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부장제‘ patriarchy는문자로는 아버지의 지배를 의미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아버지의 지배‘를 넘어, 남편, 남자 상사, 대다수 사회 기구와 정치경제 영역에서 군림하는 남성의 지배를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이른바 ‘남성의 리그‘ 혹은 ‘남자의 집‘이라는 말이다. - P109
페미니스트 집단 내의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열관계에 대해서는 모두 대항하고 나선다는 점에서 페미니스트들은 하나이다. 이들은 서열관계를 더 이상 생물학적 운명으로 받아들이디 않으며, 종식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 P119
역사 과정에서, 남성이 외부 자연 세계와 맺는 대상-관계에 대해갖는 생각은 자신의 신체기관들을 그리는 상징들 속에 표현되어 있다. 남성 생산성의 상징으로 부각되는 첫 번째 신체기관이 도구를 제작하는 주된 수단인 손이 아니라 남근이라는 점은 흥미롭다. 이는 초기 여성 경작자들이 사용했던 땅 파는 막대기와 호미를 쟁기가 대체하는 단계에서 일어난 일일 것이다. 일부 인디언 언어에는 쟁기와 남근이 유사하다. 벵골 속어에서 남근은 ‘도구‘ yantra라고 불린다. 물론 이런 상징주의는 외부 자연에 대한 도구적 관계만이 아니라, 여성과의관계도 표현하고 있다. 남근은 여성을 대상으로 일을 할 때 사용하는도구, 쟁기, ‘물건‘이다. 북인도 언어들에서는 ‘일‘과 ‘성교를 같은 단어 ‘캄‘kam으로 표현한다. 이런 상징주의를 통해 보면, 남성에게 여성은 외부 자연임을 의미한다. 여성은 남성이 씨(정액)를 뿌리는 대지이자 밭이고 도랑(시타 Sita, 힌두교 여신)이다. - P144
사실 큰 게임에 나가는 모든 사냥꾼은 사냥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여성이 구해온 음식을 먹고 사냥터로 향했다. - P148
사냥꾼이 여성보다 이렇게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었던 것은, 이들 저자들에 따르면, 집단으로 사냥을 하면서 익힌 ‘긴밀한 유대의 규율‘이었다. 남성 우위의 근원에는 ‘남성 사이의 긴밀한 유대‘의 규율이 있다는 발상은 타이거가 일찍이 집단을 이루는 남성 Men in Groups(1969)에서 발전시킨 바 있다. - P150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여성의 기술이 말 그대로 진정한 의미에서 계속 생산적이었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다. 여성은 새로운 것을 생산했다. 한편, 사냥 기술은 생산적이지 않았다. 사냥에 적절한 도구는 다른 생산적 활동에 사용될 수 없었다. 돌도끼는 달랐지만, 활과 화살과창은 기본적으로 파괴를 위한 수단이었다. 이들은 동물을 죽이는 데만 사용되지 않고, 사람도 죽일 수 있다는 사실에 그 중요성이 있었다. 바로 이런 사냥 도구의 성격이 이후 불평등하고 착취적인 사회적 관계들뿐 아니라 남성의 생산성이 더욱 발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고기를 제공하는 사냥꾼이 공동체의 영양 수준을 높였기 때문에그런 발전이 나온 것은 아니다. - P153
a. 사냥꾼의 주 도구들은 생명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해치는 것이다. 그 도구들은 기본적으로 생산수단이 아니라 파괴수단이며, 동료 인간을 강제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b. 이를 통해 사냥꾼은 동물과 인간 등 살아있는 존재에 대해 지배력을 갖게 된다. 이는 그들 고유의 생산력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이들은 (채집자처럼) 과일과 식물, 그리고 동물을 전유할 뿐 아니라, 무기를 이용하여 다른 (여성)생산자도 전유할 수 있다. C따라서 무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대상관계는 기본적으로 약탈적이며 착취적이다. 사냥꾼은 생명을 전유하지만, 생명을 생산하지는 못한다. 이는 적대적이며, 상호작용이 안 되는 관계이다. 생산과 전유의 착취적인 관계는 결국 모두 강압수단인 무기에 의해 지탱된다. - P154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남성과 자연, 남성과 남성, 남성과 여성 사이의착취적인 지배 관계가 생겨난 것은 사냥기술 같은 것 때문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 P155
피셔E. Fisher는 남녀 사이의 지배 관계는 남성이 자신의 재생산능력을 발견해야만 수립될 수 있다는 견해를 피력한다. 피셔에 따르면런 발견은 새로운 생산양식으로 동물을 길들이는 것-특히 사육하는것-과 함께 진행된다. 목축민은 황소 한 마리가 여러 마리의 암소를임신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는 약한 동물들을 거세하고 없애는 것으로 귀결되기도 했다. 그리고 유력한 황소 한 마리가 남아, 목축유목민이 생각하기에 암소를 임신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기간에 이용되었다. 암컷들은 성적 강제의 대상이 되었다. 이는 야생의 자유로운 섹슈얼리티가 강제적으로 경제의 대상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강제적 경제는 무리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경제이다. 암컷의 무리를 만들고, 여성을 납치 강간하고, 부계를 따라 후손과 상속이 이어지도록 가부장제를 수립한 것은 이런 새로운 생산양식의 일부라고 할 만하다. 여성 또한 같은 경제적 논리의 대상이 되었고, 움직이는 재산의 일부가 되었다. 여성은 가축이 되었다. - P156
그러므로 노예제는 무역에서 기원한 것이 아니라 남성이 무기를독점하면서 등장한 것이다. 노예가 매매될 수 있으려면, 무기를 휘두르는 주인에게 잡혀서 전유되는 과정이 있어야 했다. 이렇게 약탈적으로노동력을 취득하는 것은, 그것이 ‘개인적‘ 계략을 위해서든 판매를 위해서든 간에, 이 전사사냥꾼에게는 가장 생산적인‘ 활동으로 여겨졌다. 이 전사-사냥꾼은 여성의 생산적인 농업노동에 기초한 경제체제에서 먹고 살고 있기는 하지만 더 이상 수렵 채취자가 아니라는 점은분명히 기억해야 한다. 이들은 여성 경작자들의 ‘남편들‘이었다. 오트볼타Upper Volta의 한 사모Samo인 노인은 이들의 생산성을 활과 화살의 생산성이라고 묘사했다. 활과 화살을 통해, 수수, 콩 등과 여성 등 모든다른 생산물을 취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 P158
델리: 압하 Abha는 다울라트 램 대학에서 동물학을 전공했으며, 지금은 교사를 하고 있고, 5개월 된 딸의 엄마이다. 그녀의 부모 말에 따르면, 그녀가 뉴델리, 푸사에 있는 IARI에서 과학연구청장(1급)을 하고있는 고아르Shankar Goar 박사와 결혼한 뒤, 고문을 당하면서 지참금을 더 가져오라는 요구를 듣고 있었다고 했다. 그런 요구 때문에 그녀가 살해당하기 4개월 전 그녀의 부모가 냉장고를 주었다고 한다. 1979년 7월 7일, 남편이 그녀를 때려 이마를 다치게 해서 4바늘을 꿰맸다. 그녀의 남편은 서독에 가고 싶어 했다. 그는 지참금을 더 벌기 위해, 재혼을 원했던 것 같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10월 1일, 압하는 부모에게 가서 두세라Dussehra 축일을 보냈다. 밤에 집에 왔을 때, 그녀의오빠와 여동생도 그녀 남편이 화가 나 보인다는 것을 눈치 챘다. 다음 날, 모르는 사람이 와서 그녀의 부모에게 압하가 몹시 아파서 병원에 있다는 말을 전했다. 그들이 병원으로 달려갔을 때, 간호사는 압하가 독극물로 사망했다고 했다. 지금까지 누구도 구속되지 않았다(Manushi, Dec. 1979~Jan. 1980). - P314
아그라 Agra: 타즈간지 경찰은 샤르마Rajni Sharma 부인에게 잔혹행위를한 이 부인의 시가 식구 4명을 구속했다. 이들은 부인의 가슴을 도려냈는데, 이는 이 도시 역사에서 가장 잔인한 지참금 사건 중 하나이다. 경찰에 따르면 샤르마 부인은 타즈간지 지역의 샹카르Hari Shankar에게몇 달 전에 시집을 왔다. 남편과 시댁가족은 샤르마 부인에게 스쿠터를 살 돈 1만루피를 가져오라고 압력을 가했다고 한다. 그녀가 거부하자 남편은 그녀의 양쪽 가슴을 물어뜯었다. 시댁 식구가 그의 이런 고문 행위를 응원했다고 한다(Indian Express, 10December 1980에서). - P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