변의 여자지인이 대학시절 학과 공부가 무척 재미있어 좋았는데 친하게 지내던 남자선배가 운동권으로 들어오라고 권유했었단다. 지인은 싫다고 답했고, 너가 운동권하면 잘 하겠는데 왜 안들오냐는 거냐며 손바닥으로 뒤통수를 때렸던 적이 있다고 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자꾸 이 대화가 생각났다.
13페이지의 강준만의 말대로라면, 나는 변종 중에서도 변종 한국인인걸까.
나도 맹목적 빠 싫어...
내가 공개적인 지지 후에도 그 40퍼센트나 30퍼센트로 인한 문제가 드러날 경우 비판을 하는 건 내겐 아주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빠`들은 그걸 변절이나 배신으로 보는 (내가 보기에) 이상한 두뇌를 갖고 있다. 한 번 사랑했으면 끝까지 무조건 사랑해야 한다니, 정치적 지지가 무슨 연애질인가? 아니 연애도 그렇게 하진 않는다. 어떤 사람들은 그렇게 하는 사람이 의리도 있고 일관성도 있다고 극찬하고 추종까지 해대니, 나로선 그게 뭐하는 짓인가 싶다. 그렇지만 나는 그건 비판이나 논쟁으로 넘어설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걸, 또 나 같은 사람이 오히려 소수에 속하는 `변종 한국인` 이라는 걸 오래전에 깨달았다. 나는 다양성 존중과 평화공존 차원에서 그런 사람들도 있으며 그들 역시 내가 손을 잡아야 할 동지들이라는 쪽으로 생각을 정리했다. 그들이 손잡기를 거부한다 해도 계속 손을 내밀며 애써보련다. (p.13)
2000년 민주노동당 창당 때 입당한 열성당원이기도 했던 영화감독 박찬욱은 2003년 『월간 말』인터뷰에서 진보 진영에 대한 쓴소리를 주문하는 기자에게 긴 시간 침묵을 지키더니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조심스럽게 꺼낸 적이 있다. "가치관이나 세계관이 혼란스럽기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그 혼란이 점점 더한 건 과거 사악한 집단으로 여겼던 자본가나 기득권층이 직접 만나보면 상당히 젠틀하고 착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느낄 때다. 화가 나서 미치겠다. 문제는 지금 그들이 창업자나 자수성가한 사람들이 아니라 2세들이라는 점이다. 그들은 꼬인게 없는 자들이다. 그래서 착하다. 그러니까 더 화가 나는 거다. 예전엔 못 가지고 무식한 사람들이 착하다고 생각했는데 이젠 그렇지도 않다는 것, 빈부의 격차가 인격이나 인성마저도 그렇게 비틀고 있다. 어떻게 게 이 세상을 바라봐야 할 지 참 답답하다. (p.46)
많은 경우 일부 운동권의 `꼬임`은 도덕적 우월감과 독선에서 비롯된다. 그런 기질은 발생론적으로 타당한데, 현시은 늘 발생론적 기원을 배반한다. 이타적인 정의감 하나로 운동에 뛰어든 것은 숭고하지만, 오랜 세월 고난과 시련을 겪다보면 이타적인 정의감을 압도하는 다른 부정적 행태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는 아무리 감안된다 해도 제값을 다 못 받는 법이다. 숭고한 동기로 시작한 일이라도 사람들은 그런 과거보다는 현재 보이는 부정적 행태에 주목한다는 것이다. `현재`의 압도적 우위 앞에서 과거에 대해 `쿨`해질 필요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렇지만 그게 영 뜻대로 안 되는걸 어이하랴. 안타깝고도 가슴 아픈 일이다. (p.47)
"인간의 지성은 일단 어떤 의견을 채택한 뒤에는‥‥‥모든 얘기를 끌어들여 그 견해를 뒷받침하거나 동의해버린다. 설사 정반대를 가리키는 중요한 증거가 훨씬 더 많다고 해도 이를 무시하거나 간과해버리며‥‥‥미리 결정한 내용에 죽어라고 매달려 이미 내린 결론의 정당성을 지키려 한다." (p.92 드루 웨스턴, 감성의 정치학:마음을 읽으면 정치가 보인다 발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