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어릴 적에는 겨울에 따뜻한 물로 씻기 위해서는 물을 데워야 했다. 자하실에 연탄불을 태워두고 거기에 통을 올려둔 뒤 물이 끓으면 그걸 퍼서 1층으로 올려 찬 물과 섞어 씻어야 했다. 매일 엄마는 우리를 씻기기 위해 이 일을 반복하셧다. 우리가 스스로 씻을 수 있게 됐을 때에는 물만 떠다주셨다. 내 기억에 아빠는 지하실에서 뜨거운 물을 퍼오는 일을 하지 않으셨다. 엄마가 돈을 벌러 나갔다 집에 들어온 날도 마찬가지. 아빠는 돈을 벌지 않고 누워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날 뜨거운 물을 떠오는 건 엄마의 몫이었다. 아주 어릴 적에는 내가 직접 씻겠다고 뜨거운 물을 푸다가(왜 엄마가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해?!) 내 배에 쏟아버려 자지러지게 울고 기절한 적이 있다(뭐든 혼자 하려고 하는 성질은 어릴때부터..). 다행히 흉은 남지 않았다.
고3때 대학교 원서를 넣기 위해 엄마랑 같이 집을 나섰다. 그 때는 직접 대학에 가서 줄을 섰다가 원서를 넣어야 했다. 내가 입학하던 시절에는 총 세군데의 대학에 원서를 넣을 수 있었는데, 그래서 아이들은 오늘 한두군데 넣고 다음날 한군데 넣거나 사흘에 걸쳐 한군데씩 넣거나 하면서 바삐 돌아다녀야 했다. 나는, 엄마 덕분에 하루만에 그 긴 줄을 서면서도 세 군데를 다 돌아다니며 원서를 접수할 수 있었다. 이 대학에서 저 대학으로 이동하고 한참 긴 줄을 섰다 원서를 접수하는 일을 세차례나 반복하다보니 너무 지치고 힘들었다. 우리는 집에 돌아가기 전에 늦은 저녁을 사먹었다. 그리고 집에 돌아가니 시간은 밤 아홉시었나 열시였나. 나는 지쳐 널브러지려는데 엄마는 돌아오자마자 방 청소를 시작하셨다. 아마 내가 엄마의 끝나지 않는 가사노동을 가장 무겁게 느꼈던 날이 그 날이었던 것 같다. '나도 이렇게 힘든데 엄마는 여기에 방청소를 더 한다고?'
시간이 많이 흘렀다.
몇해 전에 퇴근하고 집에 갔는데 엄마는 당시 여동생네 집에 가 계셨고, 저녁 식사를 혼자 마치신 아버지는 '설거지 있는데 하기 싫으면 하지마' 라고 하셨다. 나는 그 말에 화가 나서 말했다.
"내가 먹은 것도 아닌데 내가 왜 설거지를 해?"
내가 너무 머리가 컸고 아버지는 감히 내게 강제하지 못하셨다. 그 뒤로 내가 퇴근한 저녁에는 설거지 하나 없는 날들이 이어졌다. 아버지는 혼자 식사하시면 그릇을 다 씻어두셨다. 그 그릇이 내 마음에 들지 않게 씻긴 날들도 있었지만, 그렇다고 됐어 내가 씻을게 하지 않는다.
왜 힘든 가사노동은 엄마의 몫인데 큰소리는 아빠의 몫일까. 대부분의 경우 아빠이자 남편이 부양을 하기 때문이라지만, 우리집을 놓고 보더라도 그리고 우리집이 꼭 아니더라도, 굉장히 많은 집이 사실 남자가 제대로 부양을 하지 못해도 가장이라며 큰소리를 내는걸 보면 뭐가 잘못돼도 한참 잘못됐다. 물론, 우리 집은 지금 아주 크게 풍경이 바뀌었다. 집에서 가장 힘이 센 사람이 언젠가부터 아빠가 아니게 되었다. 그런지 좀 오래 되었다.
한창 젊은 시절, 엄마가 내게 결혼을 하라고 재차 말씀하셨을 때, 나는 이렇게 말했었다.
"아니 엄마, 내가 회사 다니면서 돈을 벌었는데, 그걸 다 결혼하느라 쓰란 말이야? 그거 너무 억울한데? 난 결혼하느라 돈 쓰기 싫어."
아아, 나는 내가 번 돈 나 혼자만 쓰고 싶은 사람.. 결혼보다 돈이 좋은 사람..
그 때 엄마는 다른 사람들도 다 그렇게 한다고, 결혼하려고 돈 버는 거라고 하셨고, 나는 그때부터 지금까지 줄곧 거기에 반발하고 있다. 그거 너무 내 타입 아니라서. 내가 누누이 말해왔고 앞으로도 말할테지만,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나왔을 때부터 몇 년간 천 번쯤 말한것 같지만, 아무리 그레이 만났어도 아나스타샤는 일을 놓아서는 안됩니다. 그레이 집이 아무리 크고 다른 회사 합병하는 거 넘나 우습고 원하는 드레스 수십벌 사줄 수 있어도, 아나스타샤여, 일해야 합니다. 유 가 릿? 인생 어차피 혼자다. 그레이 돈 믿고 있지말고 네 자신의 일할 능력을 믿어라.
같은 부양을 받더라도 여성은 남편의 필요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노동을 제공하게 된다. 가령, 부르주아의 아내는 사회적 체면유지라는 업무를 제공함으로써 가정 내 노동의 업무는 더 적게 수행한다. 제공한 노동과 무관하게 보상받기 때문에, 여성들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들에게 유일한 해결책은 더 부유한 남성에게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향혼을 향한 경주는 여성 노동의 무가치성에서 논리적으로 도출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생산수단을 소유한 계급에 속한 남성과의 결혼으로 여성의 삶의 질이 올라갈 수 있다 해도, 이것이 여성을 그 계급에 속하게 해주지는 못한다. 여성은 스스로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이 삶의 수준은 프롤레타리아와 계급 생산과의 관계가 아닌 남편에 대한 예속 생산 관계에 달려 있다.
부르주아 여성의 결혼 관계가 끝나는 경우, 압도적인 수의 여성이 임금노동자로서 밥벌이를 하게 된다. 이로써 그들은-나이와 직업 교육의 부재라는 추가적인 불리를 경험하면서- 마침내 원래 그들이 속한 계급이라 할 수 있는 프롤레타리아로 거듭나게 된다. -p.51~52
비정상체중이지만, 약과나 먹어야겠다.
‘사회주의적‘ 사회를 비롯해, 현재 모든 사회는 자녀 양육과 가정 내 봉사라는 여성의 무급노동에 기초한다. 이 서비스는 남편이라는 개인과의 특정한 관계하에서만 제공된다. 이 서비스는 교환의 영역에서 배제되고, 따라서 가치를 지니지 못한다. 이 서비스는 보수를 지불받지 못한다. 여성이 받는 수당은 제공한 노동과 독립적이며, 노동에 대한 교환으로, 즉 임금으로 부여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권리가 아니라 증여로 취급된다. 남편의 유일한 의무-그에게 이익이 되는 것이 자명한-는 아내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달리 말하면 아내의 노동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 P13
대부분의 ‘가정‘이 음식을 원재료 형태로 구입하기를 선호하는 까닭은 가사노동이 무료이고, 이 노동이 전적으로 여성에 의해서 제공되기 때문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사실로써, 남편이 자신의 봉급으로 가사 전체의 소비를 책임지고 가정 주부는 ‘밥벌이를 하지 않는다‘는 이데롤로기는 반박될 수 있다. - P36
기혼 여성 대부분은 독립적 소득을 가지지 않은 채 부양을 대가로 일한다. 이러한 생산 양식과 자본주의 임금 생산 양식 간의 차이는 노동에 대한 수당의 양이나 임금과 부양 간의 가치 차이보다는 생산 관계 자체에서 기인한다. - P48
|